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59058349
· 쪽수 : 491쪽
· 출판일 : 2023-10-31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머리말[前言]
책머리
전진륜서[錢序]
황절서[黃序]
우염서(虞炎序)
장부제사(張溥題辭)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첨부:송본 『포씨집』 목차[宋本鮑氏集目錄]
포참군집
권1
부(賦)
떠도는 생각[遊思賦]
물시계를 보고-서와 함께[觀漏賦-幷序]
죽은 이를 애도하며[傷逝賦]
황폐한 성[蕪城賦]
연꽃[芙蓉賦]
남새밭 아욱[園葵賦]
춤추는 학[舞鶴賦]
거위-서와 함께[野鵝賦-幷序]
자벌레[尺蠖賦]
불나방[飛蛾賦]
표·소(表疏)
유원경을 위해 쓴 표기장군 직의 제수를 사양하는 표[爲柳令讓驃騎表]
말릉령 직의 제수에 감사하는 표[謝秣陵令表]
삼베옷을 벗고 시랑이 됨을 감사하는 표[解褐謝侍郞表]
금지령의 해제에 감사하는 표[謝解禁止表]
황손의 탄생을 축하하며 올리는 표[皇孫誕育上表]
정북세자께 왕자의 탄생을 축하하며 올리는 표[征北世子誕育上表]
시랑 직을 제수하심에 올리는 소[拜侍郞上疏]
시랑의 임기 만료를 보고하고 궁문을 떠나며 올리는 소[侍郞報滿辭閤疏]
좌상시로 전임시켜주심에 감사하는 상소[轉常侍上疏]
은총을 입어 사면됨을 감사하는 상소[謝隨恩被原疏]
권2
계(啓)
왕국의 제도를 논하는 계[論國制啓]
승직 조칙을 거둬주시기를 청하는 계[謝上除啓]
치료 약을 하사하심에 감사하는 계[謝賜藥啓]
영안령 직에서 금지령을 해제하심에 감사하는 계[謝永安令解禁止啓]
세자에게 해직을 간청하는 계[通世子自解啓]
거듭 세자에게 올리는 계[重與世子啓]
휴가를 청하는 계(1)[請假啓(一)]
휴가를 청하는 계(2)[請假啓(二)]
시흥왕에게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바치는 계[奉始興王白紵舞曲啓]
서(書)
대뢰안에 올라서 누이에게 부친 편지[登大雷岸與妹書]
송(頌)
황하가 맑아짐을 기리는 송-서와 함께[河淸頌-幷序]
불영을 기리는 송[佛影頌]
명(銘)
능연루 명-서와 함께[淩煙樓銘-幷序]
비백서의 필세 명[飛白書勢銘]
약상자 명[藥奩銘]
석범산 명[石帆銘]
문(文)
과보산 갈문(瓜步山楬文)
포참군집주 2 차례
역자 서문
머리말[前言]
책머리
전진륜서[錢序]
황절서[黃序]
우염서(虞炎序)
장부제사(張溥題辭)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첨부:송본 『포씨집』 목차[宋本鮑氏集目錄]
포참군집
권3
악부(樂府)
뽕을 따며[採桑]
「호리의 노래」를 본떠[代蒿里行]
「만가」를 본떠[代挽歌]
「동문의 노래」를 본떠[代東門行]
「목놓아 부르는 노래」를 본떠[代放歌行]
진사왕 조식의 「낙양의 노래」를 본떠[代陳思王京洛篇]
「대문 밖에 수레 탄 손님이 있어」를 본떠[代門有車馬客行]
「뱃노래」를 본떠[代櫂歌行]
「흰머리 될 때까지」를 본떠[代白頭吟]
「동무의 노래」를 본떠[代東武吟]
「짝 잃은 학의 노래」를 본떠[代別鶴操]
「계의 북문을 나서며」를 본떠[代出自薊北門行]
육기의 「군자가 생각할 것」을 본떠[代陸平原君子有所思行]
「슬픔의 노래」를 본떠[代悲哉行]
진사왕 조식의 「백마의 노래」를 본떠[代陳思王白馬篇]
「승천의 노래」를 본떠[代昇天行]
송백의 노래-서와 함께[松柏篇-幷序]
「지독한 무더위의 노래」를 본떠[代苦熱行]
「밝은 달의 노래」를 본떠[代朗月行]
「당상의 노래」를 본떠[代堂上歌行]
「소년 협객들의 노래」를 본떠[代結客少年場行]
권4
악부(樂府)
부풍의 노래[扶風歌]
「소년에서 노쇠하기까지의 노래」를 본떠[代少年時至衰老行]
「봄날 형산에 올라」를 본떠[代陽春登荊山行]
