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ALL-New 수험 국제정치학

ALL-New 수험 국제정치학

(제4판)

신희섭 (지은이)
학연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0% 0원
2,250원
42,750원 >
40,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4,050원
36,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ALL-New 수험 국제정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ALL-New 수험 국제정치학 (제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58248147
· 쪽수 : 903쪽
· 출판일 : 2022-11-23

책 소개

제4판에서는 외국 교과서에 소개된 주제들과 논리를 반영하였고, 최근 모의고사를 최대한 소개하였다. 기존 기출문제는 빼고 기출문제 중에서 응용문제나 변형문제만 반영했다. 외교사 문제를 많이 수록하여 중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문제로 정리할 수 있게 만들었다.

목차

PART Ⅰ. 외교사
제 1 문. 비엔나 체제의 의미 3
제 2 문. 제도론 관점에서 비엔나체제 6
제 3 문. 이태리통일과 독일통일 비교 11
제 4 문. 비스마르크외교와 한미동맹 13
제 5 문. 비스마르크이후 동맹형성과 빌헬름 2세 외교 15
제 6 문. 비스마르크 동맹과 미국의 동맹 17
제 7 문. 독일정책과 세력전이 적용가능성 21
제 8 문. 유럽국가들의 균형외교 정책 비교와 한국외교의 함의 25
제 9 문. 중화질서에 대한 구성주의와 신현실주의 해석 비교 33
제 10 문. 외인론과 내인론관점의 개항기 비교 41
제 11 문. 지정학과 동맹을 통한 러일전쟁해석 46
제 12 문. 문호개방정책과 스페인전쟁 시기 미국외교 52
제 13 문.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의 1차 세계대전 해석 56
제 14 문. 원인과 근인을 통한 1차 세계대전의 원인 분석 60
제 15 문. 쉴리펜 계획과 1차 대전해석 63
제 16 문. 워싱턴 체제의 의미 66
제 17 문. 워싱턴체제의 다자주의로서 의미 69
제 18 문. 일본의 팽창정책과 세력전이 해석 74
제 19 문. 신고전현실주의를 통한 일본의 대미 예방전쟁해석 78
제 20 문.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의 함의 83
제 21 문. 세력균형, 위협균형, 이익균형과 2차 대전 88
제 22 문. 한국전쟁의 이론별 원인분석과 영향 94
제 23 문. 한반도의 평화체제구축 102
제 24 문. 냉전과 미·중관계와 샌프란시스코 체제 108
제 25 문. 샌프란시스코 체제의 변화가능성 114
제 26 문. 쿠바 미사일위기와 위기관리 121
제 27 문. 데탕트 시기 한국외교정책의 변화 126
제 28 문. 베트남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우크라이나 침공 비교 130
제 29 문. 냉전종결의 원인과 미국의 대중국강경정책 성공가능성 134
PART Ⅱ. 이론 문제편
[ SUB CATEGORY 1 : 방법론 관련 문제 ] 141
제 1 문. 분석수준과 각 이론별 분석수준의 문제 141
제 2 문. 분석수준과 한일관계개선 방안 146
제 3 문. 분석수준을 통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분석 152
제 4 문. 원인과 근인을 통한 북한 핵실험해석 157
제 5 문. 미중 대립의 원인 분석 162
제 6 문. 합리적 선택이론 167
제 7 문. 합리적 선택에 의한 위협과 그 결과 174
[ SUB CATEGORY 2 : 국제정치의 주요개념들 관련 문제 - 극성, 권력, 국가이익, 민족주의 ] 178
제 8 문. 극성과 극화를 통한 현재 체제의 특징과 변동가능성 178
제 9 문. 단극체제의 특징과 연성균형정책 186
제 10 문. 극성의 변화와 안정성으로서 강대국간 전쟁가능성 192
제 11 문. 미국 패권체제의 특성과 약화 원인 197
제 12 문.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회피방안 202
제 13 문. 국제체계접근과 국내정치접근의 비교 211
제 14 문. 국제정치에서 권력의 중요성과 스마트파워논의 214
제 15 문. 군사력의 대체성을 통한 유용성 논의 218
제 16 문. 이론 별 권력과 군사력의 효과 226
