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91160034332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2-03-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6 1. 왜 학제간 융합수업을 하는가? 9 1.1 디자인전공 이상선 9 1.2 경영전공 허정 12 2. 융합교육 준비 단계 17 2.1 학부과정 융합교육 제도 17 2.2. 학제간 융합교육 모형 18 2.3 교수자 모집 20 2.4 교수자와 교수법 이해 22 2.5 산학협력 기업 섭외 22 2.6 융합교육 진행 과정 23 3. 융합수업 설계 26 3.1 수업 개요 설계
26 3.2 수업의 이해관계자 34 3.3 문제 선정 35 4. 교육환경 구축 38 4.1 시간표 38 4.2 학습자의 이해 38 4.3 팀빌딩 44 4.4 교육공간 47 4.5 융합교육 교육 예산 53 5. 강의계획 수립 54 5.1 수업 모델링 54 5.2 상세 강의계획 수립 56 5.3 한 차시 수업의 운영 62 6. 비대면에서 활동중심 수업운영 65 6.1 왜 활동 중심 수업인가? 66 6.2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 환경 점검 68 6.3 비대면 교육의 이해 79 6.4 온라인 교육 공간과 비대면 수업 도구 85 6.5 플립드러닝 Flipped Learning 94 6.6 비대면에서 활동 중심 협동학습 예시 99 7. 학습성과 자료와 평가 108 7.1 수강생 과제물과 평가기준 110 7.2 팀활동의 기록 111 7.3 발표를 통한 학습성과 점검 112 7.4 프로젝트 결과물 120 8. 교수 성찰과 시사점 135 8.1 교수자의 팀워크를 돕는 소통 137 8.2 자기성찰과 강의 평가 분석 137 8.3 경영학의 입장에서 본 융합 수업 성찰 (Dr. Hur) 143 8.4 디자인학과 입장에서 본 융합 수업 성찰 144 8.5 비대면 교육 가능성과 한계 146 8.6 융합교육 성과와 시사점 150 9. 수강생 후기 152 9.1 경영 전공 수강생 153 9.2 디자인 전공 수강생 163 9.3 출판팀 169 참고문헌 171 감사의 글 172
책속에서
조카는 2학년 마칠 즈음이 되도록 대학 친구를 단 한 명도 사귀지 못했다고 했다. 20학번인 조카는 서울 소재 한 대학 인문계열학과에 재학중이다. 집은 경남 김해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 동안 전 학기 비대면 수업을 했고, 시험기간에는 대면 시험을 위해 서울에 있는 나의 집에서 지냈다. 학과의 단체 대화방이나 학과 게시판은 있지만 공적인 공지 이외에 교우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상호작용 채널도 없다고 했다. 입시에서 벗어나 대학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려던 조카의 희망은 이렇게 물거품이 되었다. 나는 충격을 받았다. 우리 학과의 학생들은 어땠을까? 우리 학과라고 크게 달랐다고 할 수 있을까? 나는 학교에서 도대체 무엇을 한 것인가? 공부란 무엇인가? 대학이란 무엇인가? 이런 질문에 대해 뒤늦게 생각하게 되었다.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교육을 불가피하게 시작한 후, 나는 2020년 1학기 수업을 근근히 진행했다. 나의 수업에서는 실습, 비평, 팀활동이 중요하다. 나는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했다. 장비를 갖추고, 방법을 익히고, 친한 교수자 그룹과 연습을 했다. 한 학기가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게 정신없이 흘러갔고, 1학기를 마칠 즈음에 가서야 학생들의 상황은 어땠는지 점검할 마음의 여백이 생겼다. 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지도하는 교수자다. 나는 학습자를 사용자로 보고 설문과 인터뷰를 하고, 비대면 교육과 관련된 자료를 읽고, 나의 수업을 돌아보고 정비하기 시작했다. 대입준비시절 일타강사의 고품질 인강에 익숙한 대학생들에게 온라인 교육에 서툰 교수의 인강 품질은 내용과 형식 모든 측면에서 실망스러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에 왔으나 온종일 모니터를 들여다보며 생활하고 있는 학생들은 집단적 우울감, 심리적 고립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수업을 들을 독립된 공간, 충분한 성능의 장비, 네트워크 환경을 갖추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비대면 수업 첫학기에 나는 학생들이 겪는 이 모든 어려움을 놓치고 있었다. 4학기에 걸쳐 거의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기마다 조금씩 배움과 변화가 있었다. 첫학기 후에는 수강생에 대한 이해, 두번째 학기에는 비대면 환경에서 다양한 활동 중심 수업의 시도, 세번째 학기에는 비대면 교육 운영의 숙련, 네번째 학기에는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을 하이브리드 형태로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이 책의 6장에서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효과적이었던 활동중심 수업 운영방법을 소개한다.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수강생에 대한 이해, 교수자 환경구축의 주의점, 비대면 교육활동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 다양한 교수활동의 예시를 다루고 있다. 비대면 환경에서의 교수법과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많은 교수자에게 참고가 되기를, 논의의 기회가 되기를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