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염불삼매

염불삼매

(광흠 큰스님 법어)

광흠 (지은이), 정원규 (옮긴이)
비움과소통
12,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520원 -10% 2,500원
640원
13,3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염불삼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염불삼매 (광흠 큰스님 법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864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2-09-23

책 소개

대만 최고의 도인으로 알려진 광흠 큰스님의 구도의 삶과 수행이력, 법문 등을 수록한 귀한 법어집이다. 이 책은 정토법문과 염불수행에 관한 법문뿐만 아니라, 생사윤회와 해탈, 반야와 수행, 고통과 출가, 습기와 아상의 제거, 인과, 중생제도 등 불교의 전반적인 방면을 다루고 있다.

목차

서문 8
제1장 중생에 대한 인식 17
제2장 생사(生死) 21
제3장 집착 25
제4장 아만 27
제5장 습기(習氣) 31
제6장 시비심을 일으키다 39
제7장 재가(在家)의 고통 43
제8장 출가의 장점 47
제9장 지계(持戒) 53
제10장 참방(參方) 61
제11장 도량(道場) 65
제12장 화합(和合) 71
제13장 반야(般若) 75
제14장 아상(我相)의 제거 85
제15장 인욕의 의의(意義) 109
제16장 경계를 빌려 마음을 단련하다 121
제17장 육근을 모두 거두어들여라 133
제18장 거친 옷과 담백한 음식 143
제19장 인과를 밝게 알다 153
제20장 참회(懺悔) 159
제21장 이해와 실천을 병행하다 163
제22장 음덕과 복덕을 아끼다 171
제23장 복혜쌍수(福慧雙修) 177
제24장 남녀관계 183
제25장 비구니 스님에 대한 훈계 187
제26장 절에서의 일 191
제27장 신도의 접견 203
제28장 홍법(弘法)과 중생제도 211
제29장 환화(幻化)와 같은 인연 223
제30장 몸뚱아리 239
제31장 신(信) 원(願) 행(行) 247
제32장 지명염불(指名念佛) 251
제33장 염불삼매 265
제34장 서방극락의 경계 269
제35장 염불수행 관련 질문 273
제36장 견고한 도심(道心) 283
제37장 수행의 풍광 289

광흠 노스님 연보(年譜) 295
역자 후기 307

저자소개

광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흠 노스님에게는 여러 가지 별칭이 있다. 호랑이를 조복시켰다고 해서 “복호화상(伏虎和尙)”이라고 하며, 대만으로 건너와서 평생 과일만 드시고 생명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과일스님[水果師]”이라고 하였다. 스님은 39세 때 고산(鼓山) 용천사(湧泉寺)에서 불칠(佛七: 7일간의 염불정진) 법회 기간에 염불삼매를 얻었으며, 43세부터 복건성 천주(泉州) 청원산의 동굴에서 13년간 수행하였다. 이 기간 호랑이 한 마리에게 삼귀의를 해 준 후 그 호랑이는 가족 호랑이를 데리고 와서 스님의 동굴을 지켜주었다고 해서 “복호화상”이라는 이름이 생기게 되었다. 노스님은 대만과 인연이 성숙하였음을 아시고 56세 때 대만으로 건너왔으며, 매일 과일만 먹고 생활하여 “과일스님”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으며, 밤에는 절 바깥에 앉아서 좌선하였다. 대만에서 신도들이 오면 단지 “착실하게 염불하라[老實念佛]”는 말씀만 하시면서 불자들에게 염불수행을 강조하였다. 노스님은 대만에서 아미타불 염불수행을 널리 펴시는데 큰 공헌을 하신 대선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노스님은 1958년 타이베이 근처에 승천선사(承天禪寺)를 건립하였으며, 1963년에는 타이중(臺中)에 광룡사(廣龍寺)를, 1969년에 광승암(廣承岩)을 지었으며, 1982년에는 대만 남부 까오슝(高雄)에 묘통사(妙通寺)를 건립하였다. 노스님은 1986년 95세의 세수로 이 사바세계를 떠났으며, 입적하시기 3일 전에 허공에 연꽃이 나타났으며, 입적 후 수많은 사리를 남겼다.
펼치기
정원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주에서 출생하여 경북대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중국의 대학연수와 해외사무소 파견근무를 하였으며, 중국에서 접한 불서와 고승의 법문에 감명을 받아 한국에 소개하고 있다. 불교에 입문한 이후 경전 연구, 염불, 능엄주 지송, 참선 등의 수행을 통해 마음을 밝히고, 극락왕생하기 위하여 정진하고 있다. 지금은 인터넷 법당 「정수(淨修)법당」을 운영하며, 매일 염불법회를 열고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오대산 노스님의 인과 이야기』, 『염불, 모든 것을 이루는 힘』, 『선화상인 능엄신주 법문』, 『선화상인 능엄경 강설(상·하)』, 『선화상인 법화경 강설(상·하)』, 『허공을 타파하여 마음을 밝히다』, 『부처님 말씀 그대로 행하니』, 『내 이름을 부르는 이 누구나 건너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만약 정의 집착을 끊지 않고 입으로만 염불하면, 생각생각에 여전히 사바세계에 떨어진다. 만약 간절하고 지성스럽게 염불하며 모든 인연을 놓아버리면, 한 생각 사이에 곧 서방극락세계에 이를 수 있다. 온갖 인연에 얽혀서 끊고 버리지 못하면, 백년 만년 동안 염불해도 여전히 삼계의 안에 있게 된다.


※ 노스님이 또 말하였다. “미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을 일으켜서 저 사람은 악인이라거나 선인이라고 분별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러면 우리 자신이 상대방을 받아들일 도행이 부족한 것이고, 남과 잘 지낼 수 있는 수양이 부족한 것이며, 잘못은 자기의 이근(耳根)과 안근(眼根) 등의 분별하는 업식(業識)에 있다. 이것은 곧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온 습기이며, 우리는 바로 이러한 습기에 장애를 받은 것이다.”


※ 어떤 불자가 묻기를 “재가인은 마땅히 어떤 법문을 수지(修持)해야 합니까?”
노스님이 말하였다. “재가의 불자가 수행하여 어떠한 것을 얻으려고 하는데,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모든 것을 놓고 일심으로 염불하여 대업왕생(帶業往生: 업을 가진 채로 극락에 왕생하는 것)을 구하여 다시는 사바세계에 떨어지지 않는 것이 비로소 가장 온당한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