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이원명 (지은이), 김종군, 박현숙, 송영림, 이원영, 하은하, 한상효, 황혜진 (옮긴이), 김현룡 (감수)
황금비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10% 0원
2,500원
42,500원 >
45,000원 -10% 0원
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50,000원 -10% 2500원 42,500원 >

책 이미지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98084491
· 쪽수 : 703쪽
· 출판일 : 2023-05-31

책 소개

고전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역작 『동야휘집』 완역본이 탄생했다. 『동야휘집』은 조선 3대 야담집으로 조선 후기 짤막한 야담들을 주제별, 인물별로 통합 증보한 한문 고전이다.

목차

역자 서문 『동야휘집』완역본을출간하며 5
원전 서문(原典序文) 동야휘집(東野彙輯) 32
동야휘집범례(東野彙輯凡例) 35
동야휘집총목(東野彙輯總目) 37

동야휘집(東野彙輯) 완역본 제4책

○ 동야휘집 권지십삼(東野彙輯 卷之十三)

요로원(要路院)에서 경향 두 선비 밤새 문답 작시하다 41
13-1.<201> 요로원이객문답(要路院二客問答)
여씨(呂氏) 선비 고란사에서 꿈속에 열 명 미녀와 작시하다 120
13-2.<202> 고란사십미수창(皐蘭寺十美酬唱)
제주 선비 장한철(張漢哲) 스물네 명과 표류하여 열 명만 생환하다 153
13-3.<203> 표만리십인전환(漂萬里十人全還)
홍도(紅桃) 조선・중국・남만(南蠻) 삼국 거쳐 와 가족 만나다 172
13-4.<204> 역삼국일가단취(歷三國一家團聚)
역관(譯官)이 안남(安南)에 가서 인삼 팔아 크게 이윤 얻다 181
13-5.<205> 섭남국삼상각리(涉南國蔘商榷利)
사신 수행 포장(砲匠)이 무인도에 홀로 내려져 큰 재물 얻다 198
13-6.<206> 낙소도포장획화(落小島砲匠獲貨)

○ 동야휘집 권지십사(東野彙輯 卷之十四)

유씨(劉氏) 표류해 단구(丹邱) 섬에 이르러 일출 광경을 관람하다 209
14-1.<207> 유랑표해도단구(劉郎漂海到丹邱)
강씨(姜氏) 선비 산속으로 인도되어 선경(仙境)을 방문하다 222
14-2.<208> 강생유산방도원(姜生遊山訪桃源)
표류한 신희복(愼希復) 적강 선녀인 유구국 공주와 혼인하다 233
14-3.<209> 남국접선아모귀(南國接仙娥謀歸)
북사(北寺) 신승(神僧)의 네 선비 관상(觀相)이 모두 적중하다 250
14-4.<210> 북사우신승논상(北寺遇神僧論相)
감사의 호출에 재능 발휘해 오랜 악감 해소하고 관직 얻다 260
14-5.<211> 인막명현능석감(因幕名衒能釋憾)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쳐 가난 구제해 주고 뒤에 보답 받다 274
14-6.<212> 용전공휼궁획보(用田功䘏窮獲報)
악호(惡虎) 처치를 도와 원수 갚게 하고 첩과 재물을 얻다 283
14-7.<213> 조박호복수수혜(助搏虎復讐受惠)
혼자 호랑이 잡아 굴레 씌워 재앙이 전환되어 재물 얻다 293
14-8.<214> 독겸표전화획재(獨鉗豹轉禍獲財)
양아들 돈 탕진해 버림받았다가 금괴 실어 와 양자 회복하다 302
14-9.<215> 수일석부자서륜(輸一石父子敍倫)
부부가 각기 장사하고 돈 불려 만금 이윤 얻어 부자 되다 312
14-10.<216> 영만금부처치부(贏萬金夫妻致富)
아내의 호백구(狐白裘) 돌아오고 옛 아내를 첩으로 들이다 323
14-11.<217> 환호구신구합연(還狐裘新舊合緣)
시체를 돼지와 바꿔 이불 덮어 속이고 전후 두 목숨 살리다 338
14-12.<218> 부체금전후활명(覆彘衾前後活命)
혼령이 무인(武人) 인도해 자기 원수 갚게 하고 보답을 하다 349
14-13.<219> 도사부보구화은(導射夫報仇話恩)
친분 두터운 승려를 유도해 간음 사실 밝혀 법대로 처치하다 359
14-14.<220> 희납우발간치법(戱衲友發奸置法)

○ 동야휘집 권지십오(東野彙輯 卷之十五)

