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57771646
· 쪽수 : 1472쪽
· 출판일 : 2023-04-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
01_신형(身形)_身形臟腑圖
02_기(氣)
03_신(神)
04_혈(血)
05_꿈[夢]
06_목소리
07_언어(言語)
08_진액(津液)
09_담음(痰飮)
10_오장육부(五臟六腑)
11_간장(肝臟)
12_심장(心臟)
13_비장(脾臟)
14_폐장(肺臟)
15_신장(腎臟)
16_담부(膽部)
17_위부(胃部)
18_소장부(小腸部)
19_대장부(大腸部)
20_방광부(膀胱部)
21_삼초부(三焦部)
22_포(胞)
23_충(蟲)
24_오줌[小便]
25_대변(大便)
제2장 동의보감 외형편(外形篇)
01_머리[頭]
02_얼굴[面]
03_눈[眼]
04_귀[耳]
05_코[鼻]
06_입과 혀[口舌]
07_이빨[牙齒]
08_목구멍[咽喉]
09_목[項]
10_잔등[背]
11_가슴[胸]
12_젖[乳]
13_배[腹]
14_배꼽[臍]
15_허리[腰]
16_옆구리[脇]
17_피부[皮]
18_살[肉]
19_맥(脈)
20_힘줄[筋]
21_뼈[骨]
22_손[手]
23_발[足]
24_머리털[毛髮]
25_생식기[前陰]
26_항문[後陰]
제3장 동의보감 잡병편(雜病篇)
01_토(吐)
02_땀[汗]
03_설사[下痢]
04_풍(風)
05_서(暑)
06_습(濕)
07_화(火)
08_내상(內傷)
09_허로(虛勞)
10_곽란(霍亂)
11_구토(嘔吐)
12_해수(咳嗽)
13_부종(浮腫)
14_소갈(消渴)
15_황달(黃疸)
16_학질(虐疾)
17_온역(溫疫)
18_제상외상(諸傷外傷)
19_해독(解毒)
20_구급(救急)
21_부인(婦人)
22_소아(小兒)
제4장 동의보감 탕액편(湯液篇)
01_탕액서례(湯液序例)
02_수부(水部)_물
03_토부(土部)_흙
04_곡부(穀部)_곡식
05_인부(人部)_사람
06_금부(禽部)_새
07_수부(獸部)_짐승
08_어부(魚部)_물고기
09_충부(蟲部)_곤충
10_과부(果部)_과일
11_채부(菜部)_야채
12_초부(草部)_풀
13_목부(木部)_나무
14_옥부(玉部)_옥
15_석부(石部)_돌
16_금부(金部)_쇠
제5장 동의보감 침구편(鍼灸篇)
01_인체경혈도
02_구침(九鍼)
03_푼‧치수[分寸]를 헤아리는 법
04_제애법(劑艾法)
05_구법(灸法)
06_침보사(鍼補瀉)
07_뜸보사[灸補瀉]
08_폐경(肺經)
09_대장경(大腸經)
10_위경(胃經)
11_비경(脾經)
12_심경(心經)
13_소장경(小腸經)
14_방광혈(膀胱穴)
15_신경(腎經)
16_심포경(心包經)
17_삼초경(三焦經)
18_담경(膽經)
19_간경(肝經)
20_독맥혈(督脈穴)
21_임맥혈(任脈穴)
22_소생병(所生病)
23_기경팔맥(奇經八脈)
부록 한방 용어 해설
쉽게 찾는 약 이름 ‧ 식물 이름
책속에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누구나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란다.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병이 들어 고생하고 끝내는 죽음을 맞이한다. 근래에 와서 각종 성인병이 발생하여 그 병을 치료하는 데 의학으로서는 미흡한 점이 많아 한의학의 오묘한 처방이 새롭게 인정되어 많은 사람들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허준이 저술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우리 민족의 정신과 맥, 그리고 선조들의 각고의 결정이 함축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의학서로 세계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선조 때의 의학자이자 어의였던 허준이 1610년 완성해서 1613년(광해군 5) 책으로 펴낸 『동의보감』은 전25권 5책, 23편으로 구성되었으며 한의학의 모든 분야를 체계적으로 쉽고도 매우 자세하게 설명한 책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모든 한의사들이 널리 참고하였으며 한의학의 교과서이고, 한의학의 모든 것을 실은 한의학의 성전(聖典)이다.
―「책머리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