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중 문학의 대화

한중 문학의 대화

(이육사와 루쉰 그리고 한중 상호 문화 인식)

홍석표 (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2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90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중 문학의 대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중 문학의 대화 (이육사와 루쉰 그리고 한중 상호 문화 인식)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91158904357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1-08-19

책 소개

근대 시기 한중 간 문학 교류의 역사를 동아시아 관점에서 면밀히 고찰한 연구서.1937년 일본이 중국을 침략함으로써 개인적인 교류마저 유지되기 힘든 위기에 처했다. 이후 해방과 더불어 전환기를 맞이한 듯했으나 곧이어 냉전 체제가 구축되고 한국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문학을 통한 교류는 단절에 가까운 상황으로 이어졌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한중 문학의 대화와 동아시아 문학

제1부 이육사의 중국 현대 문학 비평과 번역

제1장 루쉰 문학의 비평과 번역

1. ‘이활’에서 ‘이육사’로
2. 탐독한 루쉰 문학의 텍스트
3. 「루쉰 추도문」의 상호텍스트성과 루쉰 문학 비평의 의의
4. 「고향」 번역의 의의와 양상
5. 중국 현대 문학에 대한 관심의 확대

제2장 소품(소설) 창작과 니체의 수용 그리고 루쉰 문학
2. 「문외한의 수첩」의 서사 구조와 상징적 의미
3. 「황엽전」의 서사 구조와 상징적 의미
4. 이육사 및 루쉰의 ‘걷기’ 모티프와 차라투스트라의 의지의 길
5. 재생의 길

제3장 후스 문학사 저작의 번역과 구딩 단편소설의 번역
1. 검열과 제한된 참고 서적
2. 「중국문학 오십년사」의 저본과 번역의 양상
3. 한문시 번역의 양상과 그 시학
4. 「골목안(小巷)」의 저본과 번역의 양상
5. ‘중국’ 현대 문학 호명과 시대적 의의

제4장 시 창작과 쉬즈모 시의 번역
1. 한국에서 쉬즈모 시의 소개
2. 쉬즈모 시 번역의 양상
3. 시 창작이 쉬즈모 시 번역에 미친 영향
4. 시상(詩想)의 번역과 시적 완결성의 추구

제2부 한중 문예 교류와 상호 문화 인식

제5장 루쉰의 초상 이미지와 작품 텍스트의 유전(流傳)

1. 루쉰의 작가적 명성과 대중적 이미지 형성 _ 210
2. 루쉰의 초상 이미지의 유전 _ 218
3. 루쉰의 작품 텍스트와 루쉰 이미지의 재구축 _ 241
4. 루쉰 문학에의 체계적인 접근 _ 2

제6장 후스와 김현구 그리고 김구경: 한글 자모의 이해와 중국 선종사(禪宗史) 연구
1. 후스와 한국인의 교류 및 동시기 한국의 후스 비평
2. 후스와 김현구의 교유와 한글 자모
3. 후스와 김구경의 학문적 교류와 중국 선종사 연구
4.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

제7장 한중 문예 교류의 확대와 저우쭤런 문예의 비평
1. 한중 문예 교류의 확대
2. 정래동과 저우쭤런의 교류
3. 정래동의 「저우쭤런과 중국의 신문학」
4. 김태준의 저우쭤런 방문과 비평
5. 이명선의 「저우쭤런론」
6. 사상적 계보와 제한된 영향력

제8장 저우쭤런의 동아시아 문명 의식과 한국 문화 인식
1. 한국 문화 관련 서적의 구입
2. 한국어 학습과 ‘조선’ 인식의 기점
3. ‘조선전설’의 번역과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과 그 예술』
4. 중·일·한 동아시아의 문화적 관계
5. ‘사상(思想)’의 한계와 ‘대동아주의’ 선전

제9장 『조선민간고사』의 중역과 쉬베이훙의 삽화
1. 『조선민간고사』의 중역(中??)과 저본 텍스트
2. 가린 및 페르스키의 한국에 대한 시선과 『조선민간고사』 번역의 문화적 함의
3. 쉬베이훙이 그린 삽화의 특징과 그 의의
4. 『조선민간고사』의 한국 구비 문학에서의 위상

참고문헌
출전
찾아보기

저자소개

홍석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중국 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회장 및 국제루쉰연구회(國際魯迅硏究會) 이사를 맡고 있다. 루쉰 문학을 비롯해 중국 현대문학사 및 학술사에 관해 연구해왔으며, 최근에는 관심 영역을 확대해 동아시아적 시좌에서 근대 시기 한중 간 문학(문예)과 사상의 교류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루쉰과 근대 한국』(201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근대 한중 교류의 기원』(2015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중국 근대학문의 형성과 학술문화담론』(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중국현대문학사』(2010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중국의 근대적 문학의식 탄생』(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천상에서 심연을 보다: 루쉰(魯迅)의 문학과 정신』, 『현대중국, 단절과 연속』(2005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그 밖에 『루쉰전집』 제1권·제5권·제12권(공역), 『화개집·화개집속편』, 『한문학사강요·고적서발집』(2003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무덤』, 『중국당대신시사』(2000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등 다수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