「빈천의 고통」을 본떠[代貧賤苦愁行]
「변방 생활의 노래」를 본떠[代邊居行]
「규가의 노래」를 본떠[代邽街行]
소사의 노래[蕭史曲]
왕소군(王昭君)
오 지방 노래(1)[吳歌(1)]
오 지방 노래(2)[吳歌(2)]
오 지방 노래(3)[吳歌(3)]
마름을 따며(1)[採菱歌(1)]
마름을 따며(2)[採菱歌(2)]
마름을 따며(3)[採菱歌(3)]
마름을 따며(4)[採菱歌(4)]
마름을 따며(5)[採菱歌(5)]
마름을 따며(6)[採菱歌(6)]
마름을 따며(7)[採菱歌(7)]
그윽한 택란(1)[幽蘭(1)]
그윽한 택란(2)[幽蘭(2)]
그윽한 택란(3)[幽蘭(3)]
그윽한 택란(4)[幽蘭(4)]
그윽한 택란(5)[幽蘭(5)]
중흥의 노래(1)[中興歌(1)]
중흥의 노래(2)[中興歌(2)]
중흥의 노래(3)[中興歌(3)]
중흥의 노래(4)[中興歌(4)]
중흥의 노래(5)[中興歌(5)]
중흥의 노래(6)[中興歌(6)]
중흥의 노래(7)[中興歌(7)]
중흥의 노래(8)[中興歌(8)]
중흥의 노래(9)[中興歌(9)]
중흥의 노래(10)[中興歌(10)]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1)[代白紵舞歌辭(1)]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2)[代白紵舞歌辭(2)]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3)[代白紵舞歌辭(3)]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4)[代白紵舞歌辭(4)]
「흰 모시의 노래」를 본떠(1)[代白紵曲(1)]
「흰 모시의 노래」를 본떠(2)[代白紵曲(2)]
「기러기는 우는데」를 본떠[代鳴雁行]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擬行路難(1)]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2)[擬行路難(2)]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3)[擬行路難(3)]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4)[擬行路難(4)]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5)[擬行路難(5)]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6)[擬行路難(6)]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7)[擬行路難(7)]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8)[擬行路難(8)]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9)[擬行路難(9)]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0)[擬行路難(10)]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1)[擬行路難(11)]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2)[擬行路難(12)]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3)[擬行路難(13)]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4)[擬行路難(14)]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5)[擬行路難(15)]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6)[擬行路難(16)]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7)[擬行路難(17)]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8)[擬行路難(18)]
