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91160100327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9-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KS인증 종합안내
Part 1 KS인증제도 개요
Part 2 KS인증 취득 절차와 기간
Part 3 KS인증 취득 로드맵과 기초지식
Part 4 KS인증 취득 준비사항
Part 5 KS인증 신청하기
Part 6 KS인증 최초 인증심사(Ⅰ) - 공장심사 절차 및 방법
Part 7 KS인증 최초 인증심사(Ⅱ) - 공장심사 부적합 개선조치 절차와 방법
Part 8 KS인증 최초 인증심사(Ⅲ) - 공장심사보고서 평가항목 해설
Part 9 KS인증 최초 인증심사(Ⅳ) - 제품심사 절차 및 방법
Part 10 KS인증 유지·관리(Ⅰ) - KS인증기업의 의무와 사후관리 개요
Part 11 KS인증 유지·관리(Ⅱ) - 정기심사(3년)의 진행 절차 및 방법
Part 12 KS인증 유지·관리(Ⅲ) - 1년 주기 공장심사 내용 및 절차
Part 13 KS인증 유지·관리(Ⅳ) - 시판품조사 및 현장조사, 특별현장조사
Part 14 KS인증 유지·관리(Ⅴ) - 기타 심사 및 보고 의무 (공장이전심사, 지위승계, 양도양수 등)
Part 15 KS인증 추가 변경 - 품목·종류·등급 추가, 인증기관 변경 등
Part 16 행정처분과 인증취소
Part 17 기타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 KS인증 심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공장심사’는 인증심사원(2인 1조)이 생산현장을 방문하여 해당 기업의 품질경영 시스템 및 공장 운영에 관한 기록(시제품 생산기록을 포함한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평가합니다.
- 공장심사는 최초 인증심사 및 인증 취득 후 실시하는 정기심사(1년, 3년) 시 실시
→ ‘제품심사’는 해당 제품의 시료를 채취하여 한국산업표준(KS) 및 인증심사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해 제품시험을 실시하는 것으로 신규 인증 취득 및 시판품 조사 시 실시합니다.
- 최초 인증심사의 공장심사일 경우 인증심사원이 생산 재고 중 시료를 채취하여 시험기관에 의뢰
?- 공장심사 시 참석해야 하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 해당 공장의 대표자와 관계 부서장이 심사 개시회의와 종료회의 시에 참석하면 됩니다.
→ 심사 개시회의는 심사원이 공장 전체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회의이므로 경영책임자(대표이사, 공장장 등)를 포함하여, 전 부서의 부서장이 참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또한 종료회의 시에는 심사결과에 대한 최종 평가결과를 기업에 안내하고, 심사 결과에 대한 이의사항을 청취하는 등의 순서를 진행하므로 개시회의 시 참석했던 경영책임자 등이 모두 참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경영책임자가 심사 부적합 사항을 확인하여 각 부서장의 의견을 듣고 개선사항을 지시하는 등의 활동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