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윗의 왕위 계승사

다윗의 왕위 계승사

(전도서를 드라마화한 삶의 이야기)

구자용 (지은이)
새물결플러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2개 5,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윗의 왕위 계승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윗의 왕위 계승사 (전도서를 드라마화한 삶의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30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2-18

책 소개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다윗의 생애를 구약의 지혜 문헌과 연결 지어 해석함으로써 성서 해석의 입체적 측면을 부각하는 책. 특별히 “다윗의 왕위 계승사”는 잠언의 지혜를 드라마화한 것이라는 전통적인 가설을 뒤집고 오히려 전도서의 지혜를 드라마화한 작품이라는 새로운 주장을 펼친다.

목차

서문 12
약어표 19

I. 들어가는 말 21
1. 다윗의 왕위 계승사란 무엇인가? 22
2. 지혜의 관점에서 분석한 다윗의 왕위 계승사 29
3. 연구방법론상의 문제들 33
1) 삶의 교훈으로서 구약의 지혜 33
2) 폰 라트에 대한 재조명 35
3) 일관된 경험 신학과 지혜의 담론성 40
4) 구약 지혜 문학 외에서 지혜를 논하는 문제 42
5) 다윗의 왕위 계승사의 드라마화와 독서의 드라마 43
6) 전도서 지혜의 드라마화 47

II. 다윗의 왕위 계승사 본문 분석 49
1. 사무엘하 9장 다윗, 므비보셋 그리고 시바 51
1) 본문 분석 51
2) 인물 분석 59
(1) 다윗 59
(2) 므비보셋 60
(3) 시바 61
3) 전도서와의 연결점 62
(1) 전도서 4:13-16 62
(2) 전도서 10:7; 2:21[a]-22; 6:10 66
2. 사무엘하 10:1-5 다윗, 암몬 자손의 왕 하눈 그리고 그의 자문관들 70
1) 본문 분석 71
2) 인물 분석 74
(1) 다윗 75
(2) 하눈 75
(3) 하눈의 자문관들 76
3) 전도서와의 연결점(전 2:18-19) 78
3. 사무엘하 10:6-12:31 다윗과 밧세바, 우리아와 요압 83
1) 본문 분석 84
(1) 암몬 및 아람과의 전쟁(삼하 10:6-19; 12:26-31) 84
(2) 다윗-[밧세바-우리아]-요압 이야기 91
(3) 사무엘하 12:1-25: 회개와 죄사함 그리고 심판과 수용 111
2) 인물 분석 122
(1) 다윗 122
(2) 밧세바 124
(3) 요압 125
(4) 나단 127
(5) 전령 127
3) 전도서와의 연결점 128
(1) 전쟁 128
(2) 왕에 대한 비판 130
(3) 메멘토 모리 + 카르페 디엠 139
(4) 행위-화복-관계 사상과 하나님의 절대 주권 155
4. 사무엘하 13:1-14:27 암논과 다말 그리고 요나답과 압살롬 156
1) 본문 분석 157
(1) 사무엘하 13장 157
(2) 사무엘하 14:1-27 181
2) 인물 분석 194
(1) 암논 195
(2) 다말 195
(3) 요나답 196
(4) 압살롬 197
(5) 다윗 197
(6) 요압 199
(7) 드고아의 지혜로운 여인 200
3) 전도서와의 연결점 201
(1) 전도서 10:8-9 201
(2) 전도서 8:1-8 203
(3) 전도서 2:13-17 209
5. 사무엘하 14:28-19:43[히, 44] 다윗과 압살롬 그리고
아히도벨과 후새의 다양한 지혜와 그 결과 213
1) 본문 분석 214
(1) 사무엘하 14:28-33 214
(2) 사무엘하 15장 215
(3) 사무엘하 16장 229
(4) 사무엘하 17:1-23 239
(5) 사무엘하 17:24-19:8 246
(6) 사무엘하 19:9-43[히, 10-44] 260
2) 인물 분석 270
(1) 압살롬 270
(2) 다윗[왕] 272
(3) 아히도벨 276
(4) 후새 277
(5) 요압 278
(6) 므비보셋 278
(7) 시바 279
(8) 바르실래 280
(9) 아히마아스[전령] 280
3) 전도서와의 연결점 281
(1) 전도서 9:11-12 281
(2) 전도서 2:16bb 283
(3) 전도서 7:23-24 285
(4) 기타 287
6. 사무엘하 20장 세바의 반란과 아벨-벧-마아가의 지혜로운 여인 288
1) 본문 분석 288
(1) 사무엘하 20:3 290
(2) 사무엘하 20:4-13 292
(3) 사무엘하 20:14-22 294
2) 인물 분석 297
(1) 세바 297
(2) 요압 298
(3) 다윗 298
(4) 아벨-벧-마아가의 지혜로운 여인 299
3) 전도서와의 연결점 300
(1) 여인들의 삶(전도서 전체) 300
(2) 전도서 3:10-11 302
(3) 전도서 7:11-14 304
(4) 가릴 수 없는 인간의 한계와 죽음(전도서 전체) 306
7. 열왕기상 1-2장 인간의 한계인 노화와 죽음 그리고 왕위 계승 307
1) 본문 분석 308
(1) 열왕기상 1:1-4 308
(2) 열왕기상 1:5-10 309
(3) 열왕기상 1:11-53 311
(4) 열왕기상 2장 323
2) 인물 분석 334
(1) 다윗 334
(2) 아도니야 335
(3) 나단 335
(4) 솔로몬 336
3) 전도서와의 연결점 337
(1) 전도서 4:13-16[반복] 337
(2) 지혜와 정치의 한계(전 5:8) 338

