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원에 물을 주며

정원에 물을 주며

(관원 선생 문집 역주)

박계현 (지은이), 박세욱 (옮긴이)
역락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0,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정원에 물을 주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원에 물을 주며 (관원 선생 문집 역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62445839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0-09-22

책 소개

관원 박계현의 시문들은 말 그대로 '일고'의 형태로 남아 전한다. 임진왜란으로 모든 기록을 잃었고, 여기저기에 남아 전하는 것을 손자인 퇴우당 박승종이 <밀산세고>로 엮었던 것에서 출발한다.

목차

역자 서문 4
추 천 사 『정원에 물을 주며―관원 선생 문집 역주』 초고를 읽어 보고서 _ 이장우 8
추 천 사 국역 『관원 선생 문집』 출간에 부쳐 _ 박원순 12

관원 선생 문집 권1
시│23
1. 무제(無題)│25
2. 무오년 정시에서(戊午庭試)│27
3. 함종현에서 제영한 시(咸從縣題詠)│30
4. 내사 기명언대승 친척 어른께 써서 바침(錄奉內史奇明大升戚丈)│33
5. 명언(明彦)께 화답하여 바침 7수(奉和明彦七首)│36
6. ‘고열’, 임평사제에게 드림(苦熱贈林評事悌)│49
7. 주청사 윤자고근수의 사신행을 송별하며(送別奏請使尹子固根壽之行)│53
8. 스스로를 읊음(自)│56
9. 윤장원 시권 뒤에 지음(題尹長源詩卷後)│58
10. 만포 수항정에 제함(題滿浦受降亭)│60
11. 남명 조선생식 만사 2수(挽南冥曹先生植二首)│64
12. 숭덕재 이판서윤경 만사 3수(挽崇德齋李判書潤慶三首)│69
13. 윤정 만사(挽尹)│73
14. 참군 아우용현를 곡함(哭參軍弟用)75
15. 희천군에서 죽은 벗 백평사광홍의 시에 차운하여(熙川郡次亡友白評事光弘韻)│77
16. 강서현 시판의 운자를 차운하여 정경 사또님께 취해 올림 4수(江西縣次板上韻 醉奉靜卿使君四首)│81
17. 만포로 부임할 때 평산부에서 지음(赴滿浦時題平山府)85
18. 눈금당에 제영한 시(嫩金堂題詠)│87
19. 자계 열여섯 노래(紫溪十六詠)│91
20. 이구암[의 자손들이] 여묘살이하는 곳에 들려 그 손자 호섭과 곤섭에게 줌 3수(過李龜嚴守廬處贈其孫虎變鯤變三首)│119
21. 안성 극적루 시에 차운하여(次安城克敵樓韻)│122
22. 퇴계 이선생황께 받들어 드림(奉贈退溪李先生滉)│126
23. 다시 임평사 시에 차운하여 5수(再次林評事五首)│128
24. 유회부가 제주판관에 제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聞柳晦夫除濟州判官)│138
25. 유사익에게 드림 2수(贈柳師益二首)│140
26. 삭녕군 임지로 가시는 숙부님과 작별하며 지어드림 5수(奉別叔父赴朔寧郡任所五首)│143
27. 임평사와 이별하며 줌(贈別林評事)│148
28. 승려의 시축에 지어 김내한질충에 부쳐 보임(題僧軸寄示金內翰質忠)│150
29. 『기재기이』 권 뒤에 지음(題企齋記異卷後)│152
30. 금오청사에 지음(題金吾廳事)│154
31. 박훤 시고(詩藁) 권두에 지음(題朴萱詩藁卷面)│156
32. 방가모정에 지음(題方家茅亭)│158
33. ‘탄금도’에 지음(題彈琴圖) │163
34. 아우 명치가 그린 대나무에 지음용현(題舍弟鳴治畵竹用賢)│166
35. 원오(圓悟)의 시축에 지음(題圓悟詩軸)│168
36. 지능의 시축에 차운하여 지음(次題智能詩軸)│170
37. 이잠계전인 시에 차운하여 4수(次李潛溪全仁四首)│172
38. 무제(無題)│176
39. 임평사의 ‘당귀초’ 시운을 빌려(次林評事當歸草韻)│179
40. 임평사의 ‘화병의 연꽃’ 시를 차운함(次林評事蓮韻)│181
41. 임평사의 ‘술회’ 시운을 빌려(次林評事述懷韻)│185
42. 조송강사수께 올림(上趙松岡士秀)│188
43. 닭실 청암정에서 삼가 퇴계선생의 시운을 빌려 지음(酉谷靑嚴亭敬次退溪先生韻)│191
44. 눈을 읊음(雪)│201
45. 만포진 수항정 제영시에 차운하여(次滿浦鎭受降亭韻)│204
46. 향설헌 제영시(香雪軒題詠)│208
47. 망경루 시에 차운하여 지음(望京樓次題)│212
48. 태안객관에 제영함(泰安客館題詠)│216
49. 이잠계 시에 차운하여 2수(次李潛溪二首)│218
50. 서극일 시에 차운하여 2수(次徐克一韻二首)│221
51. 안성 객헌에서 청룡사 스님을 만나서(安城客軒遇靑龍寺僧)│225
52. 진위현 제영시(振威縣題詠)│227
53. 신 매제 집 잔치에 가서(赴宴申妹第)│229
54. 노소재수신께 드림(贈盧蘇齋守愼)│231
55.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며 오매역에 지음(赴按湖南題烏梅驛)│233
56. 임평사에게 화답함(和林評事八首)│235
57. 성남장 작은 술자리에서 이장윤의 시운을 빌려(城南庄小酌次李長胤韻)│264
58. ‘동교’시를 차운하여(次東郊韻)│267
59. 연경으로 가시는 숙부님과 작별하며 드림(奉別叔父赴京)│269
60. 문서린의 시권에 지음(題文瑞麟詩卷)│271
61. 황경문정욱을 전송하며(送景文廷彧)│273
62. 북방 병영으로 부임하는 정공언신입부를 봉별하며(奉別鄭公信立夫赴北兵營)│277

