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의 진로선택
· ISBN : 9791158491727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2-04-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농어촌 컨설팅 개요
1장 컨설팅 지도의 이해
2장 농어촌 컨설팅 방법
제2부 농어촌자원 개발 지도
3장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개발
4장 농촌어메니티 개발 향상 방안
제3부 농업법인 지도
5장 법인 설립 근거 및 지침
6장 협동조합 기본법의 해설
7장 농업법인의 성공 조건
제4부 귀농·귀어 지도
8장 귀농 구상 및 스토리
9장 귀어·귀촌의 궁금증
제5부 현장강사 지도
10장 강사의 역할과 자세
11장 강사의 명강의 기법
제6부 스마트 농업 지도
12장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농업
13장 스마트팜 시스템의 현장 적용
부록 :
1. 영농조합법인 및 농업회사법인 정관(예)
2. 청년농업인 공모사업 신청서(예시)
3.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 신청서
참고문헌
책속에서
■농어촌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도시와 농어촌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농어촌지역의 당면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활동이 필요하게 됨.
■기술적 차원에서 농업, 농촌, 농어민이 직면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인 분석과 진단, 이에 대한 해결안을 도출하는 활동과 관련된 영역의 지식이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음.
■경영적 차원에서 농어촌 지역개발 정책사업에 대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세부적이고 전문화된 영역이 필요함.
농촌어메니티 자원은 ’농촌에 존재하는 특정적인 환경과 공동체적 요소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농촌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소이면서 각 구성원에게 휴양적, 심미적, 더 나아가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이다.
또한 야생, 경작과 관련된 경관, 역사 기념물, 문화적 전통 등을 포함하는 농촌지역의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모든 것으로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 가치들로부터 개인,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 전체가 효용을 창출하여 농촌지역 사회 발전에 중요한 자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농촌어메니티 자원은 크게 자연자원, 문화자원, 사회자원으로 분류하고, 이는 다시 환경자원, 생태자원, 역사자원, 경관자원,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 활동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땀을 흘려 농사를 지어 수확물을 많이 팔아도 남는 돈이 없으면 사업은 힘들 수밖에 없다. 가끔 신문지상에 흑자도산(黑字倒産)이라는 말을 볼 수 있다. 사업을 하여 이익을 냈는데 망했다는,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지만 자주 듣는 말이다. 또한 농가는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을 투자하여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을 설치하고 고가의 농기계를 사용하여 농업 경영을 하고 있다.
사업이 성공하려면 자신이 경영하고 있는 농장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함은 물론,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숫자로 표현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여야 한다. 특히 사업은 거래하는 상대방이 있으므로 상대방의 정보도 자세하게 숫자로 알고 있어야 거래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치화된 정보인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를 재무제표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