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0686500
· 쪽수 : 425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근대 건강 담론의 층위
한국 근대의학 지식의 초기 수용 모습: 의학교의 외국인 교원과 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세가와 사오리·최규진
Ⅰ. 머리말
Ⅱ. 의학교 설립과정 : 지석영의 우두법 도입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Ⅲ. 의학교의 외국인 교원
Ⅳ. 의학교에서 사용한 의학교과서
V. 맺음말
가뎡위을 통해 본 기독교 의료선교사 Mills의 가정위생 인식 |성주현
Ⅰ. 머리말
Ⅱ. 한말~1920년대 가정위생의 인식
Ⅲ. Mills의 가뎡위 구성과 가정위생 인식
Ⅳ. 맺음말
일제 경찰기구의 위생 관념 보급을 위한 시·공간적 선전 |최재성
Ⅰ. 머리말
Ⅱ. 일정한 공간에 대중을 소집하여 집중 선전
Ⅲ. 특정 시간대를 설정하여 집중 선전
Ⅳ. 요약과 평가
시각화한 신체와 ‘건강미’ |최규진
Ⅰ. 머리말
Ⅱ. 모던 신체관의 착근, 화장미와 건강미
Ⅲ. 전시체제와 건강미의 변주
Ⅳ. 맺음말
근대일본의 스포츠를 둘러싼 정치학과 식민지 조선: 스포츠담론의 행방과 ‘국민의 신체’ |황익구
Ⅰ. 머리말
Ⅱ. 스포츠와 사상선도
Ⅲ. 「일독대항경기」와 식민지 조선
Ⅳ.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을 둘러싼 담론의 상극
Ⅴ. 식민지 조선의 스포츠 담론의 행방
Ⅵ. 맺음말
2부 보건·사회 정책의 역사성
일제강점기 간호학의 보급과 간호사 양성 정책 |정은영
Ⅰ. 머리말
Ⅱ. 연구 방법
Ⅲ. 근대 간호의 태동기 : 1910년~1919년
Ⅳ. 근대 간호의 발전기 : 1920년~1937년
Ⅴ. 근대 간호의 정체기 : 1938년~1945년
Ⅵ. 맺음말
1946년 서울 지역 콜레라 발병세와 일국적·지역적 중심부/주변부/변경성(性) |임종명
Ⅰ. 머리말 : 1946년 콜레라 사태와 중심부/주변부/변경성
Ⅱ. 지연된 서울 지역 콜레라 발병
Ⅲ. 발병 직후 콜레라의 강변 지역 확산
Ⅳ. 홍수 이후 콜레라의 천변 지역 만연
Ⅴ. 맺음말: 콜레라 사태의 사회·역사적 사건성(性)
역사 속 의료와 복지를 넘어 살아야 한 재일조선인의 삶: 현재의 코로나19 속 1920년대 전반 오사카 방면위원회의 존재적 한계를 통해 |김인덕
Ⅰ. 머리말
Ⅱ. 도항과 1920년대 오사카 재일조선인의 삶과 지역에서의 인식
Ⅲ. 오사카방면위원회의 재일조선인과 식민주의의 본질 : 사회복지와 의료의 경우
Ⅳ. 맺음말
제국일본의 생명정치와 ‘일본주의’ 우생학: 고야 요시오의 ‘민족과학’론을 중심으로 |서동주
Ⅰ. 머리말
Ⅱ. 고야 요시오의 ‘전향’- ‘생명의 예술’에서 ‘민족의 생명’으로
Ⅲ. 민족생물학에서 ‘민족’과 ‘문화’
Ⅳ. 민족과학과 ‘황도주의’
Ⅴ. 맺음말
19세기 후반 독일 청년운동과 신체문화 |나혜심
Ⅰ. 머리말
Ⅱ. 19세기 후반 독일 사회와 독일 청년운동
Ⅲ. 19세기 후반 독일의 청년운동과 신체문화
Ⅳ. 맺음말
이 책에 실린 논문의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