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406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9-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Part Ⅰ 담론의 개념과 역할
Chapter 01
담론의 개념과 미디어 담론 / 오원환
Chapter 02
권력과 담론의 상호작용: 감정적 공론장의 미디어와 진실의 재구성 / 남승석
Part Ⅱ 미디어 담론의 쟁점들
Chapter 03
‘개딸’ 사례로 본, 포퓰리즘 담론에 갇힌 민주주의 / 구은정
Chapter 04
다큐멘터리 영화와 담론전쟁 / 윤복실
Chapter 05
남남갈등, 통일이 필요한가? / 하승희
Chapter 06
누가 한류를 말하는가: 국가주의 프레임과 팬덤 주체성의 충돌 / 이에스더
Chapter 07
외국인 노동자와 일자리 미디어 담론: 빅카인즈를 활용한 경제지와 진보지의 프레임분석 / 임종석
Chapter 08
디지털 미디어 속 ‘아바타’: ‘디지털 자신’에 관한 담론 / 김연숙
Chapter 09
종교와 과학, 신념과 사실에 대한 담론: 한국 개신교와 창조론에 대한 자기민속지학적 경험과 인식 / 김해영
Chapter 10
지방대학 문제를 틀 짓는 미디어 담론 / 김활빈
Chapter 11
지방 중심도시와 주변 중소도시의 미디어 갈등 담론: 원주와 충주지역 언론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임종석
Part Ⅲ 미디어 담론의 비판적 성찰
Chapter 12
비판적 담론 분석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 이종희
Chapter 13
미디어 담론 분석 / 이종명
저자소개
책속에서
푸코는 미디어를 특정 사례로 들어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그의 담론 이론은 미디어가 현대 사회에서 지식과 권력을 어떻게 생산, 유지, 확산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강력한 분석 도구를 제공한다. 미디어는 담론의 주요 생산자로서 특정 주제를 강조하거나 배제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규범과 권력관계를 유지하거나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 Chapter 01 담론의 개념과 미디어 담론
현대 미디어 환경은 국제 정치의 감정적 역학을 형성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미디어는 단순한 정보 전달자의 역할을 넘어, 특정 집단의 취약성을 선택적으로 가시화하고 잠재적 미래 위협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함으로써 국제 정치의 방향을 적극적으로 형성한다.
- Chapter 02 권력과 담론의 상호작용
포퓰리즘 담론은 어떤 정치 참여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하기보다 정치 팬덤을 부정적 낙인과 왜곡된 인식에 가둔다. 사실 대중의 참여라는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교집합은 정치 팬덤을 보는 ‘포퓰리즘 vs (대의)민주주의’라는 대립하는 두 관점 모두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 Chapter 03 ‘개딸’ 사례로 본, 포퓰리즘 담론에 갇힌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