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85909295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5-06-08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초판 서문
제1장 중국 현대문학사의 범주와 근대적 문학 의식
제1절 현대문학사의 범주와 전개 양상
제2절 전통적 문학 의식의 근대적 변화
제2장 전통의 붕괴와 문학 개혁의 움직임
제1절 서학 수용과 진화론의 충격
제2절 전통시의 개혁과 신문체의 창안
제3절 소설계혁명의 제창
제4절 창작소설과 번역소설의 유행
제5절 문학 개혁의 한계
제3장 5·4문학혁명과 신문학의 탄생
제1절 『신청년』의 창간과 신문화운동
제2절 문학혁명의 제창
제3절 서양 문학의 영향과 ‘인간의 문학’
제4절 신문학의 탄생
제5절 문학혁명의 반대
제4장 전문적인 문학 단체의 결성과 창작 방법의 표방
제1절 전문적인 문학 단체의 결성
제2절 문학연구회와 사실주의
제3절 창조사와 낭만주의
제4절 문학 경향의 차이와 대립
제5장 루쉰의 문학
제1절 루쉰(魯迅)의 생애와 창작 활동
제2절 「광인일기」와 「아Q정전」
제3절 『납함』과 『방황』
제4절 『야초』와 『조화석습』
제5절 『고사신편』
제6장 백화 신시의 출현과 다양한 신시 유파의 등장
제1절 시 형식의 해방과 백화 신시
제2절 궈모뤄(郭沫若)의 『여신』
제3절 신월파의 신격률시
제4절 상징시의 등장
제5절 현대파의 현대주의 시
제7장 소설 형식의 탐색과 장편소설의 풍성한 수확
제1절 낭만적 서정소설
제2절 향토소설
제3절 ‘인생을 위한’ 소설
제4절 마오둔(茅盾)과 『한밤중』
제5절 바진(巴金)과 『가(家)』
제6절 라오서(老舍)와 『낙타 샹쯔』
제8장 혁명문학의 제창과 좌익 문단의 성립
제1절 혁명문학의 제창
제2절 혁명문학 논쟁과 중국좌익작가연맹의 결성
제3절 문예 이론 논쟁의 심화
제4절 문예 대중화 토론과 좌익 문학
제9장 현대 산문 양식의 발전과 분화
제1절 잡문 양식의 출현
제2절 미문의 소품문
제3절 다양한 서정 산문
제4절 보고문학의 발달
제10장 서양 현대극의 수용과 희극 창작의 성숙
제1절 과도적인 ‘문명신희’의 출현
제2절 ‘아마추어극’운동과 ‘국극’운동
제3절 화극 창작과 좌익 화극운동
제4절 톈한(田漢)과 「명배우의 죽음」
제5절 차오위(曹禺)와 『뇌우』
제11장 원앙호접파 소설과 통속문학의 유행
제1절 원앙호접파 소설
제2절 통속문학의 확대
제3절 쉬전야(徐枕亞)의 『옥리혼』
제4절 장헌수이(張恨水)의 『울고 웃는 인연』
제5절 통속문학의 가치
제12장 전쟁 시기 문단과 작가들의 문학적 대응
제1절 항일전쟁과 문단 상황
제2절 문예 논쟁과 토론
제3절 역사극의 왕성한 창작
제4절 칠월시파와 아이칭(艾靑)
제5절 펑즈(馮至) 그리고 구엽파 시인
제13장 ‘경파’·‘해파’ 문학과 선충원, 장아이링, 첸중수의 소설
제1절 ‘경파’ 문학과 ‘해파’ 문학
제2절 선충원(沈從文)과 향토소설
제3절 『변성』, 향촌의 아름다운 인성과 풍속
제4절 장아이링(張愛玲)과 도시 ‘전기(傳奇)’소설
제5절 『전기』, 일상 속의 욕망과 삶의 황량함
제6절 첸중수(錢鍾書)와 『포위된 성』
제14장 문예 정풍운동과 사회주의 이념의 문학적 구현
제1절 문예 정풍운동의 전개
제2절 문예 좌담회의 강화
제3절 자오수리(趙樹理)와 딩링(丁玲)의 소설
제4절 신가극 「백모녀」와 보고문학
제15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