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학습자료 > 기타
· ISBN : 979116125515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11-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
Chapter 0 학생들은 어떤 탐구보고서를 쓰고 있는 걸까?
Chapter 1 탐구보고서 제대로 이해하기
글쓰기가 아니라 활동이 중심이다
이과도 문과도 핵심은 과학적 탐구활동이다
커다란 이슈가 아닌 작은 주제를 다룬다
논리는 기본, 객관과 근거가 필요하다
과학적 사고법, 조사법, 표현법을 평가받는다
Chapter 2 주제로 가는 의문 갖기―과학적 사고법 ①
오해 1. 사회적 이슈를 다룬 커다란 의문이 좋지 않나요?
오해 2. 완전히 독창적인 의문이 필요하지 않나요?
1단계 매일의 일상에서 의문 가져 보기
2단계 검색으로 의문을 구체적으로 다듬기
3단계 what을 중심으로 의문 바꾸기
탐구활동에 적절한 4가지 의문 형식
Chapter 3 주제 다듬기―과학적 사고법 ②
어떤 의문이든 진로와 연결할 수 있다
진로 맞춤 주제는 팀의 도움을 받는다
주제 확정을 위해 분석 대상과 분석 목적으로 나눠 보자
의문 형식에 따라 오는 4가지 주제 표현
탐구 모형과 탐구 가설에 도전해 보자
제목은 주제를 그대로 가져오기
탐구계획서를 작성하자
Chapter 4 주제에 맞는 조사 방법―과학적 조사법
조사, 설문조사, 실험… 뭐가 다른 거지?
문헌조사
사례조사
내용분석(콘텐츠 분석)
관찰조사
설문조사
실험조사
Chapter 5 탐구보고서 글쓰기―과학적 표현법
글은 어떻게 쓰면 될까 - 객관과 근거의 글쓰기
탐구 배경과 필요성
탐구 모형과 가설
선행 연구
탐구 방법
탐구 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부록
Chapter 6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유의할 점
자신의 탐구에 자신감 갖기
사전에 많은 문헌과 자료 찾아보기 금지!
조사 가능한지 체크하기
과대망상에 빠지지 말기
두 번 세 번 검토하고 수정하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탐구보고서는 ‘탐구활동’의 탐구 주제, 탐구 방법, 탐구 결과를 담는 그릇에 불과하다. 생기부에 기록되는 탐구활동의 평가는 ‘어떤 주제를 가지고 어떤 과정으로 탐구했고, 그래서 어떤 결과를 얻었나’를 보고 이루어진다. 탐구보고서의 목차가 어떻게 되었고, 어떤 스타일의 글쓰기를 했는지는 평가 대상이 아니다. 사실 탐구보고서는 거창하게 보고서 형식을 지닐 필요도 없다. 그냥 파워포인트 한 장으로 정리해도 되고, 사진 한 장으로 보여 줘도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탐구활동의 주제, 방법, 결과이기 때문이다.
― <글쓰기가 아니라 활동이 중심이다> 중에서
주제를 잡기 위해 의문을 생각할 때 학생들은 독창성, 창의성을 걱정한다. 그래서 그런지 아톰의 눈에는 괜찮아 보이는 의문이나 주제도 “이건 너무 흔한 것 같아서 좀 그래요.”라고 말한다. 그러다가 떠올리는 의문과 주제마다 새롭지 않아 보여서, 또는 다른 학생이 한 것 같아서 고민하다가 결국 탐구활동을 포기하는 학생도 있다. 특히 실험을 중심으로 탐구활동을 해야 하는 이과 지망 학생들이 그렇다. 대학 입학사정관은 과학적 사고법와 조사법를 활용하여 어떻게 탐구활동을 했는지를 평가한다. 물론 주제가 독창적이라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지만, 기본은 어디까지나 사고법과 조사법의 활용 능력 평가이다. 아무리 독창적인 주제라 해도 과학적 사고법에 맞지 않거나 조사법도 엉망진창이라면 아무 소용이 없다
― <완전히 독창적인 의문이 필요하지 않나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