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점·일본사학

논점·일본사학

(일본사의 최전선)

이와키 다쿠지, 우에지마 스스무, 가와니시 히데야, 시오데 히로유키, 다니가와 유타카, 쓰게이 유키오 (지은이), 조국, 황수경, 김현경, 김경옥, 고대성, 안준현, 이소현, 김정래, 강유진 (옮긴이), 박훈 (감수)
빈서재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4,100원 -10% 0원
2,450원
41,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점·일본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점·일본사학 (일본사의 최전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사 일반
· ISBN : 9791198765239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4-12-02

책 소개

2020년대 각 분야 최선두에 선 연구자들 150여명이 모여 일본사의 최전선을 한 권의 책으로 압축했다. 고대에서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사의 주요 논점들에 대한 연구 동향을 각 항목별로 간결히 정리, 개관하며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해 준다.

목차

제 I 편 일본 고대사의 논점
고대 총론 20
01 조몬시대 - 언제 시작되었는가, 농경은 이루어졌는가, 격차는 있었는가 29
02 야요이시대의 열도 사회 - 야요이 문화란 어떠한 것이었나 32
03 야마타이국 - 어떻게 야마토 정권이 되었는가 35
04 고분시대와 야마토 정권 - 고대국가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했는가 38
05 야마토 정권과 한반도 - 임나란 무엇이었는가 41
06 왜 5왕 - 동아시아에서의 위치는 어떤 것이었는가 44
07 이와이의 난 - 왜국의 지배체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47
08 베민제 - 야마토 정권의 지배는 어떻게 성립, 전개되었는가 50
09 불교 전래 - 왜국은 불교를 어떻게 수용하였는가 53
10 소가씨 - 어떤 정치를 폈는가 56
11 다이카 개신 - 고대 최대의 개혁은 있었나 59
12 동아시아의 소제국 - 고대 일본에 소제국주의는 있었는가 62
13 임신의 난 - 고대 최대의 내란은 왜 일어났는가 65
14 율령국가론 - 고대국가는 율령제 국가인가 68
15 고대의 여제 - 임시로 세워진 중계자였나 71
16 고대 장원 - 초기장원이란 무엇인가 74
17 국가불교와 교키 - 교키는 변절한 것인가 77
18 고대 가족론 - 고대 사람들의 생활을 어떻게 볼 것인가 80
19 군사 - 재지수장제론은 성립하는가 83
20 목간에 보이는 고대 일본 - 나가야 왕가 목간으로 무엇을 알 수 있는가 86
21 덴지계와 덴무계 - 고닌 ·간무의 시대는 전환기인가 89
22 헤이안 불교 - 사이초 ·구카이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92
23 고대의 사회 - 토지 매권으로부터 무엇이 보이는가 95
24 10세기의 반란 -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이란 무엇이었나 98
25 아형 사건 - 우다 천황과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정쟁이었나 101
26 수령 - 어떤 역할을 했는가 104
27 신불습합 - 신과 부처를 결합하는 사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107
28 국풍문화 - 섭관기의 문화는 어떠한 것이었는가 110
29 4원사와 6승사 - 섭관기와 원정기는 어떤 관계였는가 113
30 헤이안 후기의 불교 - 북송 ·요 불교는 현밀불교에 영향을 주었는가 116
31 무사론 - 무사는 어떻게 출현하였는가 119

