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6807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간행사 / 5
|제1부| 러시아 남부지역의 소련 사람
서론 15
제1장. 러시아 남부지역의 역사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려인의 모습 고려인 인구조사 통계자료 21
1. 혁명전 시기에 러시아 남부로 이주한 고려인 21
2. 1920년대 러시아 연방공화국 남부지역의 고려인 인구 22
3. 1937년 강제이주부터 2차 세계대전 전까지 러시아 남부지역으로 이주한 고려인 24
4. 전후 회복기 및 사회주의 건설 시기 러시아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남부지역의 고려인들(1945년-1960년 초) 42
5. 1960년-1970년 러시아 남부지역의 고려인 58
6. 1970년대 말-1980년 전반기 러시아 남부의 고려인들 73
7. 소비에트시절의 마지막 시기 95
제2장. 구소련에서 이민 온 선배 세대 소련사람의 사회적 초상 109
1.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후 러시아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고려인 인구수 109
2. 설문조사 자료에 근거한 노인 세대 소련 사람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110
3. 사회학적 연구 자료에 근거한 고려인 노인 세대의 사회적 초상 143
결론 153
|제2부| 러시아 남부지역 기성세대 고려인
서론 169
제1장. 세대의 사회적 초상 173
1. 개론 173
2. 이주 과정 188
3. 민족성 및 정체성 확립 과정 198
제2장. 기성세대의 고려인 공공단체 211
1. 서론: 민족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법률적 기반 211
2. 북캅카스 고려인들의 사회적 통합 214
3. 칼미크 공화국 고려인들의 사회적 통합 222
4. 아스트라한주 고려인 공공단체 227
5. 볼고그라드주 고려인들의 사회적 통합 229
6. 크라스노다르주 및 아디게야 공화국 고려인 공공단체 234
7. 로스토프주 고려인 공공단체 237
8. 스타브로폴주 고려인 공공단체 245
제3장. 러시아 남부 고려 사람의 개인적 성공 251
1. 농업 노동자 251
2. 문화 예술인들 258
3. 학자 및 교수 267
4. 사회 활동가 및 정치인 280
5. 군인들 287
결론 297
|제3부| 러시아 남부 고려인 청년층의 정체성
서론 301
제1장. 개요 305
제2장. 사회 정체성 및 민족 정체성 형성 과정 고려인 청년층의 정체성 331
1. 가족 정체성. 민족 간 결혼 331
2. 민족 정체성 343
3. 시민 정체성 349
4. 민족 정체성의 전통적, 정신적 측면 353
5. 언어 정체성 및 전통 정체성 357
6. 고려인 청년층의 민족 스테레오타입 363
제3장. 고려 사람 청년층의 민족적, 사회적 정체성의 제도화 과정 367
1. 청년 단체 367
2. 볼고그라드 고려인 센터 ‘미리내’ - 지역 공공단체 370
3. 사라토프 고려인 센터 ‘동막골’ - 공공 친목 단체 375
4. 아스트라한. 고려인 문화센터 청년 분과 ‘함께 이동’ 381
5. 한국 전통 무용 앙상블 ‘금강산’, 로스토프나도누 384
6. 한국 무용 스튜디오 ‘화선’, 볼고그라드 387
7. 고려인 공공 문화 단체의 젊은 지도자들과 활동가들 390
결론 407
부록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