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88932221304
· 쪽수 : 245쪽
· 출판일 : 2007-12-30
목차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아프리카 시장특성 및 발전제약 요인
1. 아프리카 경제 특성
가. 53개의 이질적 시장
나. 경제규모의 영세성과 ‘모노컬처’형 경제구조
다. 구 식민종주국과의 종속적 경제구조
2. 프런티어 시장으로서의 아프리카
가. ‘절망’과 ‘희망’ 사이에 있는 아프리카
나. 21세기 신흥 자원시장으로 부상
3. 아프리카 리스크
가. 국가 리스크
나. 비즈니스 리스크
제3장 세계 주요국의 아프리카 진출전략
1. 아프리카 시장선점 경쟁
2. 중국의 아프리카 시장접근 동향 및 통상전략
가. 중국의 아프리카 접근전략 특징
나. 중국의 아프리카 자원개발
다. 중국의 접근 강화에 대한 아프리카의 반응
라. 중국의 아프리카 시장공략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3. 미국의 대(對)아프리카 통상전략
가. 중국의 대(對)아프리카 시장확대에 대한 경계 및 견제
나. ‘안보 인프라’ 강화
다. 중동석유 대안시장으로 접근
라. 원조대상국에서 경제협력 파트너로 접근
마. 정부 차원의 진출지원
4. 유럽의 대(對)아프리카 통상전략
가. 새로운 ‘아프리카 전략’ 채택
나. FTA 등을 통한 시장편입
5. 일본의 대(對)아프리카 통상전략
가. 국제사회의 지지 획득을 위한 개발원조(ODA) 확대
나. ‘선택’과 ‘집중’화 전략
제4장 한ㆍ아프리카 경제협력의 현주소
1. 한ㆍ아프리카 경제협력 개요
2. 교역 및 투자 관계
가. 100억 달러대의 수출시대 진입
나. 일부 국가에 대한 수출편중 현상과 연속성의 결여
다. 한국 상품의 아프리카 시장점유율은 2~3%대로 미미
라. 빈약한 투자관계
3. 개발협력 지원
제5장 아프리카의 전략적 가치
1. 아프리카와의 협력 의의: 포스트 BRICs 시장의 선점
2. 자원개발시장의 다변화
가. 아프리카 자원개발의 의의
나. 석유개발 잠재력
다. 광물자원 개발잠재력
3. 건설ㆍ플랜트
4. 정보통신
가. 남아프리카공화국
나. 알제리
다. 이집트
5. 틈새 수출시장 개척
제6장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통상전략
1. 기본 방향
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과 장기적인 접근
나. 경제적 이익추구와 개발협력의 조화로운 발전
다. ‘선택’과 ‘집중’: ‘3 plus 3’ 거점국가 접근
2. 시장확대 전략
가. 통상협력의 기본틀 구축: 거점국가(남아프리카공화국)와의 FTA 체결
나. 건설플랜트
다. 정보통신(IT)
3. 자원개발
가. 한국형 자원개발 모델의 정립: 패키지형 진출
나. 자원외교의 강화
4. 개발협력 지원
가. 아프리카 개발원조(ODA) 규모의 확대
나. 비교우위 분야와 협력 니즈의 조합
다. 특정국가(모범국)에 대한 집중지원 방식의 채택
라. 특혜관세제도 확대를 통한 시장접근 지원
마. 한국 농촌개발경험의 전수
제7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