제 II 편 일본 중세사의 논점
중세 총론 123
01 세계에서 본 일본 중세 왕권의 특질 - 일본 중세 왕권은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특수한가 140
02 세계 속의 일본 중세 종교 - 그 특색은 어떠한 것인가 143
03 섭관정치와 원정 - 원정은 섭관정치를 부정하였는가 146
04 장원제의 성립 - ‘입장론’과 그 과제 149
05 헤이안 후기 ·가마쿠라기의 승려 네트워크 - 어떻게 이동하여 무엇을 가져왔나 152
06 지쇼 ·주에이 내란 - 왜 일어났고, 무엇을 초래했는가 155
07 가마쿠라 막부의 전국 지배 - 가마쿠라막부는 어떻게 전국을 지배했는가 158
08 가마쿠라기 ·남북조기의 조정과 공가사회 - 어떻게 변화했으며 무엇을 지향했나 161
09 가마쿠라기의 불교 - 가마쿠라기 불교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164
10 중국 송 ·원 문화의 수용 - 일본 사회에 준 영향은 무엇인가 167
11 남북조 동란의 의의 - 일본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170
12 무로마치 막부와 전국질서 - 중세 후기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173
13 무로마치기의 장원제 - 무로마치시대는 장원제의 시대였는가 176
14 무로마치기의 유통 - 사람 ·물건은 열도에서 어떻게 움직였는가 179
15 남북조 ·무로마치기의 불교 - ‘조사’ 없는 시대의 사회와 종교 182
16 오닌의 난의 의의 - 역사의 전환점 185
17 무로마치 ·전국시대의 천황과 조정 -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했는가 188
18 전국시대 기나이 지역의 정치와 권력 - 기나이 정치사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 191
19 중세 후기 동국 지방의 정치와 사회 - 가마쿠라부에서 전국시대에 이르는 동국사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 194
20 전국다이묘의 권력과 문예 - 지역권력과 교토는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가 197
21 중세 신분제와 차별 - 중세의 신분과 차별을 어떻게 볼 것인가 200
22 중세의 도시 - 그 특질과 실태를 어떻게 그릴 것인가 203
23 중세의 촌락과 신앙 ·의례 - 사람들에게 신앙 ·의례란 무엇이었나 206
24 중세의 신기와 신도 - 중세인에게 신이란 무엇인가 209
25 중세 사료의 다양성 - 전체를 묘사할 소재의 확장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212
26 중세의 문자 문화 - 문장 ·문체에서 중세 사회의 어떠한 점을 알 수 있는가 215
27 중세의 전투 - 어떻게 이루어졌고 어떻게 변화했는가 218
28 중세 성관의 기능과 특질 - 중세 성관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221
29 중세의 ‘이에’와 여성 - 중세사회를 특징짓는 것 224
30 환경사에 참가하기 - 중세사 연구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227

제 III 편 일본 근세사의 논점
근세 총론 231
01 쇼쿠호 정권 - 근세의 성립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239
02 에도 막부의 전국통치 - 막부는 어떻게 여러 다이묘를 통합하고 있었는가 242
03 무라와 백성 - 왜 근세의 인구의 8할은 백성인가 245
04 막번권력의 도시지배 - 도시의 지배에 조닌은 어떻게 관여했는가 248
05 해금 ·일본형 화이질서 - 대외관계를 어떻게 칭할 것인가 251
06 에도 막부에 의한 조정의 위상 - 막부는 근세의 조정에 무엇을 바랐을까 254
07 막번권력의 사사 지배 - 막부는 어떻게 사사를 지배했는가 257
08 기리시탄과 과학 전래 - 선교사는 왜 서양과학을 소개했으며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260
09 에도 막부의 법 - 막부는 어떻게 법을 정비 ·운용했는가 263
10 참근교대 - 참근교대는 어떻게 형해화되어 갔는가 266
11 막번 관계 - 막부와 번은 어떻게 정치 교섭하고 있었는가 269
12 번 재정 - 다이묘는 ‘파산’하는가 272
13 유교 의례의 실천 - 유학자는 어떻게 유교 의례를 실천했는가 275
14 쌀시장 - 쌀은 어떻게 매매되었을까 278
15 지방 상인의 상거래 - 지방 상인은 어떻게 거래했을까 281
16 에도의 조닌 사회 - 과밀하고 불안정한 조닌 사회가 어떻게 존속할 수 있었을까 284
17 지주와 소작인 - 지주는 어떻게 소작인과 소작계약을 맺었을까 287
18 부담과 구제 - 백성은 납득하고 있었을까 290
19 근세 후기의 무라 사회 - 근세 후기의 무라는 어떤 모순을 안고 있었을까 293
20 환경변화와 농업 ·어업 - 왜 어비는 등귀했는가 296
21 토목기술 - 제방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 299
22 무사의 대도 - 대도는 무사의 특권인가 302
23 피차별신분 - 히닌의 정보망 305
24 근세인의 불교신앙 - 불교를 신앙으로서 믿고 있었는가 308
25 여행과 관광 - 근세의 여행자와 지역은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가 311
26 지의 형성 - 민중은 어떻게 지식을 형성 ·계승하였는가 314
27 여성의 역할 - 육아와 돌봄은 여성의 역할인가 317
28 오시오 사건 - 오시오 헤이하치로는 왜 들고 일어났는가 320
29 막말의 기나이 사회 - 정치의 중심지가 된 기나이 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는가 323
30 막말의 정치이념 - 근세의 정치이념은 어떻게 재편되었는가 326
31 막말의 세계정세와 일본 - 외국선은 왜 일본에 왔는가 329
32 막말의 천황 ·조정을 논하는 방법 - 근세 후기와 막말을 어떻게 이을 것인가 332

