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5851182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8-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변곡점에 선 시대, 미래를 선점하라>
1장 부를 재편하는 경제구조
01 대충격: 2020년판 블랙스완, 코로나 사태
02 대충돌: 미국과 중국의 거대한 격돌
03 역대 최장 경기 확장을 이끈 돈의 힘과 버블
04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전환
05 저성장을 고착화하는 인구 감소
06 중국의 위협과 북한의 기회
2장 코로나 이후의 경제 트렌드 10가지
01 언택트 경제의 부상
02 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확산, 그리고 일자리 감소
03 세계화의 후퇴, 그리고 리쇼어링과 니어쇼어링의 확대
04 미국과 중국의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 및 글로벌 공급망 조정
05 정부의 무한 개입주의
06 바이러스는 평등하게 감염되지 않는다: 양극화의 확대
07 갑자기 우리 앞으로 다가온 기본소득
08 스마트 워크의 시대
09 공유경제와 플랫폼경제, 위기 혹은 기회
10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노력
<2부 부의 미래와 현명한 투자자>
3장 인식, 라이프스타일과 투자의 전환
01 거대한 머니무브: 부동산에서 금융으로
02 금융상품 가입자에서 직접 금융수익을 올리는 투자자로 변신하라
03 근면 성실과 저축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라
04 생애주기와 부의 주기를 디커플링하라
05 사교육과 스펙 투자의 배신, 유일함이 답이다
06 한 우물을 파지 말고 동시에 여러 일을 하라
07 새로운 기술 흐름의 로켓에 올라타라
4장 경제와 산업의 흐름을 이용한 주식 투자법
01 다른 모든 것 집어치우고, 주식투자를 권하는 이유
02 당신만 자본을 위해 일하지 말고, 자본도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
03 동학개미운동의 두 갈래 흐름: 반기면서도 걱정하는 이유
04 코로나 주가 폭락과 반등에서 배운 7가지 교훈
05 직장인이 단타매매로 돈을 벌 수 없는 이유
06 저성장 시대에 성장하는 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와 전략
주요 성장산업 투자법 1: 향후 10년 이상 고속성장할 최고의 투자처, 2차전지
주요 성장산업 투자법 2: 4차 산업혁명의 쌀 반도체, 사이클에 맞춰 투자하라
주요 성장산업 투자법 3: 무한한 가능성과 거품의 사이, 바이오-제약
5장 가장 확실한 투자법, 실적 중심 투자의 모든 것
01. 주식투자에서 성공하는 가장 확실한 법
02. 실적전환주: 가장 빠르게 수익이 나는 주식투자법
03. 최고의 수익률을 올려주는 333종목 찾는 법
04. 성장형우량주: 2~3년간 안정과 성장을 함께 가져갈 수 있는 주식
05. 실적성장형 고배당주: 노후대비를 위한 마음 편한 선택
06. 전통적 가치투자를 버려라! 성장성을 가미한 실적 중심의 가치주 투자법
07. 주식은 언제 사야 하나: 길목을 지키는 투자가 핵심이다
08. 주식 종류별 투자법과 투자기간
09. 효과적인 주식 투자 관리와 대응의 기준점, 투자로드맵 짜기
10.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의 3가지 원칙
11. 효과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및 대응
부록 ① 주요 인터넷 사이트 ② 텔레그램봇 및 블로그, 카페 ③ 유튜브 채널 ④ 추천 도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번 대충격으로 인해 생긴 변화들 중에는 코로나 사태가 끝나도 오랫동안 지속될 것들이 많다. 대표적으로 이전부터 있던 흐름이기는 했으나 앞으로 훨씬 더 많은 기업들이 더 적극적으로 자동화에 투자하고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 그에 따라 인간의 일자리는 더 빠른 속도로 기계에 밀려날 것이다. 또한 리쇼어링(소비시장 접근과 생산비 절감을 위해 해외에 진출했던 기업들이나 제조공장이 본국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가속화할 것이다. 비교우위론에 따라 무한 확장해온 국제분업과 세계화의 흐름에 급격한 제동이 걸릴 것이다. 특히 각종 물자의 교환은 어느 정도 회복되겠지만, 인적 교류가 회복되는 데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 1장 대충격: 2020년판 블랙스완, 코로나 사태 중에서
코로나 사태는 갑자기 많은 국가를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었다. 평상시 같으면 정부가 기업에게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모든 상점의 셔터를 내리고, 사람들에게 집 밖으로 나오지 말라고 명령할 수 있을까? 계엄령 아니면 북한 같은 폐쇄된 통제사회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한국보다 개인의 자유를 훨씬 더 중시하는 여러 유럽국가들이 바로 그렇게 하고 있다. 공장 문을 닫는 것 말고 다른 방식의 ‘사회주의적’ 정책도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국방물자생산법(DPA)을 발동하여 3M에 마스크 생산을 명령하고, 완성차업체인 GM에는 인공호흡기 생산을 강제했다. - 2장 정부의 무한개입주의 중에서
부자들은 더 부자가 되는 양극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정책연구소(IPS)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억만장자의 부가 코로나 사태 이후 3주 만에 10% 증가했다. 부의 쏠림을 막기 위한 정책이 실현되지 않는다면 소득과 기회의 불평등은 더 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의 영향으로 미국에서 1개월 동안 2600만 명이 일자리를 잃었지만 억만장자들의 재산은 3,800억 달러(약 467조 원)가 늘어났다. 초기에는 코로나의 충격으로 자산 손실을 보았겠지만 이후 투자시장이 급반등하면서 큰 이익을 올린 사람들도 많다. 외부적 충격으로 급락한 자산 가격은 돈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바겐세일’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코로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일자리는 물론 생명까지 앗아가지만 부자들에게는 자산을 극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양극화 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다. - 2장 바이러스는 평등하게 감염되지 않는다: 양극화의 확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