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94323839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25-04-08
책 소개
목차
Part 01. 외교사
제문
유럽협조체제 이후 100년의 평화유지 원인(2022년 국립외교원) 3
제문
유럽협조체제 이후 강대국간 협력 사례(2024년 국립외교원) 7
제문
크림전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2015년 국립외교원) 10
제문
동방문제와 유럽열강의 이해관계(2005년 외무고시) 13
제문
비스마르크 대외정책의 통일전후 비교(2002년 외무고시) 16
제문
동양 3국의 개항조약 비교(2008년 외무고시) 19
제문
동맹의 논리를 통한 『조선책략』 해석(2011년 외무고시) 22
제문
청일전쟁과 중국 부상 시대 비교(2010년 외무고시) 24
제문
조선의 지정학과 외교사적 교훈(2007년 외무고시) 27
제문
러일전쟁과 세력균형(2016년 국립외교원) 31
제문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과 연합국의 소련정책(2020년 국립외교원) 34
제문
영일동맹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일본과 서구열강의 관계(2013년 외무고시) 37
제문
중일전쟁 이후 미ㆍ일갈 등의 과정(2021년 국립외교원) 40
제문
뮌헨협정과 대만문제(2023년 국립외교원) 43
제문
양차대전 이후 전후처리과정(2004년 외무고시) 46
제문
냉전형성에서 유럽과 동아시아 비교(2012년 외무고시) 48
제문
냉전형성과정과 미소 외교정책(2009년 외무고시) 51
제문
한국전쟁과 소련과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2017년 국립외교원) 54
제문
닉슨독트린과 방기와 연루(2018년 국립외교원) 59
제문
한미관계에서 중요한 사건들과 역사적 함의(2003년 외무고시) 63
Part 02. 이론 문제
제문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부 방법(행시 정치학에서만 출제됨: 보험용) 69
제문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양면게임 방안(2015년 입법고시) 75
제문
왈츠의 세 가지 이미지, 1차 세계대전, 국제연맹, 국제연합(2014년 국제통상) 81
제문
분석수준 북한 핵실험과 비핵화를 위한 다자적 접근 방식(2007년 국제통상) 85
제문
외교사(2022년 국립외교원) 제1문. 에서 해설 89
제문
세계화와 평화 관계 논쟁(2007년 국제통상) 90
제문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특성과 이론적 설명(2015년 입법고시) 94
제문
안보딜레마의 현실주의 관점에서 완화 방안(2022년 입법고시) 100
제문
사이버공간과 사이버 안보 딜레마의 관계(2021년 국립외교원) 104
제문
탈냉전기 구조의 안정성논쟁(2009년 외무고시) 108
제문
극성과 미국 일극체제의 지속성(2014년 국립외교원) 114
제문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회피방안(2018년 입시) 122
제문
미국패권의 미래 : 연성권력과 경성권력의 관점(2012년 입법고시) 127
제문
경성권력쇠퇴와 연성권력 작동조건(2013년 5급공채) 135
제문
한국의 공공외교 활성화방안(2013년 입법고시) 140
제문
군사적 조치의 유효성과 정당성 논의(2003년 입법고시) 142
제문
강대국과 약소국의 국가이익 비교(2003년도 외무고시) 145
제문
이라크 파병과 의사결정과정(2004년 5급공채) 149
제문
홉스와 죄수의 딜레마상황(2011년 5급공채) 152
제문
해양세력이론과 중국적용(2014년 국립외교원) 155
제문
한반도, 동중국해, 남중국해의 지정학(2016년 입법고시) 160
제문
힘의 변동과 미ㆍ중 관계 예측(2011년 국립외교원) 169
제문
세력균형전략과 편승전략의 비교(2011년 입시) 173
제문
연성균형, 편승, 헤징, 적대적 세력균형(2015년 국제통상직) 176
제문
동아시아 안보딜레마의 해석(2008년 국제통상직) 182
제문
미국 우선주의와 미중관계 분석(2019년 국립외교원) 186
제문
패권안정이론과 패권의 역할(2022년 국립외교원) 193
제문
현실주의 관점에서 한중일 갈등 해결방안(2006년 5급공채) 196
제문
동북아시아 지역체제의 안정성(2006년 입법고시) 199
제문
9.11이후 동북아시아 안정화 방안(2005년 입시) 203
제문
방어적 현실주의의 미중관계 해법논쟁(2024년 5급공채) 207
제문
한국전쟁과 소련과 중국의 정책결정(외교사 17번 문제에서 해설) 215
제문
앨리슨 모델의 북한 무기 구입에의 적용(2013년 5급공채) 216
제문
제재와 개성공단효과 논쟁(2017년 국제통상직) 219
제문
상호의존이론과 한미자유무역협정에의 함의(2007년 5급 공채) 222
제문
경제적 상호의존과 안보갈등(2017년 행시 국제통상) 226
제문
상호의존과 통합이론에 따른 평화(2009년 국제통상) 233
제문
무정부상태에 대한 논쟁(2018년 국립외교원) 237
제문
남북관계에서 상호주의의 적용가능성(2010년 5급공채) 245
제문
민주평화이론과 그 한계(2013년 국립외교원) 249
제문
민주평화이론과 그 한계(2022년 5급공채) 255
