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슬람 세계 속 기독교

이슬람 세계 속 기독교

(초기 아랍 그리스도교 변증가들의 역사 이야기)

시드니 H. 그리피스 (지은이), 서원모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슬람 세계 속 기독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슬람 세계 속 기독교 (초기 아랍 그리스도교 변증가들의 역사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6129124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9-10-10

책 소개

아랍 기독교의 역사를 다룬 책. 무함마드가 나타나 활동을 시작했던 6/7세기부터 13세기 몽골의 침략에 이르는 시기 동안 나타난 아랍 기독교인들의 문화적·지적 성취 및 이슬람에 대항한 기독교의 변증활동을 포함한 신학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차

서문
서론

제1장 “복음서의 백성”, “성서의 백성”: 이슬람 세계의 그리스도인과 그리스도교
제2장 묵시록과 아랍족: 이슬람의 도전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첫 대응
제3장 아랍어 그리스도교 신학: 교회 생활의 새로운 발전
제4장 아랍어 그리스도교 신학의 형태: 이슬람 세계 내 그리스도교 담론의 장르와 전략
제5장 바그다드와 그 외 지역의 그리스도교 철학: 이슬람 고전 문화 발전의 주요 동반자
제6장 바그다드는 콘스탄티노플 내지 로마와 무슨 관련이 있는가?: 이슬람 세계 속의 동방 그리스도교가 가진 자기인식
제7장 초승달과 십자가 사이에서: 공생, 신학 간의 충돌 및 종교 간의 대화

참고문헌
인명 색인
역자후기

저자소개

시드니 H. 그리피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로마가톨릭 사제이자, 미국 가톨릭 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의 교회사 분야 은퇴교수다. 시리아어와 중세 아랍어에 대한 연구로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고, 초기 기독교 연구소(Center for the Study of Early Christianity) 소장을 역임했다. 그의 학문적 관심은 아랍 기독교, 시리아 수도원 운동, 중세 기독교-이슬람 관계사 및 에큐메니컬·종교 간 대화 등의 분야에 걸쳐 있다. Collectanea Christiana Orientalia를 비롯한 동방 기독교 학술지 및 관련 학회등의 이사와 회장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Syriac Writers on Muslims and the Religious Challenge of Islam (1995), The Bible in Arabic: The Scriptures of the “People of the Book” in the Language of Islam (2013)을 비롯한 수십 편의 논저를 출간하였으며, 특히 본서 『이슬람 세계 속 기독교』(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는 저자의 수십 년에 걸친 연구 성과를 집약한 걸작으로서, 2008년 미국교회사학회에서 에큐메니컬 교회사 분야 최우수 도서로 선정되어 앨버트 아우틀러 출판상(Albert C. Outler Prize)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서원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후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거쳐 미국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시리아 기독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회사학회장과 한국교부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장로회신학대학교 고대교회사 교수, 안양대학교 HK+사업단 일반연구원, 아시아기독교사학회장이다. 저서로는 『동아시아 기독교와 전교문헌 연구』(공저), 『숭정역서에 기술된 태양의 운동』(공저), 『동서문명교류』(공저), 역서로는 『신편천주실록 역주』(공역), 『이슬람 세계 속 기독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동 지역에서 아랍 이슬람 고전 문명의 전성기에 해당하는 8세기 중엽에서 13세기 중엽에 르는 시기에, 아랍어를 사용하는 그리스도인들은 이슬람 문화에 주요한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그들 스스로도 아랍어로 철학과 신학에 관한 문헌을 저술했다. 그들은 그리스어·시리아어·콥트어로 기록된 자신들의 여러 교회적 전승을 아랍어로 번역했고, 아울러 학자와 과학자와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하였며, 이들은 당대의 아랍 세계에서 부러움을 살 만한 명성을 얻기도 했다. 본서는 그리스도교 역사 가운데 이처럼 흥미롭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영역에 대해 더 알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아랍 그리스도인들에 관한 개괄적인 이야기를 풍부한 서지 정보를 담은 각주와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_“서론” 중에서


비록 꾸란이 그리스도인을 직접 거론하고 또 여러 곳에서 그리스도인에 대해 말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그리스도인”이라는 명칭을 실제로 언급하는 적은 없다. 대체로 꾸란에서 그리스도인은 본문 가운데 “성서의 백 성”,“경전의 백성”,“성서의 사람들”이라 불리는 이들 가운데 포함된다. 이 일반적인 명칭은 54회 정도 나오며, 여기에 그리스도인 외에도 유대인과 이따금씩 조로아스터교도도 포함된다. 그리스도인을 특별히 지칭하는 “복음의 백성”이란 말은 한 번 등장한다(5:47). 그러나 더욱 흥미로운 것은 꾸란에서 그리스도인을 지칭하기 위해 14회 정도 사용하는 안-나싸라라는 아랍어다. 현대의 모든 학자는 이 용어를 “그리스도인”이라고 번역하는데, 이 용어의 어원과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 적잖은 논란이 있지만, 학자들은 이 말이 [...] 보통 예수의 고향인 갈릴리 나사렛 출신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용사라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인다.
_ 제1장 “‘복음서의 백성’, ‘성서의 백성’” 중에서


놀랄 만한 첫 군사정벌에 뒤이어, 동방 그리스도교의 중심지들이 하나씩 신속하게 아랍인 침략자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우선 다마스코스(635)와 예루살렘(637)에 이어서 안티오케이아(637)가 함락되었고, 그다음으로 시리아의 에뎃사(Edessa, 640)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642)에 이어서 티그리스강 바로 건너편에 있는 페르시아 사산왕조의 수도인 셀레우키아/크테시폰(Seleucia/Ctesiphon, 645)이 정복되었다. 무함마드의 사망 이후 단 십수 년 만에, 그리스도교의 총대주교구 다섯 곳 중의 세 곳과, 페르시아에 있던 “아시리아 동방 교회”(the Church of the East) 교종(catholicos)의 감독좌가 아랍인 예언자를 신봉하는 열성적 추종자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_ 제2장 “묵시록과 아랍족”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