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91161054957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9-08-30
목차
PART 1 건강가족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건강가족의 개념 13
1. 건강가족의 정의 13
2. 건강가족의 필요성 17
3. 건강가족의 의미와 가치 22
4. 건강가족의 특성 23
제2장 건강가정에 관한 이론적 틀 38
1. 가족체계이론(Family Systems Theory) 38
2. 가족강점의 틀(The Family Strengths Framework) 41
3. 가족탄력성 관점(Family Resilience Framework) 43
4. 가족발달의 틀(The Family Development Framework) 52
5. 상징적 상호작용의 틀(The Symbolic lnteraction Framework) 54
6. 사회구성주의 틀(The Social Construction Framework) 56
7. 웰니스 패러다임 모델(Wellness Paradigm Model) 58
PART 2 가족의 건강성
제3장 생애주기별 가족의 건강성 63
1. 체계로서의 가족 63
2. 가족생활주기 64
3. 생애주기별 가족의 건강성 68
4.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관계 및 가족 건강성의 변화 90
제4장 다양한 가족의 건강성 96
1. 분거가족(맞벌이 분거가족을 중심으로) 97
2. 한부모가족 114
3. 재혼가족 130
4. 조손가족 146
5. 다문화가족 165
PART 3 건강가족을 위한 실천적 접근
제5장 건강가정을 위한 다양한 전달체계 191
1. 건강가정사업 전달체계의 구성요소 191
2. 건강가정지원센터 193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214
4.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223
제6장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자격 233
1. 건강가정사의 역할 233
2. 건강가정사의 자격 237
3. 건강가정지원센터 직원의 자격 245
4. 건강가정사 현장실습 247
5. 건강가정사의 역량개발 254
제7장 건강가정사를 위한 실천기술 259
1. 건강가정사의 역할실천과정 259
2. 요구도 조사기술 263
3. 의사소통기술 266
4. 갈등관리기술 271
5. 스트레스관리기술 276
제8장 건강가정사업과 프로그램 285
1. 건강가정사업의 이론적 배경 285
2. 건강가정사업의 실제 295
3.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의 실제 308
제9장 건강가정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연계 317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317
2.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 321
3. 네트워크 활성화 요인 및 제약 요인 325
4. 네트워크 형성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329
5. 건강가정지원센터 네트워크 현황 331
6. 건강가정지원센터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제언 337
PART 4 건강가정을 위한 과제와 전망
제10장 과제와 전망 343
1. 한국가족(가정)의 현주소 343
2. 건강가정육성을 위한 과제와 전망 349
부 록
부록 1.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현황 359
부록 2. 건강가정기본법 374
ㆍ참고문헌 384
ㆍ찾아보기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