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춘하추동

춘하추동

(漢詩와 우리詩의 만남)

정웅 (지은이)
지식과감성#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0,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000원 -10% 300원 5,100원 >

책 이미지

춘하추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춘하추동 (漢詩와 우리詩의 만남)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2755327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19-02-21

책 소개

정웅 시집. 총 161편(한시 89편, 우리시 72편)으로 엮어, 한시를 우리시로 번역하듯, 우리시를 한시로 옮기듯 서정을 담아 독자로 하여금 한시와 우리시를 비교 이해.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서시(序詩)’

春[봄]
春心(춘심): 춘심이 / ‘春心이’
問春何處來(문춘하처래): 봄이 어디쯤 오느냐 하니 / ‘봄은 어디쯤?’
春雨(춘우): 봄비 / ‘초경(初經)’
春間(춘간): 봄새 / ‘봄새’
立春(입춘): 입춘 / ‘입춘(立春)’
雲吉山(운길산): 운길산에서 / ‘운길산(雲吉山)에서’
麥田(맥전): 보리밭 / ‘보리밭’
浦口(포구): 포구에서 / ‘포구(浦口)를 그리며’
江頭(강두): 강가에서
送春(송춘)4: 봄을 보내며

夏[여름]
石榴(석류): 석류 / ‘석류(石榴)’
南瓜花(남과화): 호박꽃 / ‘호박꽃’
牽牛花(견우화): 나팔꽃 / ‘천생 나팔꽃’
夏日夢(하일몽): 여름날 꿈 / ‘점심 계(契)’
薄暮(박모): 땅거미 / ‘땅거미’
復記(복기): 기억해 냄 / ‘박꽃’
蓮花(연화): 연꽃 / ‘연꽃’
水仙花(수선화): 수선화 / ‘수선화(水仙花)’
午睡(오수)2: 낮잠 / ‘오수(午睡)’
蜘蛛夢(지주몽): 거미의 꿈 / ‘거미의 꿈’

秋[가을]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 추석 보름날 밤 / ‘둥근달’
丹楓(단풍): 단풍 / ‘단풍’
立秋(입추): 입추
立秋(입추)2: 입추
聞銀木犀香(문은목서향): 은목서 향을 맡으며 / ‘천리향(千里香)’
紫芒草(자망초): 억새풀 / ‘억새풀’
秋夜所懷(추야소회): 가을밤 소회 / ‘살락원(失樂園)’
城隍堂(성황당): 성황당 / ‘성황당(城隍堂)’
紅柿(홍시): 홍시 / ‘홍시’
秋日(추일): 가을날 / ‘그리움 하나’

冬[겨울]
山中(산중): 산중에서 / ‘山은’
山中(산중)2: 산중에서
山中(산중)3: 산중에서
除夕(제석): 섣달 그믐날 밤 / ‘섣달 그믐날 밤’
波濤也(파도야): 파도야! / ‘파도야!’
至月夜(지월야): 동짓달 밤에 / ‘동짓달 밤에’
冬至(동지): 동짓날 / ‘동지추억(冬至追憶)’
愼日(신일): 설날에 / ‘설날에[愼日]’
雪路(설로): 눈길에 / ‘눈길’
傷寒(상한): 감기몸살 / ‘몸살[身殺]’
冬栢花(동백화): 동백꽃 / ‘동백꽃’
梧桐島(오동도): 오동도에서 / ‘오동도(梧棟島)’
福壽草(복수초): 복수초 / ‘복수초(福壽草)’
雪中梅(설중매): 설중매 / ‘설중매(雪中梅)’
南漢山城槐木(남한산성 괴목): 남한산성 괴목 / ‘조껍데기 술로’

