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포참군집주 2

포참군집주 2

포조 (지은이), 송영정 (옮긴이)
소명출판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300원 -10% 0원
1,850원
31,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포참군집주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포참군집주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91159058356
· 쪽수 : 487쪽
· 출판일 : 2023-10-31

책 소개

포조는, 문벌귀족시대에 한문과 다름없는 몰락 사족의 후예로서, '연작'처럼 평범하게 살기를 거부하고, 문인을 애호했던 임천왕 유의경을 찾아가 시를 바쳐 지우를 받고 막료가 됨으로써 관리 생활을 시작했을 정도로,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기상을 품은 문인이었다.

목차

역자 서문
머리말[前言]
책머리
전진륜서[錢序]
황절서[黃序]
우염서(虞炎序)
장부제사(張溥題辭)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첨부:송본 『포씨집』 목차[宋本鮑氏集目錄]
포참군집
권3
악부(樂府)
뽕을 따며[採桑]
「호리의 노래」를 본떠[代蒿里行]
「만가」를 본떠[代挽歌]
「동문의 노래」를 본떠[代東門行]
「목놓아 부르는 노래」를 본떠[代放歌行]
진사왕 조식의 「낙양의 노래」를 본떠[代陳思王京洛篇]
「대문 밖에 수레 탄 손님이 있어」를 본떠[代門有車馬客行]
「뱃노래」를 본떠[代櫂歌行]
「흰머리 될 때까지」를 본떠[代白頭吟]
「동무의 노래」를 본떠[代東武吟]
「짝 잃은 학의 노래」를 본떠[代別鶴操]
「계의 북문을 나서며」를 본떠[代出自薊北門行]
육기의 「군자가 생각할 것」을 본떠[代陸平原君子有所思行]
「슬픔의 노래」를 본떠[代悲哉行]
진사왕 조식의 「백마의 노래」를 본떠[代陳思王白馬篇]
「승천의 노래」를 본떠[代昇天行]
송백의 노래-서와 함께[松柏篇-幷序]
「지독한 무더위의 노래」를 본떠[代苦熱行]
「밝은 달의 노래」를 본떠[代朗月行]
「당상의 노래」를 본떠[代堂上歌行]
「소년 협객들의 노래」를 본떠[代結客少年場行]

권4
악부(樂府)
부풍의 노래[扶風歌]
「소년에서 노쇠하기까지의 노래」를 본떠[代少年時至衰老行]
「봄날 형산에 올라」를 본떠[代陽春登荊山行]
「빈천의 고통」을 본떠[代貧賤苦愁行]
「변방 생활의 노래」를 본떠[代邊居行]
「규가의 노래」를 본떠[代邽街行]
소사의 노래[蕭史曲]
왕소군(王昭君)
오 지방 노래(1)[吳歌(1)]
오 지방 노래(2)[吳歌(2)]
오 지방 노래(3)[吳歌(3)]
마름을 따며(1)[採菱歌(1)]
마름을 따며(2)[採菱歌(2)]
마름을 따며(3)[採菱歌(3)]
마름을 따며(4)[採菱歌(4)]
마름을 따며(5)[採菱歌(5)]
마름을 따며(6)[採菱歌(6)]
마름을 따며(7)[採菱歌(7)]
그윽한 택란(1)[幽蘭(1)]
그윽한 택란(2)[幽蘭(2)]
그윽한 택란(3)[幽蘭(3)]
그윽한 택란(4)[幽蘭(4)]
그윽한 택란(5)[幽蘭(5)]
중흥의 노래(1)[中興歌(1)]
중흥의 노래(2)[中興歌(2)]
중흥의 노래(3)[中興歌(3)]
중흥의 노래(4)[中興歌(4)]
중흥의 노래(5)[中興歌(5)]
중흥의 노래(6)[中興歌(6)]
중흥의 노래(7)[中興歌(7)]
중흥의 노래(8)[中興歌(8)]
중흥의 노래(9)[中興歌(9)]
중흥의 노래(10)[中興歌(10)]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1)[代白紵舞歌辭(1)]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2)[代白紵舞歌辭(2)]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3)[代白紵舞歌辭(3)]
「흰 모시 춤의 노래」를 본떠(4)[代白紵舞歌辭(4)]
「흰 모시의 노래」를 본떠(1)[代白紵曲(1)]
「흰 모시의 노래」를 본떠(2)[代白紵曲(2)]
「기러기는 우는데」를 본떠[代鳴雁行]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擬行路難(1)]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2)[擬行路難(2)]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3)[擬行路難(3)]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4)[擬行路難(4)]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5)[擬行路難(5)]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6)[擬行路難(6)]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7)[擬行路難(7)]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8)[擬行路難(8)]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9)[擬行路難(9)]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0)[擬行路難(10)]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1)[擬行路難(11)]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2)[擬行路難(12)]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3)[擬行路難(13)]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4)[擬行路難(14)]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5)[擬行路難(15)]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6)[擬行路難(16)]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7)[擬行路難(17)]
「갈 길은 험난하고」를 본떠(18)[擬行路難(18)]
매화는 지고[梅花落]
「회남왕」을 본떠[代淮南王]
「꿩은 아침부터 나는데」를 본떠[代雉朝飛]
「북풍은 쌀쌀하고」를 본떠[代北風涼行]
「황성의 참새」를 본떠[代空城雀]
「밤에 앉아 읊조리며」를 본떠[代夜坐吟]
「봄날의 노래」를 본떠[代春日行]

저자소개

포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송(劉宋)의 시인 포조(鮑照, 414~466)
펼치기
송영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육군사관학교 교수부 아주어과에서 중국어 교관으로 군 복무를 마친 후, 계명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재직 중 대만 대북의 대만국립사범대학 국문연구소와 중국 상해의 부단대학 중문과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주요 연구 논저로는 박사학위 논문인 「포조 시 연구」 외에 다수 논문을 발표했고, 『음갱(陰鏗) 시』(계명대학교 출판부), 『포조시선(鮑照詩選)』(문이재), 『하손(何遜) 시 역주』(중문), 『중국어문학의 이해』(공저, 신아사) 등의 저·역서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