III. 나가는 말 341

참고문헌 344

저자소개

구자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고(B.A.), 졸업 후 독일로 유학해 마인츠(Mainz) 대학교와 본(Bonn) 대학교 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석사(Mag. theol.)와 박사(Dr. theol.) 학위를 받았다. 한국에 귀국한 후 뒤늦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를 받았다. 총신대학교, 명지대학교, 안양대학교, 성결대학교, 한남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고 2015년 이래 현재까지 인천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선교전문대학원대학교인 주안대학원대학교에서 구약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2014년 이래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있으며 사회 변혁을 위한 성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박사 학위 논문의 출판본인 Weisheit in der Thronfolgegeschichte: Eine literarkritische und literatur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 der Weisheitsdarstellung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ihrer Ironisierung (KAANT 9; Kamen: Hartmut Spenner, 2009)가 있으며, 역서로는 『이스라엘의 지혜』(한국학술정보, 2012)가 있다. 공저로는 『성서의 세계: 김두연 목사 회갑기념논문집』(아람성경문화연구원, 2012)과 The Book of Samuel: Stories - History - Reception History (BETL 284; Leuven: Peeters, 2016), 『혐오를 부르는 이름, 차별』(한국학술정보, 2020), 『성서, 생태 위기에 답하다』(한국학술정보, 2022)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윗의 왕위 계승사는 사무엘하 9-20장과 열왕기상 1-2장에 걸쳐서 서술되는 다윗의 왕위 계승에 관한 이야기다. 밧세바가 “누가 내 주 왕의 뒤를 이어 보좌에 앉을 것인가?”(왕상 1:20bß)라고 다윗에게 한 질문이 “잘 짜인 구성을 보이는 전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핵심 주제가 된다.
I. 1. 다윗의 왕위 계승사란 무엇인가? 중에서


사무엘하 9장은 다윗의 왕위 계승사를 “왕위 계승”이란 주제로 볼 때 좋은 시작이 될 수 있다. 다윗의 왕위 계승이란 측면에서 사울 왕가의 남은 자가 있고 없고는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을 고려하여 이 장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사무엘하 9장은 왕권을 확고히 하려는 다윗의 인위적 조치라고 말할 수 있다. 본문에서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다윗의 모습은 요나단에게 빚진 은혜를 갚고자 하는 하해(河海)와 같은 포용심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것이 과연 그러한가”에 대한 의문이 가시지 않는다.
II. 1. 사무엘하 9장 다윗, 므비보셋 그리고 시바 중에서


11:6-13에 나오는 왕으로서 다윗의 행위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그것은 폭력적인 왕의 모습이고, 치밀하지 못한 어리석은 왕의 모습이며, 서술자에 의해 매우 신랄하게 비판받는 왕의 모습일 뿐이다. 이것은 특히 전도서 9:17의 조용히 들리는 지혜자의 말들이 우매한 자들을 다스리는 자의 호령보다 낫다는 교훈이 드라마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I. 3. 사무엘하 10:6-12:31 다윗과 밧세바, 우리아와 요압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