世間事[세간사]
不知(부지): 모르는 일 / ‘철부지’
世間音(세간음): 세상 소리 / ‘인간세(人間世)’
對鷄(대계): 닭에게 / ‘닭’
閑中(한중): 한가한 중에 / ‘세월 낚시’
誡思辨(계사변): 사변을 경계함 / ‘사변(思辨)’
假面(가면): 가면 / ‘페르소나’
君不見(군불견): 그대, 모르는가? / ‘힘들지요?’
君不見(군불견)4: 그대, 모르는가? / ‘정(情)이란’
未生(미생): 미생 / ‘새싹[初心]’
亡草(망초): 개망초 / ‘잡초(雜草)’
誤打電(오타전): 잘못 온 문자 / ‘타임머신’
履歷書(이력서): 이력서 / ‘이력서’
口蹄疫(구제역): 구제역 / ‘곰탱이’
時運(시운): 시운 / ‘시운(時運)’
地公禪師(지공선사): 지공선사 / ‘체면(體面)’

慕情[모정]
雨日(우일): 비 오는 날 / ‘비 오는 날[雨情]’
獨宿(독숙): 독숙 / ‘독숙(獨宿)’
自畵像(자화상): 자화상 / ‘섣달 낮달’
得道(득도): 득도 / ‘득도(得道)’
理由(이유): 핑계 / ‘핑계 있는 날’
得意(득의): 득의 / ‘춘추(春秋)’
祈願(기원): 기원
喪家(상가): 상가에서
雪寒愁(설한수): 설한 시름 / ‘수안보(水安堡)’
鼾息症候群(한식증후군): 코골이 증후군 / ‘코골이 증후군’
訃音(부음): 부음 / ‘부음(訃音)’
不眠症(불면증): 불면증 / ‘불면증’
歲暮閑吟(세모한음): 세모한음 / ‘벙어리장갑’
日本九州旅行記 10首: 일본 큐슈 여행기 10수
<①登日本九州旅程: 큐슈 여행에 오르다>
<②杉乃井館棚湯: 스기노이온천탕에서>
<⓷入海地獄: 우미지옥에 들다>
<④金鱗湖: 긴린호에서>
<⑤湯布院温泉村散步: 유후인 온천 마을을 걷다>
<➅謹次‘飛梅’韻: 삼가 ‘飛梅’를 차운하다>
<➆客舍旅情: 객사여정>
<⑧下關有感: 시모노세키 유감>
<⑨‘旅館’所懷: ‘료칸’소회>
<⑩旅行後記: 에필로그>

齊心劍[제심검]
一刀(일도): 한 칼 / ‘한 칼[一刀]’
齊心(제심): 마음을 다스림 / ‘칼이 짧다고만 할 것인가?’
相對(상대): 겨룸 / ‘서슬이 퍼렇지만은 않습니다’
劍身(검신): 검신 / ‘관검단심(觀劍鍛心)’
紅柿也(홍시야): 홍시야! / ‘홍시야!’
思無邪劍(사무사검): 사무사의 검 / ‘최고의 호신술(護身術)’
眞劍(진검): 진검 / ‘큰맘 먹지 말고 칼을 내라’
外物(외물): 외물 / ‘젯밥에 곁눈질[外物]’

律詩[기타]
夏夜心事(하야심사): 여름밤 심사
機心(기심): 기심
廣場(광장): 광장에서
累卵危(누란위): 누란의 위기
非夢或悲夢(비몽혹비몽): 꿈이 아닌, 혹은 슬픈 꿈인 / ‘꿈이 아닌, 혹은 슬픈 꿈인’
歸根(귀근): 뿌리로 돌아감 / ‘뿌리로 돌아감’
追慕朴㤠義士(추모박열의사): 박열 의사를 추모함

저자소개

정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정병식(鄭秉植)이며 아호(雅號)는 우천(隅川)으로, 강원 횡성에서 출생하였다. 청주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동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1994)를 받았다. 육군 대위로 전역하였다(갑종 209기). 2011년 <문학세계>로 등단하였으며 대학 강단(2014, 강동대학교 초빙교수) 이후로 한운야학(閒雲野鶴)을 벗하며 소일하고 있다. 창작시집으로 『춘하추동-漢詩와 우리詩의 만남』, 『해탈解脫을 꿈꾸는 시詩, 한시漢詩』 등이 있다. Cafe https://cafe.daum.net/jbs5970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2755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