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6173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제1부 선교사의 선교활동
존 페어맨 프레스톤 선교사와 순천 선교부 _강성호
Ⅰ. 머리말
Ⅱ. 프레스톤의 생애
Ⅲ. 프레스톤과 순천 선교부 설립
Ⅳ. 프레스톤과 순천 선교부 활동
Ⅴ. 맺음말
순천의 개척자: 로버트 코잇(Robert T. Coit)의 한국 선교활동 _송현강
Ⅰ. 머리말
Ⅱ. 로버트 코잇의 출신과 배경
Ⅲ. 광주에서: 순천 지역 순회 사역 및 스테이션 조성(1909~1912)
Ⅳ. 순천에서 ①: 구례와 광양, 교회초등학교와 장막전도(1913~1922)
Ⅴ. 순천에서 ②: 구례와 광양, 사역의 지속과 득병 귀국(1923~1929)
Ⅵ. 맺음말
미국 남장로회의 전남지역 선교기지 구축과 건축 활동: 윌슨과 스와인하트를 중심으로 _우승완
Ⅰ. 미국 남장로회의 전남 선교기지 구축
Ⅱ. 전문직 선교사와 선교건축
Ⅲ. 남장로회 건축 전문 선교사와 참여 기술자
Ⅳ. 윌슨과 스와인하트의 건축 활동
Ⅴ. 결론
인휴(Rev. Hugh Maclntyre Linton) 선교사의 순천지역 선교에 관한 연구 _이홍술
Ⅰ. 들어가는 말
Ⅱ. 인휴 선교사(Rev. Hugh Maclntyre Linton)가 선교의 사역을 감당하게 된 배경
Ⅲ. 인휴 선교사의 선교 사역
Ⅳ. 인휴 선교사의 선교 사역이 순천지역 교회 성장에 미친 영향
Ⅴ. 나가는 말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인애자(Lois Elizabeth Flowers Linton)의 결핵퇴치사업 _송현강
Ⅰ. 머리말
Ⅱ. 인애자·인휴 선교사와 남장로교선교부
Ⅲ. 인애자 선교사의 결핵퇴치사업
Ⅳ. 맺음말
제2부 목사·장로의 종교활동
순천지방 최초 목사 임직자 : 정태인 목사의 삶과 목회 _차종순
Ⅰ. 머리말
Ⅱ. 조상학과 지원근에서 정태인 목사까지(목포에서 무만리까지)
Ⅲ. 정태인의 목회와 어려움과 사망에 이르기까지
Ⅳ. 맺음말
1920년대 고흥 기독교의 확산과 주도인물 _송호철
Ⅰ. 머리말
Ⅱ. 1920년대 교회설립과 주체
Ⅲ. 1920년대 고흥 기독교의 주도인물과 선교적 사회운동
Ⅳ. 맺음말
일제 신사참배 강요와 양용근 목사의 순교사에 관한 고찰 _양향모
Ⅰ. 들어가면서
Ⅱ. 양용근(梁龍根) 목사의 출생과 신앙입문
Ⅲ. 양용근 목사의 목회
Ⅳ. 순천노회 교역자 수난사건과 양용근 목사의 순교
Ⅴ. 나가면서
제헌의원 황두연의 생애와 순천지역 활동 _임송자
Ⅰ. 머리말
Ⅱ. 신앙생활과 청년활동, 그리고 신사참배 반대운동
Ⅲ. 해방 후 우익 활동과 의정 활동
Ⅳ.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순천대 인문학술원은 순천대학교가 위치한 전남 동부지역의 다양한 역사문화유산을 다루고 있습니다. 기독교 역사문화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전남 동부지역 기독교 선교는 순천 선교부와 순천노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그 결과 ‘북평양, 남순천’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순천을 비롯한 전남 동부지역 기독교가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기독교의 발전은 지역사회의 교육, 문화, 정치, 의료 등 다양한 방면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전남 동부지역 사회의 근대적 발전과 기독교 선교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전남 동부지역 교회의 구심체였던 순천노회 전체가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 반대운동 과정에서 커다란 수난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전남 동부지역 선교와 교회의 역사는 지역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한국교회사와 한국민족운동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지역의 기독교선교와 교회발전의 역사를 한국 근현대 전체 흐름과 연관지어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발간사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