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59435287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5-10-01
책 소개
목차
서문: 이제는 ‘질병 치료’를 넘어 ‘노화 치료’ • v
1장 노화는 치료할 필요가 있는 질병과 같은 것
노화 치료는 건강 수명을 늘려 줄 혁신적 의료 패러다임 • 3
노화 치료를 위한 12가지 대주제 • 5
2장 DNA 손상 예방과 복구 능력의 활성
매일 10만 번의 DNA 손상이 일어나는 우리 세포 • 21
DNA 손상 복구 시스템의 문제 • 26
DNA 손상으로 초래되는 유전체의 불안정과 후성 유전학적 변화 • 29
DNA 손상 축적은 노쇠 세포가 생기는 주요 원인 • 31
DNA 손상 최소화 또는 복구가 잘되게 하면 노화가 느려지고 질병도 개선할 수 있다 • 34
DNA 손상과 복구 능력의 진단법 • 34
DNA 손상 예방 또는 복구를 활성화하는 생활 습관들 • 38
DNA 손상 예방 또는 복구를 활성화하는 영양소, 음식, 약초들 • 39
DNA 손상 방지 및 복구 활성화 알약들 • 40
주요 약초와 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42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43
3장 세포 분열 횟수를 결정하는 텔로미어 유지와 연장법
텔로미어 & 텔로머라아제란 무엇인가? • 49
텔로미어 길이 단축이 없더라도 손상에 민감한 텔로미어 • 56
젊음과 노화의 열쇠, 텔로머라아제 • 58
텔로미어 길이 및 텔로머라아제 활성 진단법 • 65
텔로미어 길이 유지와 연장 효과가 있는 생활 습관 • 68
텔로미어 길이 보호, 유지 효과가 증명된 음식, 식이법 • 71
텔로미어 길이 연장, 텔로머라아제 활성 효과가 증명된 약초 • 73
텔로미어 길이 유지, 연장 효과가 있는 천연물과 알약들 • 75
주요 약초,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77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81
4장 노화를 전파하는 노쇠 세포, 좀비 세포의 제거
노쇠 세포(Senescent cell)란 무엇인가? • 87
노화를 전염시키는 좀비 세포(SASP)의 특성, 중요성 • 93
노쇠 세포가 생기는 원인들 • 95
노쇠 세포를 제거하면 노화가 느려지고 질병도 좋아진다 • 97
노쇠 세포의 진단법 • 104
노쇠 세포 제거 효과가 있는 생활 습관들 • 108
노쇠 세포 예방 또는 제거 효과가 증명된 음식, 영양소 • 112
노쇠 세포 예방 및 제거 효과가 보고된 약초 • 115
노쇠 세포에 작용하는 노화 치료제들 • 118
주요 약초,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133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136
5장 노폐물을 재활용 처리하는 자가 포식 강화
자가 포식이란 무엇인가? • 141
수명이 다한 단백질과 고장 난 단백질을 처리하지 못하면 큰 문제 • 142
재활용 공장인 자가 포식 장치 종류들 • 148
자가 포식 능력이 약해지는 원인들 • 152
노화 가속과 질병 발생의 원인, 자가 포식 장애 • 153
자가 포식을 증강하면 노화가 느려지고 질병도 좋아진다 • 159
자가 포식 문제의 진단법 • 161
자가 포식 증강 효과가 있는 생활 습관들 • 165
자가 포식을 활성화하는 음식과 약초들 • 174
소식과 유사 효과가 있는 자가 포식 증강 알약들 • 178
주요 약초,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195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202
6장 후성 유전적 변화 조절로 세포 나이 되돌리기
후성 유전적 변화(Epigenetic change)란 무엇인가? • 207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후성 유전적 변화 4가지 • 209
부모에게 물려받은 DNA와 후성 유전적 변화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 219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는 후성 유전적 원인들 • 223
후성 유전적 변화로 노화와 암, 질병이 생기는 이유 • 224
후성 유전적 시계를 돌려 항노화, 암을 치료하는 약물: Epi-Drug • 226
젊음을 되찾을 가능성에 접근한 후성 유전적 세포 재프로그래밍 • 229
후성 유전적 변화의 진단법 • 234
이로운 후성 유전적 변화를 만드는 생활 습관, 음식, 약초들 • 238
후성 유전적 변화를 조절하는 항노화 알약들 • 241
주요 약초,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252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258
7장 마이토콘드리아 활성
생로병사를 같이하는 세포와 마이토콘드리아의 위대한 공생 • 263
마이토콘드리아의 생김새와 기능들 • 269
마이토콘드리아의 5가지 생존 시스템:
항산화, 시르투인, 미토파지, 분열과 융합, 이동, 증식 • 272
