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의회행정의 이론과 실제

의회행정의 이론과 실제

박재창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450원 -5% 0원
1,550원
27,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의회행정의 이론과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의회행정의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71991198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4-01-25

책 소개

의회행정 전반에 대한 학술적인 논점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 소개함으로써 ‘의회행정’ 분야에 대한 정보를 널리 공유하고, 관련 연구를 심화하기 위하여 출간된 학술서이다. 시민의 대표이자 동시에 국정 운영의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의회에 주목한다.

목차

서문 지구화 시대, 의회행정의 신지평을 열며 5

제I편 의회행정의 논리
제I장 의회행정이란 무엇인가 23
제II장 의회행정 연구의 배경 55
제III장 의회행정 연구의 좌표 74
제IV장 의회개혁의 전략 과제 99

제II편 의회관리론
제V장 의회 구성의 원리와 유형 121
제VI장 위원회의 조직과 운영 148
제VII장 입법관료제의 유형 189
제VIII장 의회 재정의 운영 233
제IX장 전자의회와 정보 관리 252

제III편 입법과정론
제X장 시민참여와 정책과정 293
제XI장 정책형성과 입법과정 346
제XII장 법률입안과 의안심의 410

제IV편 대외관계론
제XIII장 의회의 대(對)행정부 통제 451
제XIV장 의회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474
제XV장 의원외교의 원리와 과제 505

참고문헌 527
저자소개 542

저자소개

박재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행정학회 회장, 한국 NGO학회 회장, 한국 국제지역학회 회장, 한국 정치행정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좌교수, 독일 자유베를린대학교 홈볼트재단 연구교수, 미국 버클리대학교 플브라이트 교수, 일본 동지사대학교 객원교수, 태국 창마이라찻팟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미국 정치학회의 Congressional Fellow, (사)한국미래정부연구회 이사장, (사)아세아의회발전연구소 소장, (사)옴부즈만연구소 이사장, 아시아·태평양 YMCA 연맹 회장으로 활동했다. 『코로나-19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지구 거버넌스와 NGO』, 『대안관광과 NGO』, 『옴부즈만: 제4부』, 『한국의 거버넌스』, 『한국의 헌법개정』, 『한국의 시대정신』, 『한국의 국정개혁』, 『New Governance: Issue and Challenges』, 『정치쇄신 4.0』, 『거버넌스 시대의 국정개조』, 『Responses to the Globalizing World』, 『한국민주주의와 시민사회』, 『분권과 개혁』, 『한국의회윤리론』, 『한국의회개혁론』, 『한국의회정치론』, 『한국전자의회론』, 『한국의회행정론』 등 50여 편의 저서와 편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의회행정이란 무엇인가?
―제2절 의회의 이중적 성격

어떤 의회가 되었건 이를 철학적 관점에서 보면, 의회는 자신이 존치되어 있는 사회의 소우주적 축약(microcosm)을 지향한다. 이는 의회의 구성원리인 대의민주주의를 대의제와 민주제로 나누어 볼 때, 대의제가 그 사회공동체의 의사가 의회의 구성원에 의해 대표된다는 점을 시사하는 반면, 민주제는 그 과정에서 동등 참여권을 전제하는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의미의 의회는 규범적 목표이거나 이념적 지표일 뿐이며, 운영 실제에서는 사회 공동체 구성원 간의 역동적 관계가 빚어내는 권력의 재편과정을 투사한다. 따라서 의회는 사회공동체 구성원들이 지니는 비전과 실질 권력관계에 의해 빚어지는 창조적 변용의 궤적이며, 비일상적 생성과 소멸의 누적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의회는 그가 존치되어 있는 사회의 일부이며, 그 시대의 성격을 반영한다(Heaphe y, 1978:18). 그렇기 때문에 비항구적 가변체일 수밖에 없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의회를 사회공동체의 시각에서만 관측하고 해석할 수는 없다. 의회가 규범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사회공동체에 기초하고 연유하는 것은 틀림없지만, 의회는 공동체 그 자체가 아니며, 오히려 그의 대표자들에 의해 구성되는 정부 기관의 일종이라는 또 다른 차원을 함축한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의회의 초기적인 형태는 사회공동체에 근접하는 성질의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아테네의 민회이다. 그러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의회 내외의 환경이 복잡화, 다원화, 고도기술화, 급변화하게 되고, 그 결과 의회는 기능적 분화와 구조적 전문화를 촉진하게 되었다. 그의 연장선상에서 오늘날 의회가 하나의 상설적 조직체로까지 정착되기에 이르렀다는 사실은 췌언을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의회는 이를 구성분적 접근시각(component approach)에서 보면 시민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사회공동체적(social community oriented) 존재이면서 동시에 국가와의 관계에서는 조직체적(orgnizational) 존재라는 이중적 성격의 복합구조물에 다름 아니다(Wo r t h l e y & Crane, 1976:160). 전자가 개인의 집합체로서 일반의지를 지향하는 정치적 대표성을 강조한다면 후자는 구성원 사이의 합의를 지향하는 심의성에 주목하고자 하는 특성을 지녔다. 전자가 일반시민들 사이의 역동적 권력관계를 투사한다면 후자는 의회 구성원들 사이의 기관 형성에 따른 결과물을 함축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