매화는 지고[梅花落]
「회남왕」을 본떠[代淮南王]
「꿩은 아침부터 나는데」를 본떠[代雉朝飛]
「북풍은 쌀쌀하고」를 본떠[代北風涼行]
「황성의 참새」를 본떠[代空城雀]
「밤에 앉아 읊조리며」를 본떠[代夜坐吟]
「봄날의 노래」를 본떠[代春日行]
포참군집주 3 차례
역자 서문
머리말[前言]
책머리
전진륜서[錢序]
황절서[黃序]
우염서(虞炎序)
장부제사(張溥題辭)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첨부:송본 『포씨집』 목차[宋本鮑氏集目錄]
포참군집
권5
시(詩)
복주산의 연회에 시종하여(1)[侍宴覆舟山(1)]
복주산의 연회에 시종하여(2)[侍宴覆舟山(2)]
배릉에 시종하여 경현산에 올라서[從拜陵登京峴]
산산에서 시흥왕의 명으로 짓다[蒜山被始興王命作]
여산에 올라[登廬山]
여산에 올라 석문을 바라보며[登廬山望石門]
향로봉을 시종하여 오르며[從登香爐峯]
유 중랑을 따라 원산의 석실에 놀러 가서[從庾中郎遊園山石室]
번거현에 올라[登翻車峴]
황학기에 올라[登黃鶴磯]
운양의 구리보에 올라[登雲陽九里埭]
여산에서 동쪽으로 진택을 바라보며[自廬山東望震澤]
삼짇날 남원을 유람하며[三日遊南苑]
벗 마자교에게(1)[贈故人馬子喬(1)]
벗 마자교에게(2)[贈故人馬子喬(2)]
벗 마자교에게(3)[贈故人馬子喬(3)]
벗 마자교에게(4)[贈故人馬子喬(4)]
벗 마자교에게(5)[贈故人馬子喬(5)]
벗 마자교에게(6)[贈故人馬子喬(6)]
손님에게 답함[答客]
왕 비서승의 시에 화답하여[和王丞]
황혼 녘 강을 바라보며-순 좌승에게[日落望江贈荀丞]
가을날-혜휴 스님에게[秋日示休上人]
혜휴 스님에게 답함[答休上人]
오흥 황포정에서 유 중랑을 송별하며[吳興黃浦亭庾中郎別]
오 시랑과 이별하며[與伍侍郞別]
선성 태수 왕승달(王僧達)을 송별하며[送別王宣城]
종제 포도수를 송별하며[送從弟道秀別]
부 도조와의 이별에 부쳐[贈傅都曹別]
부 대농의 「동료와 이별하며」에 화답하여[和傅大農與僚故別]
성 시랑을 전송하며 후정에서 전별연을 베풀어[送盛侍郞餞候亭]
순 중서와 이별하며[與荀中書別]
시종하여 옛 궁궐에 들러서[從過舊宮]
임해왕을 시종하고 형주로 가려고 막 신저를 출발하며[從臨海王上荊初發新渚]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1)[還都道中(1)]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2)[還都道中(2)]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3)[還都道中(3)]
심양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上潯陽還都道中]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삼산에 이르러 석두성을 바라보며[還都至三山望石頭城]
환도의 송시[還都口號]
경구로 가는 길에 죽리에 이르러[行京口至竹里]
후저를 출발하며[發後渚]
양기에서 바람이 잦아들기를 기다리며[岐陽守風]
장송을 출발하면서 눈을 만나[發長松遇雪]
역사를 읊다[詠史]
촉의 네 현인을 읊다[蜀四賢詠]
포참군집주 4 차례
역자 서문
머리말[前言]
책머리
전진륜서[錢序]
황절서[黃序]
우염서(虞炎序)
장부제사(張溥題辭)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첨부:송본 『포씨집』 목차[宋本鮑氏集目錄]