마이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시 노화와 질병이 생기는 이유 • 275
마이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의 주요 원인들 • 278
마이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의 진단법 • 279
마이토콘드리아 활성 비약물 요법 2가지: 열량 제한과 운동 • 281
마이토콘드리아 활성 약초들 • 282
마이토콘드리아 활성 알약들 • 283
마이토콘드리아를 이식하는 항노화 및 질병 치료 • 287
주요 약초,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289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293
8장 나이가 들면 급격히 감소하는 NAD+의 보충
NAD+란? 400개 이상의 반응에 필요한 조효소 • 297
나이 들면 급격히 감소하는 NAD+ • 299
NAD+ 부족이 초래하는 노쇠 세포 축적과 질병들 • 301
NAD+ 이상의 진단법 • 303
줄어든 NAD+를 보충하는 방법 • 304
NAD+보충과 세놀리틱을 병합하는 노화 치료법 • 309
암세포의 NAD+ 사용을 차단하는 항암 치료법 • 309
주요 NAD+ 보충제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311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312
9장 줄기세포 고갈의 해결
줄기세포 3총사: 배아 줄기세포, 유도 만능 줄기세포, 성체 줄기세포 • 317
피부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21
온몸에 영향을 주는 장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26
뇌신경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30
후각, 청각 신경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33
근육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35
힘줄, 인대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40
간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42
조혈모 줄기세포의 노화 메커니즘과 노화 치료 • 343
모든 성체 줄기세포 노화에 적용되는 공통된 2가지 노화 치료법 • 345
배아 줄기세포 치료법과 치료제 • 346
유도 만능 줄기세포 치료법과 치료제 • 348
지방 성체 줄기세포 치료법과 치료제 • 351
골수 및 제대혈 줄기세포 치료법 • 361
줄기세포 정맥 주사, 국소 주사로 노쇠, 노화 치료 • 362
최근 연구 과제들의 동향과 전망 • 369
10장 면역 노쇠의 개선
면역 노쇠란 무엇인가? • 373
면역 노쇠를 유발하는 다양한 메카니즘들 • 379
면역 노쇠와 밀접한 질환들 • 381
면역 기능, 면역 노쇠의 진단법 • 384
100세 이상 노인 면역 체계의 특별한 특징 • 388
면역 노쇠 개선에 기반한 암 면역 치료의 발전 • 389
면역 노쇠를 개선하는 생활 습관, 음식, 영양소 • 395
면역 노쇠, 면역 조절 개선 효과가 증명된 약초 • 399
면역 노쇠 개선 효과가 있는 알약들, 건강 보조제 • 401
주요 약초,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404
해결 과제와 전망 • 408
11장 세포 간 통신 신호 교란의 복구
세포 간 통신이란 무엇인가? • 411
노화를 전파하는 혈액 속 인자들과 항노화 인자들 • 413
노쇠 세포의 원거리 통신 수단, 엑소좀 • 420
노화를 치료하는 놀라운 엑소좀 • 422
세포질 연결 다리(Cytoplasmic Bridge) • 428
세포 간 연결 통신로, 세포외기질 • 431
조직을 뻣뻣하게 만드는 세포외기질의 노화 • 435
세포외기질 안의 통신 교란으로 생기는 질병 • 438
세포외기질 조절을 통한 노화 및 질병 개선 천연물, 알약 • 439
세포 간 신호 교란을 교정하는 주요 천연물 권장량, 복용법 • 446
해결 과제와 전망 • 452
12장 장내 미생물 불균형 교정
서로 영향을 주며 함께 진화한 인간과 장 미생물 • 457
장내 미생물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 • 461
장내 미생물 불균형(Dysbiosis), 노화와 질병의 원인 • 477
장내 미생물 불균형(Dysbiosis)의 진단법 • 479
일반 노인, 장수 노인, 쇠약한 노인의 장내 미생물 차이 • 484
노화 치료 알약들이 장내 미생물 불균형도 개선하는가? • 490
장내 미생물 불균형 개선은 항노화 치료인가? • 493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폴리페놀, 포스트바이오틱스 • 494
장 미생물 이식(대변 미생물 이식)과 노화 치료 • 498
새롭게 주목받는 먹는 생균 치료제 • 500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개선하는 식이요법과 운동 • 506
주요 알약들의 권장량,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 사항 • 507
해결 과제와 전망 • 514