제 17 문. 평시와 극화상황에서 군사력의 유용성 231
제 18 문. 국가이익에 대한 패러다임별 비교 :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239
제 19 문. 한중일 민족주의와 구성주의 관점의 해법 244
제 20 문. 민족주의의 대외정책결정에의 대한 영향 251
제 21 문. 민족주의와 완화방안 258
[ SUB CATEGORY 3 : 이론들 - 현실주의 이론들 ] 263
제 22 문. 지정학이론과 한미동맹의 효용성 263
제 23 문. 중국의 해군력 증강 원인과 영향 268
제 24 문. 중국의 지정학 팽창에 대한 예측 271
제 25 문. 미중 지정학적 대결 예상과 미국의 중국 정책 279
제 26 문. 현실주의 관점에서 도덕성과 힘의 논리관계 286
제 27 문. 고전적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 비교 291
제 28 문. 국제체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가능성 296
제 29 문. 무정부상태의 기능과 완화 가능성 논쟁 303
제 30 문. 이론별 무정부상태에 대한 가정과 정책비교 313
제 31 문. ‘세력균형의 정치경제 이론(The Political Economy of Balance of Power Theory)’ 321
제 32 문. 비대칭균형과 대테러전쟁 327
제 33 문. 안보딜레마와 대응방안논쟁 330
제 34 문.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의 동맹역할논쟁 336
제 35 문. 중국의 군사력증대와 동맹안보딜레마 340
제 36 문. 중국의 미국에 대한 세력전이가능성 347
제 37 문.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회피방안 353
제 38 문. 패권과 공공재의 제공가능성논쟁 359
제 39 문. 패권안정이론과 신자유주의이론의 DDA미래예측 364
제 40 문. 독재체제의 과잉팽창가능성과 제재 효과 논의 369
제 41 문. 현실주의 중범위이론들간 비교 375
[ SUB CATEGORY 4 : 이론들 - 자유주의 이론들 ] 380
제 42 문.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 강화 정책 결정 분석 381
제 43 문. 대북제재의 한계 387
제 44 문. 미·중 간 탈동조화 가능성과 그 영향 395
제 45 문. 상대적 이익과 절대적 이익의 남북관계 적용 400
제 46 문. 안보외부효과와 미중관계 406
제 47 문. 미중 상대적이익과 안보외부효과 411
제 48 문. 신흥국가들, 권력증대, 제도와 세력전이유형 415
제 49 문. 민주평화론과 민주화과정위험론의 동북아 적용 421
제 50 문. 민주주의와 비민주주의간 비교 429
제 51 문. 미중 대립과 중국의 도전가능성 433
제 52 문. 민주화를 위한 군사적 개입의 실패 원인분석 438
제 53 문. 민주화의 내부적 조건과 외부적 조건 441
제 54 문. 민주주의와 자유무역과 환경협력 451
제 55 문. 세력전이론과 민주평화이론을 통한 미중관계 454
제 56 문. 유럽과 동아시아 비교 459
제 57 문. 상대적이익상황에서의 국제협력 467
제 58 문. 게임이론과 한반도 473
제 59 문. 통치와 거버넌스 논쟁 481
제 60 문. 자유주의이론간 비교 : 상호의존이론 vs. 신자유주의 vs. 민주평화이론 485
[ SUB CATEGORY 5 : 이론들 - 대안 이론들 ] 490
제 61 문. 국제사회학파와 동북아시아 지역 공동체 490
제 62 문. 구성주의관점의 남북관계 개선방안 497
제 63 문. 구성주의관점의 한국 지도자 해석 (2008년 외무고시 기출문제) 501
제 64 문. 한일관계 개선방안 509
제 65 문. 구성주의와 신현실주의의 미중관계 해석 517
PART Ⅲ. 이슈편
[ SUB CATEGORY 1 : 안보이론 - 동맹, 테러리즘. 안보, 핵, 군비통제 ] 523
제 1 문. ‘과거 전쟁(old war)’과 ‘새로운 전쟁(new war)’ 523
제 2 문. 내전에서 이행문제해결을 위한 제도효과 528
제 3 문. 국제분쟁과 평화유지활동의 해결가능성 535
제 4 문. 국가안보와 인간안보관점의 북한 문제 539
제 5 문. 코로나 19 인간안보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 546
제 6 문. 환경안보, 인간안보, 국가안보간 관계 551
제 7 문. 테러단체의 특징과 테러해결 방안 558
제 8 문. 자살테러리즘와 억제방안 565
제 9 문. 기대효용이론과 확장억지 조건 577
