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30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2-18
책 소개
목차
서문 12
약어표 19
I. 들어가는 말 21
1. 다윗의 왕위 계승사란 무엇인가? 22
2. 지혜의 관점에서 분석한 다윗의 왕위 계승사 29
3. 연구방법론상의 문제들 33
1) 삶의 교훈으로서 구약의 지혜 33
2) 폰 라트에 대한 재조명 35
3) 일관된 경험 신학과 지혜의 담론성 40
4) 구약 지혜 문학 외에서 지혜를 논하는 문제 42
5) 다윗의 왕위 계승사의 드라마화와 독서의 드라마 43
6) 전도서 지혜의 드라마화 47
II. 다윗의 왕위 계승사 본문 분석 49
1. 사무엘하 9장 다윗, 므비보셋 그리고 시바 51
1) 본문 분석 51
2) 인물 분석 59
(1) 다윗 59
(2) 므비보셋 60
(3) 시바 61
3) 전도서와의 연결점 62
(1) 전도서 4:13-16 62
(2) 전도서 10:7; 2:21[a]-22; 6:10 66
2. 사무엘하 10:1-5 다윗, 암몬 자손의 왕 하눈 그리고 그의 자문관들 70
1) 본문 분석 71
2) 인물 분석 74
(1) 다윗 75
(2) 하눈 75
(3) 하눈의 자문관들 76
3) 전도서와의 연결점(전 2:18-19) 78
3. 사무엘하 10:6-12:31 다윗과 밧세바, 우리아와 요압 83
1) 본문 분석 84
(1) 암몬 및 아람과의 전쟁(삼하 10:6-19; 12:26-31) 84
(2) 다윗-[밧세바-우리아]-요압 이야기 91
(3) 사무엘하 12:1-25: 회개와 죄사함 그리고 심판과 수용 111
2) 인물 분석 122
(1) 다윗 122
(2) 밧세바 124
(3) 요압 125
(4) 나단 127
(5) 전령 127
3) 전도서와의 연결점 128
(1) 전쟁 128
(2) 왕에 대한 비판 130
(3) 메멘토 모리 + 카르페 디엠 139
(4) 행위-화복-관계 사상과 하나님의 절대 주권 155
4. 사무엘하 13:1-14:27 암논과 다말 그리고 요나답과 압살롬 156
1) 본문 분석 157
(1) 사무엘하 13장 157
(2) 사무엘하 14:1-27 181
2) 인물 분석 194
(1) 암논 195
(2) 다말 195
(3) 요나답 196
(4) 압살롬 197
(5) 다윗 197
(6) 요압 199
(7) 드고아의 지혜로운 여인 200
3) 전도서와의 연결점 201
(1) 전도서 10:8-9 201
(2) 전도서 8:1-8 203
(3) 전도서 2:13-17 209
5. 사무엘하 14:28-19:43[히, 44] 다윗과 압살롬 그리고
아히도벨과 후새의 다양한 지혜와 그 결과 213
1) 본문 분석 214
(1) 사무엘하 14:28-33 214
(2) 사무엘하 15장 215
(3) 사무엘하 16장 229
(4) 사무엘하 17:1-23 239
(5) 사무엘하 17:24-19:8 246
(6) 사무엘하 19:9-43[히, 10-44] 260
2) 인물 분석 270
(1) 압살롬 270
(2) 다윗[왕] 272
(3) 아히도벨 276
(4) 후새 277
(5) 요압 278
(6) 므비보셋 278
(7) 시바 279
(8) 바르실래 280
(9) 아히마아스[전령] 280
3) 전도서와의 연결점 281
(1) 전도서 9:11-12 281
(2) 전도서 2:16bb 283
(3) 전도서 7:23-24 285
(4) 기타 287
6. 사무엘하 20장 세바의 반란과 아벨-벧-마아가의 지혜로운 여인 288
1) 본문 분석 288
(1) 사무엘하 20:3 290
(2) 사무엘하 20:4-13 292
(3) 사무엘하 20:14-22 294
2) 인물 분석 297
(1) 세바 297
(2) 요압 298
(3) 다윗 298
(4) 아벨-벧-마아가의 지혜로운 여인 299
3) 전도서와의 연결점 300
(1) 여인들의 삶(전도서 전체) 300
(2) 전도서 3:10-11 302
(3) 전도서 7:11-14 304
(4) 가릴 수 없는 인간의 한계와 죽음(전도서 전체) 306
7. 열왕기상 1-2장 인간의 한계인 노화와 죽음 그리고 왕위 계승 307
1) 본문 분석 308
(1) 열왕기상 1:1-4 308
(2) 열왕기상 1:5-10 309
(3) 열왕기상 1:11-53 311
(4) 열왕기상 2장 323
2) 인물 분석 334
(1) 다윗 334
(2) 아도니야 335
(3) 나단 335
(4) 솔로몬 336
3) 전도서와의 연결점 337
(1) 전도서 4:13-16[반복] 337
(2) 지혜와 정치의 한계(전 5:8) 338
III. 나가는 말 341
참고문헌 344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윗의 왕위 계승사는 사무엘하 9-20장과 열왕기상 1-2장에 걸쳐서 서술되는 다윗의 왕위 계승에 관한 이야기다. 밧세바가 “누가 내 주 왕의 뒤를 이어 보좌에 앉을 것인가?”(왕상 1:20bß)라고 다윗에게 한 질문이 “잘 짜인 구성을 보이는 전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핵심 주제가 된다.
I. 1. 다윗의 왕위 계승사란 무엇인가? 중에서
사무엘하 9장은 다윗의 왕위 계승사를 “왕위 계승”이란 주제로 볼 때 좋은 시작이 될 수 있다. 다윗의 왕위 계승이란 측면에서 사울 왕가의 남은 자가 있고 없고는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을 고려하여 이 장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사무엘하 9장은 왕권을 확고히 하려는 다윗의 인위적 조치라고 말할 수 있다. 본문에서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다윗의 모습은 요나단에게 빚진 은혜를 갚고자 하는 하해(河海)와 같은 포용심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것이 과연 그러한가”에 대한 의문이 가시지 않는다.
II. 1. 사무엘하 9장 다윗, 므비보셋 그리고 시바 중에서
11:6-13에 나오는 왕으로서 다윗의 행위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그것은 폭력적인 왕의 모습이고, 치밀하지 못한 어리석은 왕의 모습이며, 서술자에 의해 매우 신랄하게 비판받는 왕의 모습일 뿐이다. 이것은 특히 전도서 9:17의 조용히 들리는 지혜자의 말들이 우매한 자들을 다스리는 자의 호령보다 낫다는 교훈이 드라마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I. 3. 사무엘하 10:6-12:31 다윗과 밧세바, 우리아와 요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