포참군집
권6
시(詩)
「고시」를 본떠(1)[擬古(1)]
「고시」를 본떠(2)[擬古(2)]
「고시」를 본떠(3)[擬古(3)]
「고시」를 본떠(4)[擬古(4)]
「고시」를 본떠(5)[擬古(5)]
「고시」를 본떠(6)[擬古(6)]
「고시」를 본떠(7)[擬古(7)]
「고시」를 본떠(8)[擬古(8)]
「옛 시」를 이어(1)[紹古辭(1)]
「옛 시」를 이어(2)[紹古辭(2)]
「옛 시」를 이어(3)[紹古辭(3)]
「옛 시」를 이어(4)[紹古辭(4)]
「옛 시」를 이어(5)[紹古辭(5)]
「옛 시」를 이어(6)[紹古辭(6)]
「옛 시」를 이어(7)[紹古辭(7)]
「고시」를 본받아[學古]
옛 체의 시[古辭]
「푸르고 푸른 언덕 위의 측백나무」를 본떠[擬靑靑陵上柏]
공간 유정(劉楨)의 체를 본받아(1)[學劉公幹體(1)]
공간 유정(劉楨)의 체를 본받아(2)[學劉公幹體(2)]
공간 유정(劉楨)의 체를 본받아(3)[學劉公幹體(3)]
공간 유정(劉楨)의 체를 본받아(4)[學劉公幹體(4)]
공간 유정(劉楨)의 체를 본받아(5)[學劉公幹體(5)]
완적(阮籍)의 「밤중에 잠 이룰 수 없어」를 본떠[擬阮公夜中不能寐]
도연명(陶淵明)의 체를 본받아[學陶彭澤體]
수시(數詩)
건제시(建除詩)
흰 구름[白雲]
임천왕의 복상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며[臨川王服竟還田里]
약효를 위한 걷기로 성 동쪽 다리까지 가면서[行藥至城東橋]
정원에서 가을 시름을 달래며[園中秋散]
농부가 채소 심는 것을 보고[觀園人藝植]
동산을 지나며 황정을 캐면서[遇銅山掘黃精]
옥기 파는 사람을 보고-서와 함께[見賣玉器者-幷序]
멀리 있는 이를 그리며[懷遠人]
꿈속의 귀향[夢還鄕]
봄날의 유랑[春羈]
세밑 슬픔[歲暮悲]
강릉에서 세월을 탄식하고 늙음을 슬퍼하며[在江陵歎年傷老]
밤에 가기(歌妓)의 노래를 듣고(1)[夜聽妓(1)]
밤에 가기(歌妓)의 노래를 듣고(2)[夜聽妓(2)]
성 서문의 관아에서 달을 감상하며[翫月城西門廨中]
단비[喜雨]
궂은비[苦雨]
흰 눈에 부쳐[詠白雪]
삼짇날[三日]
가을에 부쳐[詠秋]
가을 저녁[秋夕]
가을밤(1)[秋夜(1)]
가을밤(2)[秋夜(2)]
호군장군 왕승달(王僧達)의 「가을 저녁」 시에 화답하여[和王護軍秋夕]
의흥태수 왕승달의 「칠석」 시에 화답하여[和王義興七夕]
동지(冬至)
겨울날[冬日]
물을 바라보며[望水]
외로운 바위를 바라보며[望孤石]
산길을 가면서 외로운 오동나무를 보고[山行見孤桐]
쌍 제비에 부쳐(1)[詠雙燕(1)]
쌍 제비에 부쳐(2)[詠雙燕(2)]
술 마신 뒤에[酒後]
『주역』을 말함[講易]
사랑스러운 것[可愛]
밤에 소리를 들으며[夜聽聲]
늙음에 부쳐[詠老]
봄에 부쳐[春詠]
글자수수께끼(1)[字謎(1)]
글자수수께끼(2)[字謎(2)]
글자수수께끼(3)[字謎(3)]
묵조참군 고 아무개에게[贈顧墨曹]
연구(聯句)
형주에서 장 사군, 이 거사와 지은 연구[在荊州與張使君李居士聯句]
상서 사장(謝莊)과 지은 세 번째 연구[與謝尙書莊三連句]
달빛 아래 누각에 올라서 지은 연구[月下登樓連句]
부첨-포영휘 시(鮑令暉詩)
「푸릇푸릇 물가에 풀은 우거져」를 본떠[擬靑靑河畔草]
「손님께서 먼 곳에서 찾아오셔서」를 본떠[擬客從遠方來]
편지 뒤에 적어 나그네에게 부침[題書後寄行人]
옛 생각-지금 사람에게 부침[古意贈今人]
갈 사문의 아내 곽소옥 대신 짓다(1)[代葛沙門妻郭小玉詩(1)]
갈 사문의 아내 곽소옥 대신 짓다(2)[代葛沙門妻郭小玉詩(2)]
나그네에게 부침[寄行人]
부록(附錄)
『송서』 포조전[宋書本傳]
『남사』 포조전[南史本傳]
포조 연표(鮑照年表)
제가 평론(諸家評論)
『포참군집주(鮑參軍集注)』와 포조의 시문
포조 연표(鮑照年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