제 IV 편 일본 근현대사의 논점
근현대 총론 336
01 개국 - ‘서양의 충격’을 일본은 어떻게 받아들였나 348
02 메이지유신 - 왜 ‘유신’에 이르렀는가, 무엇을 가져왔는가 351
03 문명개화 - ‘서양화’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 354
04 조약개정과 청일전쟁 - 근대 일본의 형성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357
05 자유민권운동 - ‘민중’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360
06 근대천황제 - 그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363
07 ‘무사’의 근대 - 다이묘나 무사는 어떻게 근대 사회에서 다시 태어났는가 366
08 초기의회의 전개 - 의회는 어떻게 정착했으며 무엇을 바꾸었는가 369
09 러일전쟁과 국제사회 - 국제정치에 미친 영향은 372
10 근대도시의 성립 - 도시를 만들고 변화해나간 역학이란 375
11 ‘지방’의 성립 - 어떻게 ‘중앙-지방’ 관계가 형성되었는가 378
12 하층사회와 빈곤 -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였는가 381
13 교통의 근대화 - 철도는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384
14 학교교육 - ‘취학’과 그 경험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387
15 아이누와 오키나와인의 근대 - 민족의 정체성을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390
16 이민과 제국 일본 - 사람들은 왜 이민하였으며, 이민은 일본의 팽창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393
17 신문 ·잡지 미디어 - 사회 안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396
18 내셔널리즘 - ‘일본’은 어떻게 상상됐는가 399
19 자본주의의 발달 - 그 일본적 특질이란 무엇인가 402
20 젠더와 근현대 - ‘성’으로부터 근현대사를 어떻게 다시 읽을 것인가 405
21 근대가족 - ‘일가 단란’상은 언제 구축되었는가 408
22 식민지 대만 - ‘대만사’란 누구의 역사인가 411
23 식민지 조선 - 그 ‘근대화’와 ‘황민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414
24 피차별 부락 - ‘부락’은 근대에 어떻게 만들어져 변용되었는가 417
25 종교와 근대사회 - 구시대의 유물인가 420
26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 그 이념이 가져온 가능성과 문제는 무엇인가 423
27 근대과학 - 진화론에서 우생학으로 426
28 노동운동 - 노동자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429
29 제국헌법하의 정당정치 - 전전의 일본은 민주화되었는가 432
30 다이쇼 데모크라시 - 왜 ‘민본주의’가 주창되었으며 어떻게 확산되었는가 435
31 대중소비사회 - 사람들은 어떻게 ‘소비자’가 되었는가 438
32 질병 ·의료와 사회 - 근대화는 ‘병’과 의료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441
33 근대의 농촌 - 지주-소작 관계는 어떻게 형성 ·변화되었는가 444
34 국가신도 - 전전, 전쟁기의 신사나 신직은 어떠한 역할을 해냈는가 447
35 전간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 워싱턴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왜 불안정했나 450
36 쇼와 천황과 궁중 -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했는가 453
37 근현대의 관료와 정당 - 전전 ·전후를 관통하는 관료와 정당의 관계란 456
38 군부와 정치 - 육군 ·해군은 어떻게 정치와 연관되었는가 459
39 병사의 경험 - 병사들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싸웠는가 462
40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 왜 일본의 침략은 확대되었는가 465
41 재해와 근현대 일본 - 재해를 기억하고 기록한다는 것은 468
42 대동아공영권 - 아시아의 해방인가 지배인가 471
43 미일 개전 - ‘대동아건설’인가 ‘자존자위’인가 474
44 전시하의 사회 변용 - 억압인가 평준화인가 477
45 미국의 점령정책 - 왜 해방이라고 받아들여졌는가 480
46 상징천황제 - 천황은 어떻게 ‘상징’이 되었는가 483
47 55년 체제와 자민당 지배 - 자민당 정권은 왜 성립하고 장기화되었는가 486
48 주일 미군 기지 - 왜 오키나와에 집중되었는가 489
49 원자력과 핵 - 전후에 왜 원자력이 정착했는가 492
50 재일코리안 - 식민지주의의 억압, 사회적 배제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가 495
51 고도경제성장 - 장기 경제성장은 어떻게 발생했으며 사회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498
52 전후사회와 젠더 - 전후 시기에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501
53 전후 학교 교육의 전개 - 교육의 ‘대중화’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504
54 평화운동의 전전 ·전후 - 그 논리와 담당 주체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507
55 전후의 문화 운동 - 사회운동에서 왜 문화가 중요시되었는가 510
56 냉전 하의 외교 - 미일안보체제는 어떻게 일본외교를 규정했는가 513
57 동아시아의 전후처리 - 왜 화해는 어려운가 516
58 공문서와 근현대사 연구 - 무엇이 기록 ·보존되는가 519
59 청취 ·구술사 - 우리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어떻게 들어 왔는가 522
60 환경문제 - ‘문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 525
61 미국의 일본사 연구 - ‘근대화론’을 둘러싸고 어떤 논의가 진행되어왔는가 528