서간書 · 갈碣│281
이잠계에게 보냄정묘시월회일(與李潛溪 丁卯十月晦)│283
이잠계에 답함(答李潛溪)│284
증 정부인 황씨 묘갈(贈貞夫人氏墓碣)│285

관원 선생 문집 권2
2-1. 박감사가 보내온 시에 차운하여 2수(次朴監司見寄韻二首)│293
2-2. 박판서께 드림(贈朴判書) 조사 장영(張詔使 寧)│296
2-10. 취해 박 감사님께 올림 2수(醉呈朴使相二首) 백호(白湖)│299
2-11. 관원선생을 애도함 6수(悼灌園先生六首) 백호(白湖)│303
2-12. 시호를 맞이할 때의 원운시(延謚韻)│310
2-13. [또]│312
행장(行狀)―종오대손 통훈대부 세자시강원 보덕겸 춘추관편수관 박성원(朴聖源, 1697~1767)│315
유사들을 대략 기술함(遺事略)│331
신도비명(神道碑銘)―우의정 심희수(沈喜壽, 1548~1622)│335
시장(謚狀)―숭록대부 홍계희(崇祿 洪啓禧, 1703~1771)│348
시호를 맞을 때 무덤에 고유한 글(延謚告由文)│361
후서(後)│363
발(跋)│367

보유│369
I .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관원의 시문들│371
Ⅱ. 관원에게 보낸 시문들│397

연보│423
발(권기연)│456
발(박병하)│458
발(박찬규)│460
발(박영각)│462

저자소개

박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字)는 군옥(君沃), 호는 관원(灌園) 또는 근사재(近思齋)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시호(諡號)는 문장(文莊)이다. 이조판서 낙촌(駱村) 박충원(朴忠元, 1507~1581)의 장자로, 중종 19년(1524)년 한성부 동부 숭신방(崇信坊, 현 동대문구)에서 태어났다. 명종 7년(1552)에 문과로 급제하여 중앙 조정의 청요직과 지방관을 역임하고 선조 13년(1580) 병조판서와 지중추부사로 생을 마감했다. 당색과 학파에 빠지지 않고, 화해의 정치를 모색했으며, 특히 회재 이언적, 충재 권벌 선생의 신원 회복에 기여했다. 그가 지은 시문들은 손자인 퇴우당(退憂堂) 박승종(朴承宗, 1562~1623)이 수습한 『밀산세고(密山世稿)』를 통해 전해진다.
펼치기
박세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고전문학과 예술, 특히 동서양 문물교류를 중심으로 공부하는 강사다. 현재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에 소속되어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연관 도서로 『실크로드』, 『제번지역주』, 『8세기 말 중국에서 인도로 가는 두 갈래 여정』, 『파리에서 둔황까지』, 『진랍풍토기역주』, 『도이지략역주』,『영애승람역주』, 『성사승람역주』, 『지봉 이수광이 바라본 세계』, 『유구변증설: 타이완과 오키나와』, 『통보 60년의 여정』(공역) 등을 펴낸 바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