제 10 문. 북한 핵문제와 이란사례 : 이론적 설명, 핵폐기 사례들, 대북정책들 583
제 11 문. 북한 비핵화 가능성 분석 591
제 12 문. 비핵화의 가능성 심화문제 595
제 13 문. 미국의 대북 강압외교 성공가능성 603
제 14 문. 핵무기 확산과 지역안정성논의 607
제 15 문. 한반도 군비축소와 군비통제방안 비교 614
제 16 문. 안보공동체이론과 동아시아 안보공동체 달성가능성 618
제 17 문. 방어적 현실주의와 공격적 현실주의의 동맹논쟁 622
제 18 문. 제도로서 동맹에 대한 이론적 설명 631
제 19 문. 위협균형이론과 세력균형의 차원의 한미동맹비교 636
제 20 문. 한미동맹의 대중국 견제 부재 설명 639
제 21 문. 극성과 동맹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 사례들 645
제 22 문. 트럼프행정부에서 한미동맹의 동맹안보딜레마 652
[ SUB CATEGORY 2 : 국제정치경제학 - 무역, 지역주의, 금융, 투자 ] 658
제 23 문. 요소이동성과 자유무역의 관계 658
제 24 문. 통상정책에 대한 접근 662
제 25 문. 제도를 통한 무역개방화 669
제 26 문. 무역이론을 통한 한국 농업에 대한 보호주의 설명 675
제 27 문. 만수르 올슨과 집단행동이론 680
제 28 문. 패권과 개방성, 상대적 이익, 안보외부효과 684
제 29 문. 패권과 개방성, 상대적 이익, 안보외부효과 692
제 30 문. 변동환율제도와 금융위기 704
제 31 문. 연계된 자유주의와 경제위기간 관계 711
제 32 문. 변동환율제도로의 이동과 금융위기간 관계 716
제 33 문. 브렉시트와 유럽통합의 미래 전망 723
제 34 문. 지역화와 지역주의와 동아시아의 낮은 지역주의 원인(2015년 입법고시 기출문제 변형) 728
제 35 문. 현실주의와 구성주의의 지역주의 설명 733
제 36 문. 국제요인과 국내요인을 통한 미국 통상정책의 예측 737
제 37 문. Mega FTA체결 원인과 영향과 제도화 수준비교 742
제 38 문. 글로벌 불균형과 조정과정 749
제 39 문. 환율결정의 사회요인과 국가요인 관계 753
제 40 문. 다국적기업의 투자 결정요인들 759
제 41 문. 다국적 기업과 투자유치국간 관계 763
제 42 문. 개도국과 선진국의 다국적기업에 대한 협상력 비교 771
제 43 문. NICs와 BRICS의 경제발전비교 776
[ SUB CATEGORY 3 : 외교와 외교정책 - 국가별 외교정책, 외교정책결정과정, 외교정책방안 ] 780
제 44 문. 미국 외교정책의 일관성 780
제 45 문. 미국외교전통관점에서 트럼프외교노선 784
제 46 문. 트럼프정부의 일방주의 정책지속가능성 789
제 47 문. 중국위협론과 한국의 대응방안 795
제 48 문. 중국부상과 한국의 대응방안 802
제 49 문. 연성권력차원에서 중국패권가능성 810
제 50 문. 양면게임이론의 내용과 한계점 816
제 51 문. 국제정치이론과 중견국가 819
제 52 문. 중견국가와 공공외교간 관계 823
제 53 문. 공적개발협력과 한국의 중견국외교 829
제 54 문. 공여국가와 수혜국간 해외원조 원인과 효과 (2014년 행시 국제통상기출문제) 834
제 55 문. 국제사회학파이론을 통한 북한경제개발 843
[ SUB CATEGORY 4 : 국제기구 ] 849
제 56 문. 국제정치이론들간 안보리개혁비교 849
[ SUB CATEGORY 5 : 탈근대 주제 - 정보통신혁명, 환경, 인권, 문화 ] 852
제 57 문. 정보통신혁명과 권력, 안보, 국가역할 852
제 58 문. 기후변화협약과 국제정치이론의 제도화 가능성 논의 857
제 59 문. 파리당사국 총회의 협력가능성논쟁 860
제 60 문. 기후변화협약의 제도화 가능성 논쟁 864
제 61 문. 기후변화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Minilateralism 868
제 62 문.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관점에서 보호책임(R2P)해석 875
제 63 문. 국제사회관점에서의 보호책임 규범화 881
제 64 문. 인권문제에 대한 경제제재 효과 논의 888

저자소개

신희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 단국대학교 초빙교수 (전)한국지정학연구원 원장 베리타스법학원 강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 한국정치학회 회원 한화증권 기업강의 외 다수강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