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172267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22-12-27
책 소개
목차
1939년 1월 <創刊號>
1. 가마다 사와이치로(鎌田澤一郎) — 「대륙의 노래(大陸の歌)」
1939년 2월 <二月號>
2. 이광수(李光洙) — 「때맞춰 노래하라(折にふれて歌へろ)」
3. 이노우에 노리코(井上紀子) — 「지구의 한줄기 길(地球の一條道)」
1939년 3월 <三月號>
4.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의 시(亜細亜の詩)」
5. 정지용(鄭芝溶) 저․김소운(金素雲) 역 — 「고향(ふるさと)」「홍역(紅疫)」
6. 모윤숙(毛允淑) 저․김소운 역 — 「장미(薔薇)」
1939년 4월 <四月號>
7. 김용제(金龍濟) — 「내선일체의 노래(內鮮一體の歌)」
8. 노천명(盧天命) 저․김소운 역 — 「황마차(幌馬車)」「사슴(鹿)」
9. 유치환(柳致環) 저․김소운 역 — 「깃발(旗)」「생명의 서(生命の書)」
1939년 5월 <五月號>
10. 김용제(金龍濟) — 「양자강(揚子江)」
11. 주요한(朱耀翰) 저․김소운 역 — 「비(雨)」
12. 김형원(金炯元) 저․김소운 역 — 「더러워진 피(穢れた血)」
13. 조명희(趙明熙) 저․김소운 역 — 「경이(驚異)」
1939년 6월 <六月號>
14. 이정향(李靜香) — 「대륙으로 시집가는 누나(大陸へ嫁ぐ姉)」
15. 이케다 아오시(池田青志) — 「단가(短歌)」
16. 스즈키 가즈미(鈴木一海) — 「하이난 섬 기록(海南島記)」
1939년 7월 <七月號>
17. 요리모토 시린(寄本{司麟) — <만주 소식(満州のたより)>「아침(朝)」「낮(昼)」「밤(夜)」
18.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시집(1)(亜細亜詩集)(一)>
「서시(序詩)」「종달새(雲雀)」「청춘(靑春)」「소녀의 탄식(少女の嘆き)」
「먹거리 사냥(御馳走狩り)」「승리의 함성(かちどき)」
1939년 8월 <八月號>
19. 가마다 사와이치로(鎌田澤一郎) — 「배영의 격문(排英の檄)」
20. 신용균(申\龍均) — 「이인석군을 찬양한다(李仁錫君を讚ふ)」
21. 다나카 하쓰오(田中初夫) — 「전원 교향곡(田園交響曲)」
22. 다노 데쓰비(多野徹尾) — 「봉분(土饅\頭)」
23.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시집(2)(亜細亜詩集)(二)>
「폭격(爆擊)」「전차(戰車)」「농성(籠城)」「보초의 밤(步哨の夜)」「말(馬)」
「아무렇지도 않다(屁とも思はぬ)」
1939년 9월 <九月號>
24. 스기모토 나가오(杉元長夫) — 「하늘을 정벌하는 자(空を征くもの)」
25.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시집(3)(亜細亜詩集)(三)>「제비(燕)」「반딧불이(螢)」
1939년 10월 <十月號>
26. 가마다 사와이치로(鎌田澤一郎) — 「여행과 인생(旅と人生)」
27. 이노우에 노리코(井上紀子) — 「스모와 점쟁이(相撲とト者)」
28.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시집(4)(亜細亜詩集)」(四)」
二一 「약혼자에게(許婚へ)」 二二 「전쟁철학(戰爭哲學)」
1939년 11월 <十一月號>
29.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시집(5)(亜細亜詩集)(五)>
二三 「어머님께(母へ)」 二四 「배급미(配給米)」
1940년 1월 <新年號>
30. 시이키 미요코(椎木美代子) — 「영년기원(迎年祈世)」
31. 김용제(金龍濟) — <아시아시집(6)(亜細亜詩集)(六)>
二五 「국경에서(國境にて)」 二六 「바람의 말(風の言葉)」 二七 「고언(苦言)」
1941년 12월 <十二月號>
32. 가네무라 류사이(金村龍濟, 김용제) — <아시아시집(7)(亜細亜詩集)(七)>
「버림돌(捨石)」「산의 신화(山の神話)」「고향의 구름(故郷の雲)」
1942년 1월 <新年號>
33. 노천명(盧天命) 著․ 김용제 譯 — 「젊은이들에게(若人に)」
1942년 3월 <三月號>
34. 나카노 스즈코(中野鈴子) — 「칩거(こもり居)」「그대는 이미(君すでに)」
35. 가네무라 류사이(金村龍濟, 김용제) — <봄날 시 선집(春日詩抄)>
「눈물은 아름다워라(涙うるはし)」「휘파람 불면(口笛吹けば)」「이른 봄(1)(早春)(其一)」
「이른 봄(2)(早春)(其二)」「소녀들에게(少婦たちに)」「개미(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