귀매(鬼魅)에게 이끌리어 산속을 돌아다니며 함께 작시하다 369
15-1.<221> 산정접귀칭가구(山程接鬼稱佳句)
박천(博川) 나루에서 소년에게 특이 형상의 사람 실체를 묻다 381
15-2.<222> 진로봉인문이형(津路逢人問異形)
두창(痘瘡) 신령에게 준마(駿馬) 제공하여 두창 걸린 아이 살리다 392
15-3.<223> 접신증참소두아(接神贈驂甦痘兒)
신선과 친하여 얼음 속에서 잡아 준 잉어로 아내 병 고치다 401
15-4.<224> 방선획린구병처(訪僊獲鱗救病妻)
감영에서 정효성(鄭孝成)에게 무당 놀이 부탁해 곤욕 당하다 408
15-5.<225> 당헌청희피곤욕(棠軒請戲被困辱)
명설루(明雪樓) 강신(降神)굿에서 혼령과 정담(情談) 나누다 416
15-6.<226> 설루강신서정화(雪樓降神敍情話)
전처 혼령 악독한 후처 몸에 바뀌어 들어가 가정 잘 돌보다 424
15-7.<227> 반고처환혼지가(返故妻換魂持家)
꿈에 저승에서 정혼녀(定婚女)와 동침하고 꿈 깨어 혼인하다 434
15-8.<228> 우신부인몽성친(遇新婦因夢成親)
귀신이 은(銀) 빌려준 것은 정자 주춧돌 뽑아 준 보답이었다 443
15-9.<229> 대은요수발주초(貸銀要酬拔柱礎)
밥 요구하던 귀신 궤 속 돈 취한다 말하고 몰래 가져가다 453
15-10.<230> 색반잉고취궤동(索飯仍告取櫃銅)
요괴에게서 뺏은 구슬 소양정(昭陽亭)에서 잃고 후회하다 463
15-11.<231> 소양정실주이회(昭陽亭失珠貽悔)
혼령이 영월암(映月菴) 아래 시체 수습 부탁하여 원한 씻다 470
15-12.<232> 영월암수해해원(映月菴收骸解寃)
관노(官奴) 이의남(李義男) 용녀와 혼인하는 기이한 일 보이다 477
15-13.<233> 관동접황룡현이(官童接黃龍現異)
시골 남자 암곰과 살다 탈출하여 곰이 모은 재물로 부요해지다 486
15-14.<234> 촌맹우현웅치요(村氓遇玄熊致饒)
부친 병환에 도사의 술수로 토해 낸 벌레를 팔아 재물 얻다 493
15-15.<235> 토충매병겸획재(吐蟲賣病兼獲財)
함정에 빠진 호랑이가 구해 준 효부에게 묘지를 지정해 은혜 갚다 500
15-16.<236> 방호점혈상수혜(放虎占穴相酬惠)
박미(朴瀰)의 명마(名馬)가 귀양지 와서 석방 날 소리쳐 알리다 506
15-17.<237> 명마방주잉보희(名馬訪主仍報喜)
의구(義狗)가 주인을 위기에서 구하고 주인 원통함을 복수하다 513
15-18.<238> 의구구인차복수(義狗救人且復讐)
후릉(厚陵) 제사에 정성 들여 신령이 떨어뜨려 준 물고기 얻다 519
15-19.<239> 건성감신획타린(虔誠感神獲墮鱗)
물리친 요괴의 예언 글귀 감옥 안 들보 위 닭으로 증험되다 526
15-20.<240> 척사문명험서계(斥邪問命驗棲鷄)
물고기 사서 호수에 방생(放生)하고 베푼 음덕 보답 받다 533
15-21.<241> 일지방생시음덕(一池放生施陰德)
강줄기를 문서로 허가 받아 홍수에 물길 변해 큰 부자 되다 540
15-22.<242> 대강입안성거부(大江立案成鉅富)

○ 동야휘집 권지십육(東野彙輯 卷之十六)

