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58485238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9-09-19
책 소개
목차
[박유전 바디 심청가]
제 1 장
1. 곽씨부인 죽음, 심봉사의 통곡
⑴ 삯바느질—곽씨부인 가장 공경
⑵ 품 팔아 모인 재물—자식 빌기, 태몽, 태교, 순산
⑶ 삼십삼천 도솔천—딸의 수복 기원
⑷ 가군의 손길 잡고—곽씨부인 사망
⑸ 심봉사 기절하여—심봉사의 탄식 통곡
2. 상여 나감, 심청이 밥을 빌어 옴 ⑴ 요령은 땡그랑 땡그랑—상여 나가는 만가
⑵ 주과포혜 박전하나—심봉사 평토제 축문과 탄식
⑶ 집이라고 들어오니—텅 빈 집에서의 실성발광
⑷ 우물가 두레박소리—동냥젖 얻어 먹이며 딸 기름
⑸ 아버지 듣조시오—심청의 밥 빌기
제 2 장
1. 장승상 댁에 감, 공양미 삼백 석 축원 ⑴ 심청이 부친 허락 받고—시비 따라 장승상 댁 감
⑵ 배는 고파 등에 붙고—심봉사 물에 빠짐
⑶ 중 올라간다—몽은사 화주승 심봉사 구제
⑷ 허어 내가 미쳤구나—공양미 약속, 후회하며 탄식
⑸ 후원에 단을 묻고—심청이 신령께 치성드림
2. 처녀 구한다는 선인 외침, 선인들을 따라가는 심청
⑴ 하루는 문전에—심청이 몸을 팔기로 약속
⑵ 눈 어둔 백발 부친—부친 떠날 심청의 탄식
⑶ 심청이 거동 봐라—부친께 이별 고하는 심청
⑷ 허허 이것 웬 말이냐—사실을 안 심봉사의 탄식
⑸ 따라간다 따라간다—선인들 따라가는 심청의 슬픔
3. 범피중류, 심청 물에 빠진 후 선인들 돌아감
⑴ 범피중류 둥덩실—양자강 유역과 강남 풍경
⑵ 한 곳을 당도하니—아황 여영과 오자서 혼령 만남
⑶ 배의 밤이 몇 밤이며—지루함을 견디어 인당수 도착
⑷ 북을 두리둥—선인들 제사 후 투신 재촉
제 3 장
1. 심청 수궁 들어감, 황후된 심청 부친을 그리워함 ⑴ 위의도 장할시고—용왕이 심청을 데려가 환영함
⑵ 오색채단—심청이 모친 상봉과 다시 헤어짐
⑶ 북을 두리둥둥—심청 든 꽃봉, 선인들 제사 후 발견
⑷ 화초도 많고 많다—도사공 꽃봉 건짐, 황궁의 꽃타령
⑸ 천자 이 꽃 반기여겨—도사공 꽃봉 진상, 심청 출현
⑹ 추월은 만정하야—황후 된 심청, 못 전하는 편지
2. 심봉사 비문 안고 통곡, 방아타령 ⑴ 그때의 심봉사는—맹인잔치 소식, 타루비 안고 통곡
⑵ 밥 잘 먹고—행실 나쁜 뺑파와 동거
⑶ 도화동아 잘 있거라—가산 탕진한 뺑파와 황성 출발
⑷ 허허 뺑덕이네—뺑파 황봉사와 눈 맞아 도망
⑸ 천리 시내는—심봉사 목욕, 의복 도난
⑹ 어유아 방아요—방아타령
3. 안씨 맹인 만남, 심봉사 눈 뜨고 끝남
⑴ 그 부인이 하는 말이—심봉사 안씨 부인 만남
⑵ 이 잔치를 배설키는—심봉사 아버지 소리에 눈을 뜸
⑶ 만좌 맹인이—여러 맹인이 모두 눈을 뜸
⑷ 옳지 인제 알겠구나—심봉사 둘러보며 춤추고 좋아함
⑸ 예, 죄상을 아뢰리다—황봉사 한 눈만 뜨고 마무리
[박봉술 바디 적벽가]
제 1 장
1. 유비·관우·장비 도원결의2. 유비의 삼고초려3. 조조군의 총공세4. 장비의 장판교 호통5. 한·오 연합
제 2 장
1. 조조의 위세2. 조조 군사 한탄(1)3. 조조 군사 한탄(2)4. 패전 조짐 오작남비
5. 조조 군사 배치
제 3 장
1. 제갈량의 동남풍2. 주유의 제갈량 견제 실패
3. 주유·제갈량 군사배치4. 관운장의 행군5. 적벽강 큰 싸움
제 4 장
1. 조조의 패주(새타령)2. 조자룡 기습3. 장비의 호통4. 장승 치죄5. 부상병 조조 희롱
제 5 장
1. 화용도의 관운장
2. 조조의 애걸
3. 주창의 용맹
4. 관운장의 관용과 조조 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