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512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0-04-22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론
1장 교부 사상의 정의, 법 그리고 십자가
2장 중세의 속죄와 법 혁명
3장 종교개혁: 루터, 칼뱅 그리고 형벌 대속론의 전통
4장 근대: 속죄와 영혼의 치유
5장 속죄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법 비판
6장 속죄와 하나님의 행위의 완전함
책속에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법과 정의 개념은 교부 시대의 속죄론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배경 중 하나다. 그러나 서론에서 지적한 것처럼 이것은 속죄론 개념의 발달을 결정짓는 의미에서 고대 그리스-로마의 법과 도덕 철학이 특정한 속죄론의 출현을 설명해준다는 말이 아니다. 나는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러한 상황을 무비판적으로 이해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할 것이다. 오히려 그러한 상황에 대한 이해는 우리에게 그러한 상황에서 속죄론이 형성된 타당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_1장 교부 사상의 정의, 법 그리고 십자가 중에서
신의 초월성에 대한 플라톤의 개념과 죄의 보편성에 대한 기독교의 확신들은 인간의 정의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이해 속으로 들어온다. 키케로의 정의 개념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비판은 중세 초기에 영향력이 매우 컸고, 우리가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키케로의 개념들은 완전히 제거된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법에 대한 중세 초기의 태도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정치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다소 회의적인 시각이다.
_2장 중세의 속죄와 법 혁명 중에서
종교개혁의 법철학의 진정한 독창성은 교회의 영적인 권위와 관련해서 세속적 권리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다는 점에 있다. 나는 두 영역 혹은 루터가 표현한 두 왕국의 법적인 권력의 분산이 종교개혁의 속죄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밝힐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의 주장은 하나님의 구원 행위에 대한 신학적 묘사와 설명이 정의와 법에 대한 당대의 이해를 필연적으로 수용한다(더 나아가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16세기의 종교개혁과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다.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법적 공헌은 영적인 왕국과 관련해서 제후들의 세속적 권위를 확립하고 합법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교개혁가들의 정치신학과 철학은 속죄론에 적합한 통찰력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_3장 종교개혁: 루터, 칼뱅 그리고 형벌 대속론의 전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