제문
세력전이, 세력균형, 민주평화이론의 미중간 관계 분석(2012년 외무고시) 258
제문
상대적 이익상황에서의 게임이론을 통한 국제협력(2012년 국제통상) 266
제문
글로벌 거버넌스 이론과 비국가행위자의 활동평가(2009년 입법고시) 272
제문
글로벌 거버넌스와 NGO의 역할 논의(2013년 국제통상) 274
제문
자유주의 위기론과 아이켄베리(2018년 5급공채) 278
제문
구조적 자유주의에 대한 도전과 위기(2024년 국립외교원) 281
제문
구성주의관점의 한국 지도자 해석(2008년 외무고시) 288
제문
기후변화문제와 구성주의의 인식공동체모델(2024년 입법고시) 298
제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이론별 비교(2023년 국립외교원) 301
제문
국제원조와 이론별 구조 가정의 비교(2023년 5급공채) 306
제문
국제사회학파와 동북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 방향(2010년 외무고시) 310
Part 03. 이슈
제문
안보딜레마의 현실주의 관점에서 완화 방안(2022년 입법고시) 321
제문
코로나로 인한 인간 안보에 대한 국제기구의 역할(2020년 입법고시) 326
제문
에너지 안보(2008년 입법고시) 329
제문
사이버 안보 딜레마(2021년 국립외교원 : 이론 안보딜레마에서 설명) 332
제문
기대효용이론 차원에서 억지전략의 성공가능성(2014년 국제통상) 333
제문
왈츠 핵확산 낙관론과 조직과정모델의 반론(2024년 국립외교원) 335
제문
한국의 상호주의 전략(2011년 국제통상직) 338
제문
국제정치 이론 중 남북관계 해결방안(2019년 입법고시) 343
제문
1차 북한 핵문제와 2차 북한 핵문제 비교(2013년 국제통상) 349
제문
벼랑끝 전술과 한국의 역할(2018년 입법고시) 352
제문
북한 핵문제와 핵확산과 안정-불안정역설(2019년 국립외교원) 358
제문
비확산. 반확산. 핵확산과 지역안성성 논쟁(2015년 행시 국제통상) 365
제문
핵무기, 국제평화, 비정부행위자의 핵확산 방지 역할 논쟁(2010년 국제통상) 371
제문
핵확산 방지체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2010년 입법고시) 376
제문
확장억지와 청중비용(2014년 국립외교원) 379
제문
동맹이론들 비교와 NATO 사례(2013년 국립외교원) 383
제문
신흥강대국의 부상과 군사동맹의 신뢰성(2020년 국립외교원) 389
제문
동맹의 내부게임과 외부게임 분석(2022년 국립외교원) 395
제문
허쉬만이론으로 분석한 한미동맹(2015년 5급 공채) 400
제문
미중간 동아시아 정책과 한국의 동맹전략(2015년 국립외교원) 408
제문
난민 문제와 사회적 안보(2017년 국제통상) 414
제문
자유주의 국제질서와 그 위기(2018년 5급 공채) 419
제문
자유주의국제질서와 블렉시트(2018년 5급공채 : 이론에서 다룬 문제) 420
제문
베이징 컨센서스와 워싱턴 컨센서스 비교(2011년 5급공채) 426
제문
달러 패권의 지속성 논쟁(2013년 외무고시) 430
제문
지역화와 지역주의와 동시아의 낮은 지역주의 원인(2015년 입법고시) 434
제문
브렉시트와 유럽통합의 미래 전망(2016년 국제통상) 441
제문
지역 무역협정과 다자주의간 관계(2016년 5급 공채) 446
제문
동아시아에서 지역통합 지체의 이유(2015년 국제통상) 449
제문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 제도화 방안(2008년 국제통상) 454
제문
전간기 금본위제 실패의 원인(2016년 국립외교원) 457
제문
3위 불일치와 금융체제 안정화 노력(2018년 국립외교원) 464
제문
브레튼우즈 II 체제의 특징과 지속가능성(2017년 국립외교원) 467
제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의 제도적 발전가능성(2011년 외무고시) 470
제문
다국적 기업의 투자와 약소국의 경제발전 방안(2010년 외무고시) 475
제문
앨리슨모델과 북한의 해외무기구입적용(2013년 5급공채 : 이론에서 다룸) 478
제문
양면게임이론의 장기적 게임 결과(2020년 국립외교원) 479
제문
집단사고 모델(2016년 국립외교원) 481
제문
도시외교와 공공외교(2019년 5급공채) 483
제문
공여국가와 수혜국간 해외원조 원인과 효과(2014년 행시 국제통상) 486
제문
미국외교에서 고립주의(2023년 입법고시) 492
제문
북한핵 문제에서 안전보장이사회의 한계점(2013년 외무고시) 495
제문
글로벌 거버넌스의 등장과 변화 설명(2017년 국립외교원) 500
제문
공유지의 비극이론과 환경협력가능성(2008년 5급 공채) 504
제문
기후위기와 국제협력의 어려움과 안보 개념 확장(2020년 5급공채) 510
제문
집단행동과 교토체제의 대안가능성(2015년 국립외교원) 516
제문
경제제재의 외교수단으로서 유용성(2012년 국제통상) 519
제문
인도적 개입 논의(2012년 국제통상) 523
제문
보호책임 규범의 내용과 한계(2016년 5급 공채 국제통상) 529
제문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의 코로나 위기 대응방식(2021년 5급공채) 535
제문
헌팅턴 문명충돌론 논의(2017년 입법고시) 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