상진(尙震)의 음덕이 홍계관(洪繼灌)의 점친 수명 연장하다 549
16-1.<243> 험복설시덕연수(驗卜說施德延壽)
유성룡(柳成龍)이 필담 종이를 불사르고 글을 올려 해결하다 557
16-2.<244> 분필담정문진정(焚筆談呈文陳情)
박태보(朴泰輔)의 왕후 폐위 충간에 숙종 임금 대노(大怒)하다 568
16-3.<245> 촉천노충간진절(觸天怒忠諫盡節)
영조 임금 위엄에 조중회(趙重晦) 직분 다해 직간(直諫)하다 586
16-4.<246> 범뇌위직언거직(犯雷威直言擧職)
두 명사(名士) 명기(名妓) 선점을 내기해 승기(勝氣) 즐기다 593
16-5.<247> 명사호승점화괴(名士好勝占花魁)
감사를 속여 거짓으로 미친 체한 기생이 언약한 곡산 관장을 따르다 600
16-6.<248> 소기양광부방약(少妓佯狂赴芳約)
살인을 가장한 친구 방문 거절한 일로 친구 사귐 경계하다 607
16-7.<249> 방우견거계결교(訪友見拒戒結交)
기녀와 동침 실험한 선비의 소담(笑談) 알려져 이름 팔리다 614
16-8.<250> 심창문언소고명(尋倡聞言笑沽名)
정씨(丁氏) 선비 태(胎) 빌려주고 늙어서 세 집에서 행복 즐기다 622
16-9.<251> 인차태오로삼가(因借胎娛老三家)
여자 몸에서 나온 음분(陰紛)을 사서 되팔아 큰 이익 얻다 630
16-10.<252> 득음분수리천금(得陰粉售利千金)
도적 두목에 초빙되어 도적을 감화시켜 양민으로 돌려보내다 638
16-11.<253> 선감화유도귀량(善感化諭盜歸良)
서울 관리로 잘못 알고 교제하여 도적을 들여놓아 재물 잃다 647
16-12.<254> 오결교납적실재(誤結交納賊失財)
김상성(金尙星) 함양 위성관에서 온몸에 털 난 신선 만나다 657
16-13.<255> 모선접화위성관(毛僊接話渭城館)
성현(成俔)이 만난 나귀 탄 손님이 동정호 건넌 시를 읊다 664
16-14.<256> 여객과음동정시(驢客過吟洞庭詩)
영남 방문 때 만난 부자가 말단 관직에 종사하여 비웃다 671
16-15.<257> 방영인조기환유(訪嶺人嘲其宦游)
친구 임배후(林配厚)를 만나 자연 속 산골 흥취를 자랑하다 678
16-16.<258> 대림우과이협거(對林友誇以峽居)
백 년 세월은 선비 황일덕(黃一悳) 꿈속 쓰르라미 고을이로다 685
16-17.<259> 백년광음혜고군(百年光陰蟪蛄郡)
일생 부귀란 석씨(石氏) 선비 호접향(蝴蝶鄕) 같은 꿈속이로다 696
16-18.<260> 일생부귀호접향(一生富貴蝴蝶鄕)

저자소개

이원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후기 순조~철종 연간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초명은 원경(源庚), 자는 치명(穉明), 호는 종산(鍾山), 시호는 문정(文靖). 이조참판, 형조판서, 이조판서 등 역임.
펼치기
하은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대, 건국대에서 국문학과 문학치료를 공부했다. 2023년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문학치료학회 간사이다. 논문으로 「<남백월 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을 통해 본 <신립 오성 이야기>의 구조적 특성과 문제의식」, 「귀신이야기의 형성 과정과 문학치료적 의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김종군은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로 있다. 연구 관심분야는 남북한 문학분야의 통합, 코리언의 민속문화 통합, 역사적 트라우마와 치유 방안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통합서사의 개념과 통합을 위한 문화사적 장치」, 「북한의 현대 이야기문학 창작 원리 연구」, 「탈북민 구술울 통해 본 북한 민속의례의 변화와 계승」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3권),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송영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주변에서 벌어지는 여성문제의 심각성을 고민하다가 옛이야기를 공부하면서 다양한 해답의 실마리와 치유의 방법을 찾아가고 있다. 건국대학교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있으며, 한국 옛이야기의 세계화와 타 장르와의 협업에 큰 관심이 있다. 지은 책으로 《샤텐의 정원》, 《어른을 위한 옛이야기의 비밀》 등이 있다.
펼치기
황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어교육과 및 동대학원 졸업. 현재 건국대학교에서 한국의 고전문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고전의 현대적 변용에 관심이 많아, 다양한 현대적 변용에 열려 있는 고전의 힘과 현대 작가의 창조적 상상력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고 싶어 한다. 한편, 고전의 수용사적 연구를 진행하면서 고전이 오늘날 수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등 고전을 살아있게 하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펼치기
김현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건국대 문과대학장, 교무처장, 부총장, 총장 권한대행 역임. <한국문헌설화>(전7권), <한국판소리정수>(전3권) 등 저술. 해천서당에서 <해동명장전> 번역 감수.
펼치기

책속에서

편찬자는 서문에서 이 책의 필요성과 편찬 이유, 서술 형식 및 효용성까지를 명쾌하게 밝히었다. 패관(稗官) 작품과 야사(野史)의 특이한 이야기를 찾아보고 신기한 내용을 널리 고찰하면, 역사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충할 수 있고 소담(笑談)의 기본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문장가들이 완전히 담을 쌓아 외면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그 필요성을 제시했다.
― 역자 서문


이 책은 조선 후기 다른 야담집과 달리 서문에서 편찬자의 명확한 편찬 의도와 방향을 제시하였고, 그 체제와 수록 작품의 분류 체계가 주제별로 잘 정돈되어 20세기 이전에 국내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설화분류법을 제시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지(書誌) 체제를 보면, 2권을 1책으로 하여, 제1책이 101장(張), 제2책이 87장, 제3책이 104장, 제4책이 120장, 제5책이 106장, 제6책이 114장, 제7책이 111장, 제8책이 108장으로 구성되었다.
― 역자 서문


중국 고대의 역사 사실이나 고사가 문장 속에 매우 많이 혼융되어 있으며, 고대 문헌에만 드물게 등장하는 난해한 단어들이 무수히 등장한다. 이러한 학구적인 저술 형태와 저본의 불확실성 때문에, 그 자료적 가치가 지대함에도 그동안 우리말의 완역이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 역자 서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142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