찾아보기 534

저자소개

시오데 히로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히로시마(広島)에서 태어났다. 2004년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지역문화연구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정치외교사, 미디어사 등을 중심 테마로 일본근현대사를 연구하고 있다. 2011년에는 근대 일본에서 ‘아시아’의 의미를 성찰한 『岡倉天心と大川周明-「アジア」を考えた知識人たち』(山川出版社)를 집필했다. 2015년에는 박사논문을 토대로 한 저서 『越境者の政治史-アジア太平洋における日本人の移民と植民』을 간행하여 마이니치출판문화상, 산토리학예상 등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公論と交際の東アジア近代』(東京大学出版会, 2016), 『二つの大戦と帝国主義 I 20世紀前半』(岩波書店, 2022)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류큐대학 법문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와키 다쿠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일본 근세사 전공. 『近世畿内 ·近国支配の構造』(柏書房,2006年)
펼치기
우에지마 스스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대학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 일본 중세사, 일본 종교사 전공.『日本中世社会の形成と王権』(名古屋大学出版会,2010年)
펼치기
가와니시 히데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고야대학대학원 인문학연구과 준교수. 일본 근현대사 전공.『天皇制と民主主義の昭和史』(人文書院,2018年)
펼치기
다니가와 유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대학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 일본 근대사 전공. 『明治前期の教育 ·教化 ·仏教』(思文閣出版,2008年)
펼치기
쓰게이 유키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여자대학 문학부 사학과 교수. 일본 고대사 전공. 『摂関期貴族社会の研究』(塙書房,2005年)
펼치기
고대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대학원 박사과정. 일본 중세사 전공.
펼치기
조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와 와세다대학에서 공부했고, 성신여대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개항장 외국인의 존재를 축으로 삼아 일본의 대외관계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근대 조약과 동아시아 영토침탈 관련 자료 선집 1』 편역 작업에 참여했다.
펼치기
김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강사.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와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맡고 있다. 전공은 일본고중세사이며, 주로 헤이안시대(9~12세기)의 귀족사회와 신분질서를 연구했다. 논문으로 「일본 헤이안시대 중후기 家格의 형성」(『동양사학연구』 158, 2022), 「일본 고대사 연구의 '왕조(王朝)' 개념」(『한국고대사연구』 110, 2023) 등이 있으며, 공저로 『고대 동아시아의 수군과 해양활동』(온샘, 2022), 『일본사 시민강좌』(연립서가,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에서 일본근현대사를 전공하고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는 한국교원대 인문사회과학교육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일본여성사, 여성노동, 젠더, 가족역사학, 역사사회학과 관련된 논문과 책을 써 왔다. 저서로는 『제국과 포스트제국을 넘어서』(소화, 2020), 『한일화해를 위해 애쓴 일본인들』(동국문화, 2020), 『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문화』(지식의날개,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황수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 박사과정(수료). 일본 근세사 전공.
펼치기
안준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대학원 재학. 일본 근세사 전공.
펼치기
이소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도쿄대학대학원 석사과정. 일본 중세사 전공.
펼치기
김정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 석사과정. 일본 근대사 전공.
펼치기
강유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 석사과정. 일본 근대사 전공.
펼치기
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도쿄대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뒤, 국민대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 역사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19세기 일본과 동아시아의 정치체제 비교, 일본인의 대외 인식과 내셔널리즘의 형성 과정을 연구해왔다. 저서로 《위험한 일본책》,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메이지 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