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62491669
· 쪽수 : 976쪽
· 출판일 : 2025-08-08
책 소개
목차
제1부_십자화과(배추과) 채소의 채종 이론과 실제
제1장 십자화과(배추과) 채소
1.1 주요 십자화과(배추과) 채소
1.2 생리, 생태적 특성
1.3 추대생리
1.4 원종 채종
1.5 F1 일대잡종 채종이론과 실제
1.6 채종지 선정
1.7 채종재배
1.9 채종포 방화곤충
1.10 예취 및 탈종
1.11 종자정선
제2장 양배추
2.1 채종이론과 기술
2.2 채종 실제
제3장 방울다다기양배추
3.1 채종이론과 기술
3.2 채종 실제
제4장 브로콜리(녹색꽃양배추)
4.1 채종이론과 기술
4.2 채종 실제
제5장 배추
5.1 채종이론과 기술
5.2 채종 실제
제6장 청경채
6.1 채종이론과 기술
6.2 채종 실제
제7장 무
7.1 채종이론과 기술
7.2 채종 실제
7.3 무 채종농가와 실제
제2부_과채류 채소의 채종 이론과 실제
제1장 박과·가지과 채소의 채종생리 특성
1.1 주요 과채류채소
1.2 채종의 특성
1.3 원종채종
1.4 F1 일대잡종 채종
1.5 채종지의 선정
1.6 종과수확 및 탈종
1.7 종자소독
1.8 종자 정선
1.9 종자 저장
제2장 오이
2.1 채종이론과 기술
2.2 F1 채종 실제
제3장 수박
3.1 채종이론과 기술
3.2 F1 채종 실제
제4장 호박
4.1 채종이론과 기술
4.2 F1 채종 실제
제5장 멜론과 참외
5.1 채종이론과 기술
5.2 F1 채종 실제
제6장 고추
6.1 채종이론과 기술
6.2 F1 채종 실제
제7장 토마토
7.1 채종이론과 기술
7.2 F1 채종 실제
제8장 가지
8.1 채종이론과 기술
8.2 F1 채종 실제
제3부_기타과 채소의 채종 이론과 실제
제1장 양파
1.1 채종이론과 기술
1.2 채종 실제
제2장 파
2.1 채종이론과 기술
2.2 채종 실제
제3장 부추
3.1 채종이론과 기술
3.2 채종 실제
제4장 당근
4.1 채종이론과 기술
4.2 채종 실제
제5장 상추
5.1 채종이론과 기술
5.2 채종 실제
제6장 쑥갓
6.1 채종이론과 기술
6.2 채종 실제
제7장 완두
7.1 채종이론과 기술
7.2 채종 실제
제8장 강낭콩
8.1 채종이론과 기술
8.2 채종 실제
부록
채소종자의 가공
1 종자의 발아와 휴면(신광순)
2 종자가공(신동호)
책속에서
1.6.1 토양과 비료 성분(soil and fertilizer components)
이전의 화학비료는 추비와 기비로 나누어 시비하였으나 최근에 펠렛팅(코팅) 비료가 등장하여 추비와 기비를 동시에 원샷(one shot) 시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양배추류(cole crops)
양배추류인 양배추, 방울다다기양배추, 브로콜리 등은 사질양토(sandy loam)와 점질토양(clay soil)까지 폭넓게 적응하며 적정 토양산도(optimum soil acidity)는 pH6.0~6.5이다. 산성토양(acid soil)에서는 뿌리혹병(club root) 발생이 조장되므로 채종포장에 석회성분 시용으로 토양산도를 조정해준다.
토양에 시용하는 N:P:K 비율은 월동재배동안 질소성분이 많으면 조직이 연해지고 동해(frost)가 우려되므로 질소성분 30~35%는 월동 후 추비(top dressing)하여 월동기간 부족했던 비료성분 보충으로 화경신장(flower stalk elongation)을 촉진시킨다. 미량요소(micronutrient element)에 대체적으로 민감하므로 기비(basal dressing)로 망간(Mn), 철(Fe), 마그네슘(Mg), 붕사(Borax), 몰리브덴(Mo) 등을 시용하여 결핍증상을 예방한다.
배추류(Brassica campestris)
배추, 청경채, 갓 등의 토양 적정산도(optimum soil acidity)는 pH6.0~7.5이며 채종포장은 토양산도(soil acidity) 교정을 위하여 석회성분 시용이 필요하다. 토양시용(soil application) 시비량은 월동육묘 후 봄에 정식하는 채종방법 기준으로 10a당 N:P:K 비율은 13:7:12kg이다. 채종작물의 조만성(早晩性)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기비(基肥)와 함께 망간(Mn), 철(Fe), 마그네슘(Mg), 붕사(Borax), 몰리브덴(Mo) 등을 적량 시용하여 결핍증상(deficiency symptom)을 예방한다. 특히 비료성분의 용탈(leaching)이 잘되는 사질토양(sandy loam)에서는 개화 전에 질소와 칼리성분의 추비(top dressing)가 필요하나 점질토양은 전량기비로 시용하여 생육후기에 2차 생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제1부, 제1장 「십자화과(배추과) 채소의 채종생리특성 」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