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월경자의 정치사

월경자의 정치사

(일본인들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이민과 식민)

시오데 히로유키 (지은이), 임경화, 은희녕, 이승찬 (옮긴이)
소명출판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0원 -10% 0원
2,500원
42,500원 >
45,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4,500원
4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월경자의 정치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월경자의 정치사 (일본인들의 아시아태평양지역 이민과 식민)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9059292
· 쪽수 : 663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일본인 '월경자'들을 주역으로 한 정치사를 다룬 것으로, 기존의 정치사를 역전시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이주한 일본인들의 정치 행위를 추적 조사한 연구서이다. 이민사와 식민사를 통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근대 국민국가에서 만들어진 정치집단으로서의 '민족' 개념을 제시하였다.

목차

총서 발간사
한국어판을 위한 서문

서장/ 근대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일본인의 이민과 식민
1. 본서의 목적
2. 연구사와 본서의 과제
3. 분석 개념
4. 근대 아시아태평양지역 내 일본인의 이동
5. 본서의 구성

제1부 | 주권국가·세계시장과 이민·식민
제1장/ 홋카이도의 속령 통치와 야마토인 이민자들의 정치 행동-참정권 획득운동과 식민자 의식
1. 들어가며
2. 홋카이도의 속령 통치와 이주 식민지화
3. 야마토인 이민자들의 정치적 활성화와 식민자 의식
4. 정치 참여와 식민지화의 딜레마
5. 홋카이도의 일본 본국 편입
6. 나가며
제2장/ ‘내지 잡거 논쟁’과 이민, 식민-개국과 민족 내셔널리즘
1. 들어가며
2. 다구치 우키치의 잡거 찬성론
3. 잡거 상조론과 ‘국토’, ‘국민’
4. 내지 잡거 논쟁과 민족(ethnic) 내셔널리즘
5. 중국인을 둘러싼 내지 잡거 논쟁
6. 내지 잡거 논쟁과 이민·식민론
7. 내지 개방과 외국인 법제
8. 나가며
제3장/ 미국의 하와이 왕국 병합과 일본인 이민자들의 정치 활동-참정권 획득운동에서 일본인의 ‘자치’로
1. 들어가며
2. 하와이 혁명과 일본인 참정권 획득 문제
3. 중앙일본인회의 형성과 해체
4. 나가며

제2부 | 제국·국제질서와 이민·식민
제4장/ 야나이하라 다다오의 ‘식민’ 연구-제국 일본의 이민과 식민
1. 들어가며
2. 야나이하라 다다오의 ‘식민’ 개념
3. 야나이하라 다다오의 이민·식민론
4. 나가며
제5장/ 남가라후토의 속령 통치와 일본인 이민자들의 정치 행동-참정권 획득운동에서 본국 편입 반대운동으로
1. 들어가며
2. 이주식민지화와 속령 통치
3. 속령 통치 초기의 일본인 이민
4. 남가라후토의 참정권 획득운동
5. 남가라후토의 본국 편입 문제
6. 나가며
보론 1/ 조선과 타이완 일본인 이민자들의 정치 행동
1. 들어가며
2. 조선과 타이완 일본인 이민 사회의 형성
3. 조선과 타이완 일본인 이민자들의 정치 참여
4. 총력전체제하 조선과 타이완의 일본인 이민
5. 나가며
제6장/ ‘재만 일본인’인가 ‘일본계 만주 국민’인가-‘만주국’ 일본인의 정치 참여
1. 들어가며
2. ‘만주국’의 건국과 재만 일본인
3. 치외법권 철폐·부속지 행정권 이양과 재만 일본인
4. 협화회와 ‘일본계 만주 국민’
5. 나가며

제3부 | 국민국가 규범과 이민·식민
제7장/ 제국 일본의 식민자인가 ‘동양계 시민’인가-미국령 하와이 일본계 주민의 정치 행동
1. 들어가며
2. 미국령 하와이의 속령 통치와 이민 사회
3. 하와이의 ‘동양인’과 동아시아
4. 제1차 세계대전기와 전간기 하와이의 일본계·아시아계 주민
5. 아시아태평양전쟁과 하와이의 일본계·아시아계 주민
6. 나가며
보론 2/ 남북미의 일본계 주민과 제2차 세계대전
1. 들어가며
2. 남북미 각국에서의 일본계 사회 형성
3. 남북미 각국의 일본계 주민과 제2차 세계대전
4. 나가며
제8장/ 인양, 전후 개척, 해외 이주-전후 일본·오키나와 이민·식민
1. 들어가며
2. 인양/송환-일본 패전과 일본·오키나와 내부로의 이동
3. 전후 개척-일본과 오키나와 내부의 이주식민지화
4. 해외 이주-일본과 오키나와에서 외부로의 이민
5. 나가며

