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북한의 이해

현대 북한의 이해

아드리안 부조 (지은이), 박영호 (옮긴이)
명인문화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26,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610원
23,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현대 북한의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북한의 이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1931234
· 쪽수 : 572쪽
· 출판일 : 2025-02-26

책 소개

현대 북한에 대한 포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다. 그리고 북한의 중대한 전환기에 걸쳐 역사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 모두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적용을 제공한다. 정치적 관점, 북한경제, 대외관계, 사회, 문화라는 5개 부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 떠오르는 논쟁과 연구 분야를 반영하고 있다.

목차

간략목차
제1장 서론: 북한 이해하기
제1부 정치적 관점
제2장 북한 사회·정치체제의 진화, 1945~1994년
제3장 생존의 마스터들: 적대적 세계 속의 북한 리더십
제4장 김정은체제의 정치경제와 이데올로기
제2부 북한경제
제5장 북한 경제계획시스템의 구조적 변화
제6장 시장과 국가 사이: 북한의 취약한 농업과 식량공급
제7장 북한의 글로벌경제와의 상호작용
제3부 대외관계
제8장 적들이 이것을 가능하게 했다: 1948년 이후 중국-북한관계
제9장 핵무기와 북한의 외교정책
제10장 북한의 핵외교
제11장 오랜 우정의 부활: 현대 북한-러시아관계
제12장 열의를 갖고 다시 한번: 미국-북한 대화, 1993~2020년
제4부 사회
제13장 인권과 북한
제14장 북한에서 사람의 ‘시장 가치’
제15장 북한의 아동 집단동원
제16장 북한인 디아스포라
제5부 문화
제17장 『조선 음악』 잡지를 통해 본 북한의 문화정책과 관행의 진화
제18장 연인의 사랑, 지도자의 사랑: 북한 소설 속 청춘 로맨스
제19장 김정은 시대의 대중문화: 지속과 변화

