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타과 채소의 채종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62491270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2-02-28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62491270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우리나라 채종농가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다. 양파, 파, 부추, 당근, 상추, 쑥갓, 완두, 강낭콩 등의 채종은 물론 육종과 재배에 관한 현장 전문가의 실용적인 내용이 들어 있다. 많은 사진과 통계 등을 활용하였다.
목차
제1장 양파
제2장 파
제3장 부추
제4장 당근
제5장 상추
제6장 쑥갓
제7장 완두
제8장 강낭콩
책속에서
우리나라에 양파가 도입된 경로는 중동과 중국을 연결하는 실크로드설(Silk Road theory)과 미국으로부터 직접 도입설이 있으나 일본을 거쳐 도입된 경로가 유력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 양파 재배기록은 1945년부터이며 그때의 재배면적은 145ha, 1950년에는 2,000ha로 종자는 전량 도입품종이었다. 1960대까지 90% 이상 일본종자로 재배하였다.
1950년 우장춘 박사가 환국(還國)하여 중앙원예기술원을 설치하고 양파의 품종개발을 시작하였다. 1954년 미국에서 도입하여 일본에서 토착화된 천주황 품종에서 웅성불임성(雄性不稔性, male sterility)개체를 발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1959년 F₁ 일대잡종(F₁hybrid)인 “원예1호”, “원예2호” 양파가 육성되었다. 육성된 양친(兩親, parent)계통은 바로 민간종자회사에 분양되어 오늘날 국내 양파육종의 효시(嚆矢)가 되었다. 많은 교배종 품종들이 민간종자회사에 의해 개발되어 일본산 양파종자의 수입대체효과를 보였다(李. 2017).
― 제1장 「양파」 중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