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2447031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1-04-22
책 소개
목차
제1부 나려(羅麗) 한문학 원전비평
제1장 <신라수이전>의 작자와 저작배경
1. 서언
2. 문헌상의 명칭과 작자 문제
3. <최치원>의 작자 추정
4. 최치원의 <신라수이전> 저작배경
5. <신라수이전>과 박인량 <수이전>의 관계
6. <신라수이전>의 개작설에 대한 이견
7. 결언
제2장 <신라수이전>의 최치원 저작설 보론_47
― 傳奇 <崔致遠>의 加筆과 관련하여
1. 서언
2. <최치원>의 구성과 표현상의 문제점
3. <쌍녀분기>의 저작과 주인공
4. 성임의 <태평통재> 편찬과 원전 변개
5. <최치원>의 가필 양상
6. 결언
제3장 김극기의 ‘유고’ 문제_75
1. 서언
2. 노봉 김극기와 <김거사집>
3. 지월당 김극기와 <지월당유고>
4. <지월당유고>의 신빙성 문제
5. 결언
제4장 석 식영암의 정체 재론
― 南原梁氏, 法名 淵鑑
1. 서언
2. 교유시 분석과 기존 논의 검토
3. 식영암의 정체
4. <정시자전>의 의인화 대상
5. 결언
제5장 이제현 연보의 실상
1. 서언
2. <익재난고>의 간행과 <연보>의 편찬
3. <익재선생연보>의 교감
4. 결언
제6장 고려시대의 부전(不傳) 문집
1. 서언
2. 김휴의 <해동문헌총록> 편찬
3. 고려시대의 문학자료
4. 부전 문집의 해제 검토
5. 결언
제7장 고려시대의 일실(逸失) 시화집
1. 서언
2. 고려 최초의 시화집 <잡서>
3. <속파한집>과 <보한집>의 관계
4. 시문선 겸 시화집 <동국문감>
5. <백운소설>의 찬자에 대한 이견
6. 결언
제8장 고려시대 한시작가 비정(批正)
1. 서언
2. 기존 연구에서의 작가 비정
3. 역대 시선집의 한시작가 오류
4. 결언
제2부 고려 한문학의 재인식
제1장 고려시대의 변려문과 고문
1. 서언
2. 나말여초의 문풍과 변려문
3. 고려 전기 : 변려문과 고문의 대립
4. 고려 중기 : 고문의식의 성장과 전개
5. 고려 후기 : 고문창도와 그 영향
6. 결언
제2장 고려시대의 제고(制誥)
1. 서언
2. 조령류와 제고
3. 고려시대 제고의 양식
4. 고려시대 제고의 특징
5. 결언
제3장 고려시대의 시문선집
1. 서언
2. <협주명현십초시>
3. 김태현 <동국문감>
4. 최해 <동인지문>
5. 조운흘 <삼한시귀감>
6. 김지 <선수집>
7. 결언
제4장 고려시대 잡록의 성격
― ‘수필’의 개념과 관련하여
1. 서언
2. 한문학에서 ‘수필’의 개념
3. 한문학에서 ‘수필’의 성격
4. 결언
제5장 고려시대의 기로회(耆老會)
1. 서언
2. 당․송대의 기로회
3. 고려시대의 기로회
4. 결언
제6장 고려시대의 팔경문학
1. 서언
2. 고려 중기의 팔경시
3. 고려 후기의 팔경시와 사(詞)
4. 결언
제7장 고려 후기 한문학의 기점
― 柳璥의 삶과 학술사상
1. 서언
2. 고려 한문학사의 시대구분 검토
3. 유경의 학술과 고려 후기 한문학으로의 이행
4. 결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