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법을 바라보는 13가지 관점

국제법을 바라보는 13가지 관점

(다양한 사고방식에 대한 탐구)

안드레아 비앙키 (지은이), 윤정은, 김명우, 김가희 (옮긴이)
연암서가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27,000원 -10% 2,300원
0원
29,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법을 바라보는 13가지 관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법을 바라보는 13가지 관점 (다양한 사고방식에 대한 탐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0871302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국제법률가들은 종종 법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론보다 법 실무에 초점을 두고 있는 자기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 국제법률가들이 헤엄치고 있는 ‘물’을 휘젓기 위해 쓴 이 책은 국제법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법을 분석하여 독자들이 다양한 법적 사고방식에 대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독자들에게 우리를 둘러싸고 있지만 거의 인식하지 못했던 물을 이해해 보기를 권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장 국제법을 바라보는 다양한 방식
목적
성찰
법을 다루는 것 v. 법을 연구하는 것
이론과 실무
학문 분야
학제간 연구 그리고 그것의 의미: 국제법 & …
책의 구성과 선택
세상을 구성하는 방식으로서의 이론
핵심 아이디어
참고문헌

2장 전통적 관점
전통의 거울
경계에 관한 법리
이성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을 형성하는 자, 데미우르고스
공식 담론의 쌍둥이 자매?
형식과 태도
불사조처럼
참고문헌

3장 입헌주의와 글로벌 거버넌스
독일식 학풍
국내법 패러다임과 그 이후
정치의 종말
방식과 기법
글로벌 행정법
글로벌 거버넌스의 비전
참고문헌

4장 마르크스주의
정치철학자이자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서의 마르크스
주목할 만한 소비에트 이론
관심의 부활: ‘동등한 권리 사이에서’
마르크스주의 분석: 도구 모음
형식 vs 내용: 마르크스주의 의제
국제법: 파멸인가 구원인가
참고문헌

5장 뉴헤이븐 학파
비전을 가진 자
정책 지향적 접근법
권위와 권력 사이의 변증법
국제법의 가치와 목표
관찰적 관점
하버드 법절차 학파와의 구별
새로운 ‘뉴헤이븐’ 또는 초국가적 법절차
유산과 평가
참고문헌

6장 국제관계학 그리고 사회과학 방법론
경쟁 관계에 있으면서도 가까운 사이
이중적인 또는 두 개의 의제?
저항
상호 작용
회고록
경험적 연구로의 전환
일반적 침투
참고문헌

7장 비판법학운동과 뉴스트림
법은 정치다
위계의 재생산에 반대하여
국제법학계 내의 비판이론: ‘뉴스트림’
불확정성 테제의 적용: 변명에서 유토피아로
‘뉴스트림’ 학파의 유산
방식과 비판
주체로서의 국제법률가
참고문헌

8장 헬싱키 학파
과업을 가진 인간이라는 기원 신화
비판적 자기성찰과 구조적 편향
과업을 가진 (다른) 사람들: 역사로의 전환
관리주의(및 다른 방식들)에 대항하여
불가지론의 도덕성
역사로의 회귀
참고문헌

9장 페미니즘
계보
객관성에 대항하여: 젠더 편향의 구조를 파헤치다
페미니즘적 관점 및 감수성
되풀이되는 이분법과 전통적 주제
페미니스트 패러독스: 차이의 재입증
운동, 비판, 그리고 유효성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10장 제3세계식 접근법
국제법의 계층적 성격을 폭로하다
권능으로서의 주권
TWAIL 2세대의 등장
역사적 논쟁: 제국으로서의 국제법
새로운 식민지주의 질서
세계의 구성: 국제법의 재정치화와 참여
참고문헌

11장 법다원주의
파편
파편화로 인한 불안의 해결책
글로벌 법에 대한 관점
사회적 이성의 다양성
전문가의 기회로서의 다원주의
참고문헌

12장 사회적 이상주의
전통과 단절
생각의 혁명
법의 초자연적 존재와 그 기능

구원의 길
필연적 서술 방식
생각해 보지 않은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 대상과 목적
참고문헌

13장 법경제학
법은 효율적이다
개념, 기술, 그리고 비유
검증된 합리적 선택
연원과 형성과정: 관습과 조약을 설명하다
월드비전: 법경제학 ‘아류’
도전받는 합리성: 행동 법경제학
통조림 따개를 넘어: 현안과 전망
참고문헌