종장/ 이민·식민과 ‘민족’의 정치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출전 일람
도표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시오데 히로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히로시마(広島)에서 태어났다. 2004년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지역문화연구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정치외교사, 미디어사 등을 중심 테마로 일본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2011년에는 근대 일본에서 ‘아시아’의 의미를 성찰한 『岡倉天心と大川周明-「アジア」を考えた知識人たち』(山川出版社)를 집필했다. 2015년에는 박사논문을 토대로 한 저서 『越境者の政治史-アジア太平洋における日本人の移民と植民』을 간행하여 마이니치출판문화상, 산토리학예상 등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公論と交際の東アジア近代』(東京大学出版会, 2016), 『二つの大戦と帝国主義 I 20世紀前半』(岩波書店, 2022)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류큐대학 법문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임경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2년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마이너리티 연구, 코리안 디아스포라 비교연구, 접경 연구 등을 주제로 『두 번째 전후-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공저, 2017),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저, 2022), 「쓰시마(対馬) 현대사 속의 재일조선인」(2020) 등을 집필했다. 역서에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2019),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2022),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2024) 등이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임경화의 다른 책 >
은희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 한국근현대사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현대사를 전공하며 「안호상의 국가지상주의와 ‘민주적 민족교육론’」(2016), 「개항기(1876~1910) 한국 ‘복지’ 개념의 변용」(2021) 등의 논문을 집필했다. 역서에 『만국박람회와 인간의 역사』(공역, 2020) 등이 있다. 현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승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 동양사 박사과정에 있으며, 타이완 근현대사를 전공하고 있다. 논문에 「皇民化時期(1937~1945) 대만 지식인의 민족정체성과 전쟁인식」(2016), 「『每日申報』(1910~1945)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臺灣 인식」(2017), 「일제시기 臺灣 知識人의 朝鮮 認識」(2018), 역서에 『만국박람회와 인간의 역사』(공역,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근대 아시아태평양의 여러 지역으로 이주한 일본인 ‘월경자(越境者)’들을 ‘이민과 식민’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들을 주역으로 하는 정치사를 그려보고자 한다.
‘이민과 식민’이라는 단어를 보면 어떠한 의미가 떠오르는가. 많은 경우 ‘이민’이란 일본에서 미국이나 남미 같은 ‘해외’, ‘외국’으로 건너가는 것을 가리키며, ‘식민’이란 일본이 일찍부터 타이완이나 조선에 가한 ‘식민지 지배’를 가리킨다는 의미를 바로 떠올리지 않을까. 이런 경우 ‘이민’과 ‘식민’은 다른 개념이 된다. 그러나 ‘홋카이도 이민’이나 ‘만주 이민’ 등의 존재를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존재는 앞서 제시한 의미를 적용할 때 ‘이민’과 ‘식민’ 중 어느 쪽에 적합한 것일까. 이 책의 기본적인 입장은 새로운 영역으로의 이주, 즉 ‘사람의 이동’을 의미하는 한, ‘이민’과 ‘식민’을 명확하게 구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책은 정치사의 입장에서 ‘일본인의 이민과 식민’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의 정치사는 많은 경우 ‘중앙’-‘지방’이라는 구도에서 파악된, 전후(戰後) 일본의 국경 안에 속한 균질한 일본국가라는 이미지를 명확한 전제로 삼아, ‘중앙’에서 정치외교 상으로 쟁점이 된 경우에 한하여 ‘이민’이나 ‘식민지’를 다루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사의 구도는 새로운 영역으로 이주했던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국민 통합의 과정에 있던 ‘일본인’이라는 집단의 일부였다는 것을 은폐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이주했던 사람들 자체를 정치 주체로 분석하고, 이들이 일본국가, 그리고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정치 질서의 변동 요인이 되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월경자’들의 정치사에서 밝혀진 것은 종래의 정치사 연구가 시야 바깥에 놓아 둔 ‘민족’이 주권국가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으면서도 주권국가가 규정하는 국적이나 시민권의 틀에 완전히 회수할 수 없는 정치 주체로서 근대의 일본 및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정치 질서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친 점이다.
전후 정치사 연구의 대부분은 규범적 단위로서의 국민국가를 과거로 투영한 결과, ‘식민지’나 ‘이민’을 그 일탈 부분으로 처리해 왔다. 또한, 식민지 연구나 이민 연구 측에서도 국민국가 규범의 관점에서 각각 ‘이민족 지배’나 ‘수용국에서의 배제와 통합’을 파악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사람의 이동과 정치 질서를 둘러싼 본서의 고찰을 근거로 하면, 근대를 통틀어 국민국가가 규범적 단위를 넘는 실재가 된 일은 실제로는 없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실재한 것은 지배 영역을 여러 차례 바꾸어 온 주권국가와 공간적 경계를 갖지 않고 이동하고 변용하는 부정형의 민족집단이었다.
물론 민족집단은 최종적으로 개개인의 정체성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고, 또한 민족 간의 통혼 등에 의해 경계가 항상 유동적이기 때문에 실재라고 하기에는 불확실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바로 정체성이나 가족 형성이라는 영역이야말로 민족집단을 국민국가의 규범에 의해 지워버릴 수 없는 존재로 만들어 왔던 것이다. ‘이민과 식민’이란 결코 정치사의 외부 영역이 아니라 정치사의 규정 요인으로서의 민족집단이 표면화하는 영역임을 드러낼 수 있었다고 한다면 본서의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