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6122692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4-02-06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우리말로 읽는 독자들에게
일러두기
머리말
[제1장] 식민지의 다언어 사용자
1. 행하기에 앞서 존재한다
2. 언어학자로의 길
3. 말과 사상
I. 구조와 역사: 김수경 언어학의 시작
1. 구조언어학과 역사언어학
2. 훈민정음과 음운론
3. 조선어사를 현대에 접속시키다
[제2장] 해방과 월북
1. 38선을 넘을 때까지: 두 종합대학 사이에서
2. 월북 후의 활동
3. 언어정책과 정치
[제3장] 배낭 속의 수첩: 한국전쟁과 이산가족
1. 회고록의 생성: 가족 이산의 원점을 회상하다
2. 문체와 리얼리티
3. 수기에 새겨진 전쟁터
남으로|북으로 후퇴|다시 ‘남진’
II. 조선어의 ‘혁명’: 규범을 창출하다
1. 새로운 문자체계와 김두봉의 문자사상
2. 정서법 개혁과 형태주의
두음의 고정 표기|절음부의 도입|신6자모의 도입|형태주의의 두 계보
3. 조선어 문법의 구축
《조선어 문법》의 성립 과정|《조선어 문법》의 특색
4. 소비에트 언어학 수용의 맥락
[제4장] 한국전쟁기 학문체제의 개편
1. 전시하의 종합대학
2. 과학원의 출범
3. 스탈린 언어학 논문의 충격
[제5장] 정치와 언어학
1. 문자개혁과 사회주의 나라의 ‘형제’관계
2. 정치적 비판과 언어학적 비판
3. 김수경이 학계에서 사라질 때까지
III. 민족의 언어와 인터내셔널리즘
1. 스탈린 논문의 수용
2. 조선어 문법의 재정립: ‘토’의 이중성
3. 형태주의의 폴리틱스
IV. ‘주체’의 조선어학
1. 문법이론의 ‘주체’ 확립을 둘러싸고
‘토’를 둘러싼 논쟁|형태론에서의 ‘주체’
2. 조선어 문체론의 구축
문체와 문풍|김수경의 문체론
3. 조선어학의 ‘주체화’
정서법의 재개혁|조선어학사의 혁명 전통화|이론적 권위의 일원화
[제6장] 재회와 복권
1. 이주와 정주, 이산과 연결
한국전쟁 전의 이주와 가족|한국전쟁과 이산|남에서의 정착과 북미로의 이민|편지 교환과 재회의 실현
2. 되찾은 시간
활동 재개와 복권|조선어사로의 회귀|황혼
맺음말
옮기고 나서
김수경 연보
김수경 저술 목록
김수경 저술 목록 보유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김수경은 어릴 때 고향 통천을 떠나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의 거처를 따라 옮겨 다녔다. 조선인 대상의 소학교인 보통학교는 신의주에서 입학했다. 그 후 군산 공립보통학교(1925년 여름에 전학), 군산 공립중학교(1930년 입학)를 거쳐 1934년에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한다.
예과 시절 김수경은 친구들과 함께 사회과학서적 독서 모임을 이끌었다. 구제 고등학교와 제대 예과의 ‘마르크스 보이’ 문화가 아직 희미하게 남아 있었을 것이다.
1937년 4월 김수경은 경성제대 법문학부에 진학했다. …… 법문학부에서 김수경이 선택한 것은 철학과이다. …… 경성제대에서 언어학을 가르쳤던 고바야시 히데오는 “김 군은 [예과] 3학년 말에 학부 연구실로 나를 찾아와 언어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공교롭게도 성대[경성제대의 약칭]의 법문학부에는 언어학 강좌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 나는 철학과를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