세부목차
역자서문
제1장 서론: 북한 이해하기
서론
제1부 정치적 관점
제2부 북한경제
제3부 대외관계
제4부 사회
제5부 문화
요약
제1부  정치적 관점
제2장 북한 사회·정치체제의 진화, 1945~1994년
도입
서론: 식민지 시대의 유산
소련의 점령과 북한의 수립
소련의 점령과 신탁통치문제
민족 정통성과 민족 통일의 복합성
한국전쟁 이전 및 전쟁 중 국가-사회 갈등
‘남로당파’의 숙청: 치명적인 선례
동유럽 탈스탈린화와 북한의 차이
커지는 지도부 내부의 균열
대립에서 숙청으로
성분제도의 창조
성분제도: 비유와 영감의 원천
초기 게릴라 연합: 불안정한 균형
게릴라 연대의 붕괴
빨치산 가족국가에서 가족 내 숙청으로
숙청에서 권력 강화로: 김일성 시대의 마지막 단계
결론
제3장 생존의 마스터들: 적대적 세계 속의 북한 리더십
김정일 권좌에 오르다
붕괴하는 경제와 개혁의 딜레마
아래로부터의 시장화
아래로부터의 시장화에 대한 정부의 입장
안보 보장과 외교 수단으로서의 핵무기
김정은 취임하다
내부로부터의 위협에 대처하기: 친위쿠데타 미연 방지
내부로부터의 위협에 대처하기: 시민저항 위협의 중화
외부로부터의 위협에 대처하기
결론
제4장 김정은체제의 정치경제와 이데올로기
서론: 정치와 경제의 불가분성
기조 확립: 연례 신년사, 2012~2019년
레짐의 경제적 자기 인식: 최고인민회의 회기와 예산보고서
북한사회의 철저 분석: 김정은의 제7차 당 대회 보고
결론: ‘선군정치’에서 ‘경제발전을 위하여’로
제2부  북한경제
제5장 북한 경제계획시스템의 구조적 변화
서론
물자균형계획과 김일성체제의 북한경제
북한 경제계획 과정의 조정
대외무역과 시장의 확산
김정은 시대 계획수립 개혁
결론
제6장 시장과 국가 사이: 북한의 취약한 농업과 식량공급
서론
역사적 배경
2000년대 북한의 식량생산
식량생산량 측정 방법론과 그 중요성
권리문제로서의 식량
김정은 치하의 농업: 변화, 그러나 어느 정도?
결론
제7장 북한의 글로벌경제와의 상호작용
역사적 맥락
북한의 사업방식
미래에 대한 영향
제3부  대외관계
제8장 적들이 이것을 가능하게 했다: 1948년 이후 중국-북한관계
서론
제9장 핵무기와 북한의 외교정책
핵무기의 흐름: 추진 요인, 동기와 이해관계
핵전략과 국가목표
북한의 진화하는 핵전략
정치적, 외교적 및 경제적 목표를 위한 전략
촉매전략
확증 보복
핵전쟁 수행
결론
제10장 북한의 핵외교
북한외교의 특성
북한 핵프로그램의 발전
6자회담 중 북한은 핵무기를 향해 돌진하다
2005년 9월 합의
2008년 합의에 접근
김정은 시대
결론
제11장 오랜 우정의 부활: 현대 북한-러시아관계
서론
러시아의 아시아·태평양 전략에서의 북한
북한의 안보와 러시아 연방의 이익
냉전 이후 북러 경제관계
결론
제12장 열의를 갖고 다시 한번: 미국-북한 대화, 1993~2020년
서론
미북협상의 과거사
싱가포르 정상회담
하노이 정상회담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다가올 미래의 양상
제4부  사회
제13장 인권과 북한
서론
분단된 한반도의 인권
권리와 정전
북한 인권: 2014년 유엔 조사위원회
오늘날의 인권 침해의 역사
식량권, 굶주림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1990년대의 기근
구조적 차별
종교적 박해
정보의 자유
집회의 자유
이동의 자유
신체적 완전성 침해
결론
제14장 북한에서 사람의 ‘시장 가치’
서론
1990년 이후 북한의 변화
사회적 출신성분과 조선노동당 당원 여부에 기반한 시장 가치
시골 지역으로의 추방
외부 접촉에 노출된 북한 주민
중국, 러시아 및 한국과 연고가 있는 북한 주민
기타 시장 가치가 낮은 사람: 여성과 성 소수자
장애인
북한 내 사람의 시장 가치 판단의 변화
결론
제15장 북한의 아동 집단동원
서론
북한의 아동 노동력의 연령 집단과 규모
아동 동원에 대한 유엔의 비판과 북한의 대응
결론
제16장 북한인 디아스포라
서론
현대 북한인 이주와 재정착
북한인 이주와 재정착을 형성한 요인
북한인 디아스포라?
레짐의 계산과 디아스포라 정치: 북한과 세계에 대한 함의
결론
제5부  문화
제17장 『조선 음악』 잡지를 통해 본 북한의 문화정책과 관행의 진화
서론
잡지 『조선 음악』
시대의 변화: ‘주체’와 ‘천리마’
작곡가와 작품 만들기
억지로 꿰맞추기: 전통음악이 민족음악이 되다
결론
제18장 연인의 사랑, 지도자의 사랑: 북한 소설 속 청춘 로맨스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공부하기: 개인 메모
모범노동자 사랑하기: 초기 북한 소설 속의 청춘 로맨스 주제
1980년대와 북한 소설 속의 결함 있는 혁명가: 정치적 맥락
1980년대의 전형적인 북한 소설 세 편
결론
제19장 김정은 시대의 대중문화: 지속과 변화
부전자전: 김정일 이후 다시 돌아온 봄
오래된 주제, 새로운 방법
중심의 지도자
국가의 어린이들에게 자애로운 지도자
봄을 위한 추진력으로서의 지도자
김정은의 특이한 리더십 스타일의 합리화
결론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도표
4.1 국가 예산 수입의 연 성장률, 2005~2018년 (%)
4.2 북한의 수출, 2005~2018년
4.3 북한의 국가예산 누적 증가율, 2004~2019년
5.1 북한 경제계획시스템의 행정적 위계구조 (1985년까지)
5.2 당 지도기관의 행정적 위계 구조 (1985년 이후)
6.1 식량 생산량, 1990~2017년, 곡물 (제분된 쌀 상당량)
6.2 총 식량 생산량, 2009~2018년 (미제분)
6.3 총 식량 생산량, 2009~2019년 (제분)


5.1 분야별, 소유형태별 사회총생산 비중 (현금 기준)
15.1 국제노동기구(ILO) 아동 노동 범주: 북한 사례
15.2 아동권리위원회(CRC) 문제에 대한 북한의 답변

저자소개

아드리안 부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시드니대학교를 졸업한 후 외교관으로서 주한 호주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이후 단국대학교에서 한국어문학으로 석사학위를, 호주 모나쉬대학교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모나쉬대학교, 울릉공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맥쿼리대학교 언어학과 교수로 한영번역을 가르치고 있다. 호주 국가 공인 통·번역자격시험인 NAATI의 수석 심사위원을 오랫동안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The Making of Modern Korea, The Guerilla Dynasty: Politics and Leadership in the DPRK 1945-1994, Community Language Interpreting: A Workbook(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영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반도평화만들기재단 한반도포럼 위원장이자 통일연구원 초청연구위원이다. 남북관계, 대북ㆍ통일정책, 북미관계, 동북아안보, 미국외교안보정책 등을 연구해 왔고, 정치변동과 역사적 시대조류의 변화에 관심이 있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강원대 초빙교수, 한국세계지역학회 회장, 비교민주주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미국의 국내정치와 대북정책》,《남북한 평화공존과 대북정책》 등이 있고, 공저로《21세기 동북아정세와 북한 인권》,《평화통일을 위한 통일외교 전략》, Perspectives on Migration Flows in Asia and Europe,《한반도 뫼비우스의 띠 풀기: 북한 비핵화와 평화 구축》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193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