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91158904357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08-1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장: 한중 문학의 대화와 동아시아 문학
제1부 이육사의 중국 현대 문학 비평과 번역
제1장 루쉰 문학의 비평과 번역
1. ‘이활’에서 ‘이육사’로
2. 탐독한 루쉰 문학의 텍스트
3. 「루쉰 추도문」의 상호텍스트성과 루쉰 문학 비평의 의의
4. 「고향」 번역의 의의와 양상
5. 중국 현대 문학에 대한 관심의 확대
제2장 소품(소설) 창작과 니체의 수용 그리고 루쉰 문학
2. 「문외한의 수첩」의 서사 구조와 상징적 의미
3. 「황엽전」의 서사 구조와 상징적 의미
4. 이육사 및 루쉰의 ‘걷기’ 모티프와 차라투스트라의 의지의 길
5. 재생의 길
제3장 후스 문학사 저작의 번역과 구딩 단편소설의 번역
1. 검열과 제한된 참고 서적
2. 「중국문학 오십년사」의 저본과 번역의 양상
3. 한문시 번역의 양상과 그 시학
4. 「골목안(小巷)」의 저본과 번역의 양상
5. ‘중국’ 현대 문학 호명과 시대적 의의
제4장 시 창작과 쉬즈모 시의 번역
1. 한국에서 쉬즈모 시의 소개
2. 쉬즈모 시 번역의 양상
3. 시 창작이 쉬즈모 시 번역에 미친 영향
4. 시상(詩想)의 번역과 시적 완결성의 추구
제2부 한중 문예 교류와 상호 문화 인식
제5장 루쉰의 초상 이미지와 작품 텍스트의 유전(流傳)
1. 루쉰의 작가적 명성과 대중적 이미지 형성 _ 210
2. 루쉰의 초상 이미지의 유전 _ 218
3. 루쉰의 작품 텍스트와 루쉰 이미지의 재구축 _ 241
4. 루쉰 문학에의 체계적인 접근 _ 2
제6장 후스와 김현구 그리고 김구경: 한글 자모의 이해와 중국 선종사(禪宗史) 연구
1. 후스와 한국인의 교류 및 동시기 한국의 후스 비평
2. 후스와 김현구의 교유와 한글 자모
3. 후스와 김구경의 학문적 교류와 중국 선종사 연구
4.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
제7장 한중 문예 교류의 확대와 저우쭤런 문예의 비평
1. 한중 문예 교류의 확대
2. 정래동과 저우쭤런의 교류
3. 정래동의 「저우쭤런과 중국의 신문학」
4. 김태준의 저우쭤런 방문과 비평
5. 이명선의 「저우쭤런론」
6. 사상적 계보와 제한된 영향력
제8장 저우쭤런의 동아시아 문명 의식과 한국 문화 인식
1. 한국 문화 관련 서적의 구입
2. 한국어 학습과 ‘조선’ 인식의 기점
3. ‘조선전설’의 번역과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과 그 예술』
4. 중·일·한 동아시아의 문화적 관계
5. ‘사상(思想)’의 한계와 ‘대동아주의’ 선전
제9장 『조선민간고사』의 중역과 쉬베이훙의 삽화
1. 『조선민간고사』의 중역(中??)과 저본 텍스트
2. 가린 및 페르스키의 한국에 대한 시선과 『조선민간고사』 번역의 문화적 함의
3. 쉬베이훙이 그린 삽화의 특징과 그 의의
4. 『조선민간고사』의 한국 구비 문학에서의 위상
참고문헌
출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