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삼위일체 하나님과 신학

삼위일체 하나님과 신학

김은수 (지은이)
새물결플러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삼위일체 하나님과 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위일체 하나님과 신학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515
· 쪽수 : 660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저자는 한국교회가 처한 엄중한 상황을 극복하고 회복시키는 “교회의 갱신”이 하나님의 말씀 위에 바로 서는 “신학의 갱신”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목차

머리글
제1장 기독교 “신학”의 정체성과 본질적 의미: 역사적 고찰과 개혁신학의 이해
제2장 “성경의 명료성” 교리와 신학적 함의들: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신학의 기초
제3장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론의 정립과 발전의 역사: 이레나이우스로부터 장 칼뱅까지
제4장 친교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 현대 동방 정교회의 삼위일체론 이해
제5장 “영원한 생명”으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 개혁주의 생명신학에 대한 신학적 소묘
제6장 관계 속에 있는 생명: 삼위일체 하나님과 구속사적 인간 이해
제7장 개혁주의 기독론 이해: 연구방법론적 소묘
제8장 개혁주의 속죄론 이해: 도르트 신앙표준의 “형벌대속적 제한속죄론”
제9장 한국장로교 “조직신학”의 발전 역사: 평양신학교와 고신/장신/총신/한신/합신을 중심으로
제10장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에 있어 “존재론적 모험”: “주체의 출현”으로부터 “타자에로의 초월”에 이르기까지

저자소개

김은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을 거쳐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였으며, “시간, 영원, 그리고 삼위일체”(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A Trinitarian Analogical Understanding of Time and Eternity)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미국에서 한인교회를 섬기며 연구하다 귀국하여 그동안 여러 신학교에서 강의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금은 백석대학교 연구교수와 “한국개혁신학연구소”의 연구소장직을 수행하면서 조직신학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저자가 가진 주된 학문적 관심은 사도적 정통개혁주의 신학(Apostolic Orthodox Reformed Theology)을 이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정립함과 동시에 신학과 자연과학 및 인문학과의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인 대화를 통하여 신학적 통섭(Theological Consilience)의 자리를 찾는 것이다. 저자는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한국개혁신학회, 한국장로회신학회, 한국칼빈학회 등에서 활동하며 계속하여 연구논문들을 발표해 왔고, 현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및 한국장로교신학회의 편집위원/편집위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Time, Eternity, and the Trinity> (Pickwick Publications, 2010), <개혁주의 신앙의 기초>(개정판)(SFC, 2011), <칼빈과 개혁신앙>? (SFC, 2011)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따라서 우리는 한 시대를 풍미하고 안개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시대사조”(Zeit-Geist)에 근거한 신학이 아니라, 영원히 살아 있고,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정립된 “사도적 정통 개혁신학”(the Apostolic-Orthodox Reformed Theology)을 깊이 있게 체계적으로 재정립하여야만 한다. 참으로 교회의 갱신은 하나님의 말씀 위에 바로 서는 신학의 갱신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는 그러한 시작을 위한 하나의 작은 시도로서, 정통적인 기독교 신학의 의미와 이해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본래적인 신학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봄과 동시에 개혁신학의 입장에서 “신학”(theologia)을 재정의(re-definition)함으로서 우리가 지향해가야 할 신학적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_제1장 “기독교 신학의 정체성과 본질적 의미” 중에서


여기서 우리는 먼저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신학에 있어 특별히 “성경의 명료성” 교리와 관련하여, (1) 인식론적 원리(epistemological principle), (2) 신학적 원리(theological principle), (3) 해석학적 원리(hermeneutical principle), 그리고 마지막으로 (4)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로서의 그 실제적인 작용과 구체적인 함의들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그 연후에, 이러한 루터의 종교개혁신학에 있어 “제일 원리”(primum principium)로 작동하고 있는 “성경의 명료성” 교리가 가지는 해석학적인 함의들이 특히 근/현대 성경해석학 이론들에 의해 야기된 성경해석학적 위기의 상황에서 어떻게 도움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_제2장 “성경의 명료성 교리와 신학적 함의” 중에서


요약하자면, 우리는 먼저 앞에서 언급한 고대 정통 교부신학자들로부터 종교개혁 시기에 이르기까지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가 정립되는 핵심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볼 것인데, 이러한 과정은 특히 칼뱅이 그의 삼위일체론 정립을 위하여 비판적으로 계승한 신학적 배경이 과연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칼뱅의 삼위일체론 이해에 있어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상반된 평가들을 고려하면서, 16세기 반(反)삼위일체론자들과의 논쟁 속에서 칼뱅의 신학적 이해가 어떻게 발전되어갔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의 교의학적 주저인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최종판(1559)15에 나타난 삼위일체론 이해에 대한 집중적인 탐구를 통하여 그의 신학적 이해에서 공교회적 핵심 요소들에 대한 비판적 계승과 중요한 신학적 특징들, 그리고 그의 독창적인 공헌들에 대하여 분석하며 살펴볼 것이다.
_제3장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론의 정립과 발전의 역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