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 몸을 살리는 마이크로바이옴

내 몸을 살리는 마이크로바이옴

남연우 (지은이)
모아북스
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원 -10% 2,500원
150원
5,050원 >
2,700원 -10% 2,500원
0원
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1,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700원 -10% 130원 2,300원 >

책 이미지

내 몸을 살리는 마이크로바이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 몸을 살리는 마이크로바이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58490812
· 쪽수 : 108쪽
· 출판일 : 2018-09-05

책 소개

병 없이 사는 100세 건강법 시리즈 8번째. 현대의학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21세기형 난치병들이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으며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항생제 오남용의 실태와 질병의 세계를 알아보고 미생물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상세하게 알려준다.

목차

들어가며
건강의 열쇠, 장내 미생물에 주목하라

1장 새롭게 주목받는 마이크로바이옴

1. 제2의 유전체로 각광받는 장내 ‘착한 미생물’
2. 질병 정복의 새로운 꿈, 마이크로바이옴
3. 마이크로바이옴 선점을 위한 글로벌 전쟁
4.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질병들

2장 현대인의 항생제 오남용의 비극

1. 항생제의 역습
2 질병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미생물과 질병의 상관관계
4. 결국은 먹는 것이 문제다

3장 내 몸을 지키는 미생물에 주목하자

1. 우리 몸속 미생물의 세계
2. 이제는 항생제 대신 미생물
3. 왜 미생물이 새로운 대안인가
4. 숙주와 상부상조하는 미생물
5. 장내 미생물총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오틱스

4장 마이크로바이옴으로 건강을 되찾은 사람들

만성질환이 사라졌다
마이크로바이옴으로 되찾은 쾌변과 숙면
기적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건강한 생활의 출발
일석사조의 건강 지킴이, 마이크로바이옴
격렬한 호전반응 끝에 찾아온 행복

5장 마이크로바이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1.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무엇을 말하나요?
2. 마이크로바이옴은 건강기능식품으로도 나와 있나요?
3. 장내 미생물을 건강하게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우리나라의 항생제 남용 실태는 어떤가요?
5. 미생물과 우리 몸의 상관관계는 어떤 건가요?

맺음말
마이크로바이옴이 당신의 건강을 지킨다

저자소개

남연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창원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했으며 동대학원 졸업 후 마케팅컨설팅과 경영정보시스템, 프랜차이즈 창업 교수로 대학에 출강했다. 현재는 에이치앤앤컨설팅 대표로 활동하며 현대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강좌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e-mail : nam0099@naver.com
펼치기

책속에서

흥미로운 것은, 부자들의 전유물로 시작된 담배, 패스트푸드 같은 것들이 이제는 가난한 사람들의 기호품이자 주식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비만과 알레르기 같은 질환을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부유층이 겪는 반면, 선진국에서는 주로 빈곤층이 그런 만성 질환에 시달린다.
1918년, 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접어들던 무렵에 발병해 세계를 휩쓴 유행성 독감은 ‘누가’ 그 병에 걸렸는가를 간과해 사태를 키운 측면도 있다. 독감은 상식적으로 보면 노약자가 잘 걸리는 병이지만 당시의 독감에는 주로 건장한 청년들이 죽어나갔다. 독감 바이러스 때문이 아니라 그 바이러스를 제거하려다 면역계에 의해 고삐가 풀린 사이토카인(Cytokine) 발작 때문이다.


앞서 말한 서울과 지리산 아이들의 식단을 비교하면 뭐가 다를까. 엄청난 차이가 있을 성싶지만 실은 별 차이가 없다. 지방 섭취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일 뿐이다. 우리는 그동안 비만의 원인을 더 먹게 된 음식에서만 찾으려 했는데, 헛짚은 것이다. 그렇다면 식단에서 늘어난 영양소를 찾는 대신 사라진 영양소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서울과 지리산 아이들의 식단을 살펴보면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영양소가 있는데, 바로 섬유질이다. 지리산의 식단은 주로 채소, 곡물, 콩, 과일과 같은 섬유질이 듬뿍 든 음식으로 채워진다. 섬유질 함량이 2퍼센트에 불과한 서울 아이들의 식단에 비하면 지리산 아이들은 그보다 3~4배나 더 많은 섬유질을 섭취한다.
그 결과 의간균과 후벽균의 비율에 있어 서울의 아이들은 1대3으로 후벽균의 비율이 3배나 높은 반면 지리산의 아이들은 2대1로 의간균의 비율이 2배나 높게 나타난다. 이런 모든 결과를 놓고 보면 결국은 먹는 것이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의 대사산물은 면역 및 내분비 세포는 물론이고 신경 세포에까지 작용해 생체 기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그 구성은 각종 질병에 깊이 관여한다. 가령, 미국 텍사스대학교 MD앤더슨암센터 연구팀은 “암 환자들의 대변 시료에서 특정 박테리아 수치가 일반인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마이크로바이옴을 조절한 결과 항암 효과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밝혔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 구성 조절로 암과 비만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KAIST 의과학대학원 연구팀도 “같은 약이 어떤 사람에게는 듣지만 다른 어떤 사람에게는 듣지 않는 이유도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의 차이에서 비롯됐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고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84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