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헌법개정

한국의 헌법개정

박재창 (엮은이)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018-05-10
  |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400원 -5% 0원 1,600원 2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헌법개정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헌법개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헌법
· ISBN : 9791159012815
· 쪽수 : 576쪽

책 소개

한국미래정부연구회 연구총서 15권. 법학, 정치학, 사회학, 행정학, 정책학 분야 전문가들이 개헌과 관련된 주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주문하는지를 비교 검토해 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보고자 했다.

목차

서문_5

제1부 시민주동의 개헌전략
제1장 국민참여 개헌의 당위와 조건 : 장영수 • 23
제2장 시민정치 헌법화의 경로와 방법 : 김상준 • 57
제3장 시민주도 개헌의 전략과 과제 : 박재창 • 99

제2부 권력구조의 개편방향

제4장 권력분립형 대통령제의 구축 : 김용호 • 135
제5장 분권형 대통령제로의 전환 : 강상호 • 181
제6장 의회제적 이원정부제의 적용 : 이동성, 유종성 • 243

제3부 지방분권과 개헌과제

제7장 지방분권개헌의 당위와 과제 : 이기우 • 277
제8장 격차사회의 등장과 분권개헌 : 임승빈 • 311
제9장 지방분권개헌의 방법과 대안 : 김성호 • 339

제4부 사회변동과 헌법가치

제10장 정보사회의 도래와 헌법적 대응 : 박상돈 • 401
제11장 성평등 헌법과 여성대표성 확대 : 김은주 • 441
제12장 헌법상 환경권 강화의 입법전략 : 김태호 • 503

제5부 부록

참고문헌 • 535
일러두기 • 538
찾아보기 • 567
필진소개 • 572

저자소개

박재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중이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행정학회 회장, 한국 NGO학회 회장, 한국 국제지역학회 회장, 한국 정치행정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 외국어대학교 석좌교수, 독일 자유베를린대학교 훔볼트재단 연구교수, 미국 버클리대학교 플브라이트 교수, 일본 동지사대학교 객원교수, 태국 창마이라찻팟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미국 정치학회의 Congressional Fellow, (사)한국미래정부연구회 이사장, (사)아세아의회발전연구소 소장, (사)옴부즈만연구소 이사장, 아시아·태평양 YMCA연맹 회장으로 활동했다. 『코로나-19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지구 거버넌스와 NGO』, 『대안관광과 NGO』, 『옴부즈만 : 제4부』, 『한국의 거버넌스』, 『한국의 헌법개정』, 『한국의 시대정신』, 『한국의 국정개혁』, 『New Governance: Issues and Challenges』, 『정치쇄신 4.0』, 『거버넌스 시대의 국정개조』, 『Responses to the Globalizing World』, 『한국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분권과 개혁』, 『한국의회윤리론』, 『한국의회개혁론』, 『한국의회정치론』, 『한국전자의회론』, 『한국의회행정론』 등 50여 편의 저서와 편저가 있다. 이 중 『지구 거버넌스와 NGO』는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된 이력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최고규범인 헌법을 제정할 수 있다는 것은 그 국가의 최고 권력이며, 주권자와 헌법제정 권력자가 별개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민주국가에서 헌법제정 권력은 주권자인 국민에게 있다.
그러나 국민이 입법권이나 집행권이 주체가 아닌 것처럼, 주권자인 국민이 항상 헌법 개정 권력의 주체가 아닌 경우도 적지 않다. 예컨대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의 경우처럼 국회에서 헌법 개정의 발의와 의결을 통해 헌법 개정을 결정할 때에는 국회가 헌법 개정 권력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제3공화국 헌법에서 헌법 개정을 위해서는 국민투표를 통해 결정하도록 한 이후로 국민은 헌법 개정 권력을 갖게 되었으며, 국민의 의사에 반하는 헌법 개정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로도 헌법개정안이 국민투표에서 부결된 예는 없었다. 역대 최악의 헌법이라고 지칭되는 유신헌법조차도 91.5%의 높은 찬성으로 통과되었으며, 1987년의 제9차 개헌안에 대한 국민투표에서는 93.1%의 찬성률이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 하에서 의원내각제 개헌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국회의원들의 압도적 다수가 이에 찬성함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이를 원치 않는다는 여론조사의 결과에 따라 내각제 개헌안이 발의조차 되지 못했던 것에서 확인된다.
이제 국민은 주권자이자 헌법제정 권력자로서, 그리고 동시에 헌법 개정 권력자로서 국가질서의 근간을 결정하는데 근원적인 정당성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국민투표를 통해서 또는 여론을 통한 국민 의사의 표출을 통해서 헌법 개정에 대한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