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2595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9-01-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1부 전쟁의 수사학
언론매체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인의 아시아-태평양전쟁 인식
Ⅰ. 머리말
Ⅱ. 전쟁의 시작과 승리에 대한 ‘불안감’
Ⅲ. 전쟁의 확산과 확신할 수 없는 전황(戰況)
Ⅳ. 전쟁의 패배 과정과 ‘비논리(非論理)’의 확산
Ⅴ. 맺음말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인종 전쟁 담론
Ⅰ. 근대 전쟁과 역사, 그리고 아시아-태평양전쟁
Ⅱ. 대동아전쟁과 인종전쟁성(性) 경쟁
Ⅲ. 인종 담론의 정치성과 균열 내파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산업전사’ 이념의 형상화와 재현
Ⅰ. 전쟁의 문화효과
Ⅱ. ‘총동원체제’의 돌입과 노동의 전사(戰士)화
Ⅲ. 건강한 신체와 멸사봉공의 상징
Ⅲ. 경계넘기와 ‘갱생’의 착시효과
Ⅳ. 탈식민시기 산업전사 이념의 재현
전쟁합리성과 식민주의
Ⅰ. 머리말: 총동원체제와 식민지
Ⅱ. 통제의 꿈, 개별성의 소거
Ⅲ. 전체의 합리성과 부분의 비합리성
Ⅳ. 맺음말
2부 이데올로기의 반향
해방기 테러의 위상학과 테러론의 지형
Ⅰ. 냉전, 폭력 그리고 테러라는 문제
Ⅱ. 경합하는 테러, 구성되는 테러
Ⅲ. 테러와 민족·민주국가의 역학
Ⅳ. 테러, 정당화의 원근법 혹은 운명
반공이데올로기에 기반한 노동담론의 지형(1945~1950)
Ⅰ. 머리말
Ⅱ. 해방 후 노동자와 좌우대립
Ⅲ. 반공이데올로기에 기반한 노동담론
Ⅳ. 맺음말
학병, 전쟁 연쇄 그리고 파병의 논리: 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1966)를 중심으로
Ⅰ. 복수(複數)의 전쟁들
Ⅱ. 두 개의 전쟁 조합: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Ⅲ. 학병 경험과 파월(派越)의 논리
Ⅳ. 결론: 예술은 무엇을 기억하는가
3부 냉전의 세계사적 파동
냉전 초(1947~1953년) 소련 포스터에 나타난 ‘평화’ 이미지
Ⅰ. 머리말
Ⅱ. ‘적’을 다시 만들기
Ⅲ. 냉전 초 소비에트 포스터와 평화 이미지
Ⅳ. 맺음말
냉전 초기(1950년대~60년대) 유엔의 위상변화
Ⅰ. 문제의 제기
Ⅱ. 사악한 공산주의 및 세계혁명의 ‘신화’
Ⅲ. 냉전기 제3세계 국가들의 대외 인식
Ⅳ. ‘신화’를 벗어나 ‘현실’로
Ⅴ. 나가는 말
탈냉전시대의 냉전적 러시아 역사 재현: 한국 공교육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세계사 교과서가 주는 러시아 역사 이미지들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