14장 법문학
언어의 공통성과 텍스트의 중요성
문학에서의 법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청자와 화자
설득, 방식 그리고 발견의 방법
수사법
해석 공동체
인간의 조건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에필로그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안드레아 비앙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탈리아 시에나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로스쿨에서 석사학위, 밀라노대학교에서 국제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파리 제1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킹스 칼리지 런던 등에서 국제법을 가르쳤으며, 현재 제네바국제대학원에서 국제법 교수이자 국제법학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국제공법 분야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매우 광범위한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국제법 이론, 방법론 및 이와 관련된 이슈에 초점을 두고 연구해왔다. 저서로는 『국제법의 보이지 않는 프레임(International Law’s Invisible Frames)』, 『국제법 이론과 철학(Theory and Philosophy of International Law)』, 『국제법의 해석(Interpretation in International Law)』, 『국제법의 투명성(Transparency in International Law)』 등이 있다. 이 번역서의 원서인 International Law Theories: An Inquiry into Different Ways of Thinking은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로도 번역되어 2023년에 각각 Penser différentes manières de penser. Théories de droit international와 Teorías del Derecho Internacional. Un estudio sobrediferentes formas de pensar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펼치기
윤정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네덜란드 레이던대학교에서 국제공법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제법 전공으로 박사학위 과정을 수료했다. 제54회 사법시험(연수원 45기)에 합격하고 외교부, 국무조정실 민관합동규제개선추진단, 농협은행 준법감시부를 거쳐 현재 LG이노텍 법무실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김명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법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국제형사재판소(International Criminal Court) 1심재판부 인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 법무부 국제법무과 국제법전문위원,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마약범죄대응전문가 등으로 근무하였다.
펼치기
김가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언론정보학을 부전공했다.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 법학(헌법)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으로 헌법과 미디어 법제·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실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생각은 새롭지도 않을뿐더러, 국제법 특유의 것이라고 할 수도 없을 정도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우리의 지적 깨달음이 확장되는 과정을 겪은 후에 얻게 되는 것이다. 국제법의 성격 및 기능에 대한 의문을 허용하지 않는 매우 전통적인 환경에서 훈련받은 법률가라면 이 메시지를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항상 다른 것을 시도하고, 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우리가 하는 것과 그 방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설령 의문을 제기한 후에 출발점으로 다시 돌아가게 될지라도 말이다. 한편 오랜 시간에 걸쳐 많은 이론들이 발전시켜 온 가장 불편한 핵심 원리 중 하나는 ‘나머지 다른 것’을 배제하는 경향이다. 하지만 ‘나머지 다른 것’에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학문 분야뿐만 아니라, 자신의 사고방식을 개선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1장 국제법을 바라보는 다양한 방식


국제법의 주류 이론을 한마디로 설명하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국제법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과 이론적 이해 방식까지 고려한다면, 그 ‘주류’ 이론을 콕 집어내기는 더욱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심지어 오랜 시간 동안 국제법이라는 학문에 기여해 온 많은 관점 중 주류를 찾아내서, 이에 대한 지적 분석을 하는 건 쓸모없다고 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실증주의(positivism), 현실주의(realism), 형식주의(formalism), 도구주의(instrumentalism), 그리고 실용주의(pragmatism). 이 모든 관점들은 ‘낡은 것(old)’일 수도 있고 ‘새로운 것(new)’일 수도 있다. 다만 모두가 국제법 분야의 주류적인 흐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쳐왔기에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어져 왔다. 인식의 다양성은 세계 각지의 다양한 법문화와 역사적 발전 과정에 기인한 정도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국제법을 바라보고 연구하는 특정 방식을 찾아내는 것은 어떤 인식론적 야심이 없더라도 가능하다고 확신한다. 이는 너무 쉽게 그 관점들을 동일시하지만 않는다면,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도 가능한 일이다. -2장 전통적 관점


입헌주의의 주요 매력 중 하나는 정치적 논쟁과 정책 선택이 가지는 우발성과 불확실성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겠다는 약속에 있다. 얀 클라버스(Jan Klabbers)가 말했듯이, 입헌주의는 ‘모든 위대한 이념에 내재된(항상 명시적이지는 않더라도), 정치 종말에 대한 약속을 활용한다.’ 법령과 다른 법률이 전문적인 로비, 정당 정치, 그리고 다른 우발적 요소들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반면, 헌법은 보통 일련의 기본 규칙에 내재된 가치와 원칙들에 대한 정치적 합의를 승인한다. 헌법의 안정적인 특성은 그 틀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른 규범적 선택의 우발성보다 오래 지속되는 데 있다. 헌법은 이러한 고려 사항들을 상회하며, 법적 힘이나 가치 면에서 더 높은 지위를 누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정치의 변동성(volatility)은 이를 방해할 수 없다. -3장 입헌주의와 글로벌 거버넌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