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응급의학
· ISBN : 9791159552878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8-03-15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재난의 개념 3
1. 재난의 정의 3
2. 재난의 분류와 대비책 및 한국의 재난 현황 4
3. 재난에서의 응급의료체계의 역할 12
4. 재난 요소 (disaster basic physics) 13
5. 재난 패러다임 (DISASTER Paradigm) 18
Chapter 2 중증도 분류 23
1. 역사적인 관점 23
2. 중증도 분류 24
3. 중증도 분류 시스템 26
4. 중증도 분류 활동 27
5. 중증도 분류 활동의 기록 29
6. 중증도 분류 방법29
Chapter 3 재난과 질병 35
I. 테러 및 바이러스 질환 37
1. 위험물질 (hazardous materials) 37
2. 생물학테러 (Bioterrorism) 45
3. 중증급성호흡증후군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62
4. 메르스바이러스 ( MERS) 69
5. 방사선 사고 73
6. 외상과 폭발손상 (TEE: Traumatic and Explosive Events) 및 재난 패러다임 79
II. 밀폐공간의학 106
1. 도입 106
2. 운영적 고려사항 107
3. 과학적 배경 108
4. 밀폐 공간 의학 109
5. 조사와 구조작업 109
6. 의료적 고려사항 111
III. 감염성 질환과 압좌손상 120
1. 감염성 질환 120
2. 압좌손상 및 압좌증후군 (Crush syndrome) 130
IV. 외상과 내과적 질환 135
1. 외상 135
2. 내과적 질환 155
V. 외상 후 스트레스와 위기상황 스트레스 169
1. 위기상황 스트레스 (CISD) 169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74
VI. 소아와 재난 177
1. 신체적 고려 177
2. 영양 상태 180
3. 심리적 고려 180
4. 부모 교육 181
5. 재난이 소아의 응급진료에 미치는 영향 181
6. 고려해야 할 질환 182
Chapter 4 재난대책 187
I. 한국의 재난관리대책 189
1. 재난관리체계의 역사적 전개와 법률체계 189
II. 재난 비상대책 191
1. 재난 비상대책 191
2. 각 부서별 역할과 점검사항 198
3. 통신 204
Chapter 5 재난응급의료체계 225
1. 병원 재난 계획의 원칙 227
2. 재난 응급의료 서비스 238
3. 재난의료지원팀 (DMAT,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252
4. 권역 응급의료센터 재난운영지침 261
5. 권역 응급의료센터 재난현장 응급의료지원 물품 비축과 관리안 269
6. 항공이송 278
Chapter 6 해외 긴급구조 의료장비 비축 및 운영방안 293
I. 서론 295
1. 개요 295
2. 필요성 300
II. 긴급구호대 운영 현황 및 분석 301
1. 국외 해외 긴급구호대 운영 사례 301
2. 우리나라 해외 긴급구호대 현황 및 분석 317
III. 긴급구호대 운영방안 321
1. 긴급구호대의 구성과 운영 321
2. 출동체계 327
3. 국제 재난현장에서 우리나라의 역할 327
Chapter 7 교육 331
1. 재난의학 교육 333
2. 재난의학 연구 (Research in Disaster Medicine) 341
■ 부록A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 351
■ 부록B 국내의 각종사고 현황 433
■ 색인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