13장 컨트롤 타워, 뇌의 긍정적 가소성 확장
건강하게 오래 살아야 할 나만의 이유가 있는가? • 519
뇌 가소성이란 무엇인가? • 520
노화로 나타난 신경 가소성의 변화 • 525
긍정적 뇌 가소성 확장 효과가 증명된 방법들 • 526
삶의 목표가 뇌 가소성 확장을 만드는 가장 강력한 자극 • 529
맺음말 • 533
주요 참고 문헌 • 535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
현재, 우리의 수명과 건강 수명을 줄이는 암, 뇌 · 심혈관계 질환, 대사 질환, 퇴행성 신경·근골격계 질환 대부분은 현대 의학적 진단과 치료 지침이 확립되기 훨씬 전부터 세포 수준에서 질병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최근 20여 년간의 집중적 연구 성과에 힘입어, 몇 가지로 집약되는 특징으로 정의할 만큼 그 실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DNA 손상의 축적과 유전체 불안정성, 텔로미어 단축, 후성 유전적 변화, 노쇠 세포의 축적, 단백질 항상성 상실과 자가 포식 능력 저하, 영양 감지 기능 이상, 마이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면역 노쇠와 줄기세포 소진, 세포 간 신호 전달 변화 그리고 장내 미생물 불균형입니다. 이 11가지 세포 수준에서의 이상은 마치 고혈압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이듯, 노화 관련 질환 대부분의 위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질병상태이며 노화의 특징입니다. 이제 우리는 노화에 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질 때입니다.
노화는 단순히 나이가 들어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일까요?
아니면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병일까요?
최근 과학과 의학의 발전은 노화를 질병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강력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노화는 단순히 시간이 지나면서 생겨나는 현상이 아닙니다.
노화 치료를 위한 12가지 대주제
의학과 과학은 이제 노화가 DNA 손상의 축적과 복구 기능 감소, 텔로미어 단축, 노쇠 세포의 확장,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장애, 세포 간 소통의 문제와 같은 구체적이고 치료할 수 있는 생물학적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지난 10년간 노화 관련 연구 논문 발표는 수십만 편이 넘으며, 특히 2020년부터는 매년 더욱 놀라운 속도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피할 수 없는 생리적 현상으로 여긴 여러 노화 현상을 치료적 개입을 통해 지연·중단 또는 역전시킬 가능성에 관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이 나와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이번 장에서는 최근 10여 년간 규명된 노화의 특징을 몇 가지 큰 줄기로 재구성하여 독자들께서 전체적으로 노화를 통찰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본질적인 노화 현상의 큰 줄기 각각은 서로 별개의 독립적인 현상이 아니며, 서로 영향을 줍니다. 이 중 한 가지가 나빠지면 다른 것도 같이 나빠지지만, 어느 한 가지 노화 현상을 좋아지게 하면 다른 현상들도 같이 좋아집니다.
DNA 손상 최소화 또는 복구가 잘되게 하면 노화가 느려지고 질병도 개선할 수 있다
DNA 손상을 최소화하는 대표적 방법은 열량 제한 식이, 건강한 식단, 자외선 차단, 규칙적인 운동, 항산화제 복용입니다. 실제 이러한 예방법을 인체에 적용한 임상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DNA 손상이 평균 20~30%나 줄어들었습니다. 이렇게 DNA 손상이 꾸준히 줄어들면, 노화 속도가 늦어지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더 적극적인 방법은 나이가 들수록 효율이 떨어지는 복구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 입니다. 규칙적으로 운동한 사람들에게서는 DNA 복구 효소가 30%나 활성화되고, 식물의 폴리페놀을 꾸준히 섭취하면 DNA 손상 복구 속도가 18% 정도 향상되었습니다. 나이가 듦에 따라 NAD+(우리 몸에서 400개 이상의 대사에 관여하는 핵심 효소) 수치는 감소하는데, 이를 보충한 쥐의 경우 DNA 복구 효소가 활성화되어 방사선으로 생긴 DNA 손상이 40% 감소했으며, 실제 쥐들의 평균 수명은 약 20%가 늘어났습니다. 임상 연구에서도 DNA 복구 효소를 직접 활성화하는 특정 촉진제를 노인 150명에게 투여 후 복구 효율이 평균 30~40% 향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