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물리학 > 물리학 일반
· ISBN : 9791163383185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2-10-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 4 추천의 글 _ 12
Chapter_I
한국 원자력 산업의 비전(전망)과 현주소
01 한국 원자력 산업의 비전(전망) _ 20
02 한국 원자력 산업 기술 자립 추진 역사 _ 22
03 한국의 원자력 산업 국제 경쟁력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_ 24
Chapter_Ⅱ
원자력발전소 운영관리를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
01 원자력발전소 운영은 어떻게 시작되며 운영 준비 주요 요소는? _ 31
02 원자력발전소 운영 준비 요소(3P) 주요 내용 _ 33
03 원자력발전소 운영 준비 요소(3P) 유지관리 및 건전성 확인 방법 _ 38
04 원자력발전소가 화력 등 기타 발전소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 _ 44
05 한국 원전과 외국 원전 운영관리 상 차이점은 무엇이고 그 이유는? _ 47
06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 원전에 반영된 개선사항은? _ 54
Chapter_Ⅲ
원자력발전소 운영관리를 어떻게 준비하고 이행해야 할까?
01 원자력발전소 업무 분야별 고유 기능요건(Functional Area) _ 62
02 발전소 전체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기능요건(Cross-functional Area) _ 109
03 원전 안전성과 성능향상을 위한 표준운영모델(Standard Nuclear Performance Model) 개발 및 활용 _ 134
04 국내 원전의 표준운영모델 개발 및 적용 경험 _ 146
05 원자력발전소 경영관리 향상을 위한 제언 _ 153
Chapter_IV
원자력발전소 경영과 리더십 역량개발
01 원자력발전소 경영에 있어서 리더십은 왜 중요한가? _ 160
02 원자력 리더십은 일반 산업계 리더십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_ 165
03 국내와 해외 원전 종사자 리더십 교육 차이는 무엇인가? _ 169
04 원자력 국제기구에서 시행 또는 요구하는 원자력 리더십 교육은? _ 173
05 원자력 국제기구가 연구 제시한 원전 종사자 리더십 역량개발 항목 _ 182
06 국내 원전 종사자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Attributes)? _ 188
07 원자력 국제기구 제시 대비 국내 원전 종사자에게 추가 요구되는 리더십은? _ 193
08 원전 소(실)장들이 선정한 원자력 리더십 역량 항목 중요도 순위 _ 195
09 코칭을 통한 원자력 리더십 역량개발 필요성 _ 199
Chapter_V
원전 조직문화의 변화와 리더의 고충
01 원전 조직문화 변화 추이 _ 204
02 원전 환경에 대처하는 리더의 고민 _ 209
03 카리스마와 변혁적 리더십 _ 213
04 리더의 취약성 _ 216
05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 _ 219
06 무능하다고 생각되는 상사와 일하고 있다면? _ 223
07 당신의 롤(Role)모델은 누구인가? _ 226
08 존경받는 리더가 되고 싶다면? _ 230
09 발전설비(Plant)보다 사람(People)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 _ 233
10 정상 사고(Normal Accidents) 의미 _ 236
Chapter_VI
원자력발전소 경영 리더를 위한 리더십 클리닉(Clinic)
01 신임 원자력발전소 소(실)장들이 체험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례들 _ 242
02 바람직하지 않은 사례들의 공통점과 배경 _ 244
03 실제 체험을 통한 원자력 리더십 요소별 문제점 클리닉 _ 246
A. 비전과 목표설정 및 공유 _ 246
B. 효과적인 소통 _ 248
C. 직원 능력개발 및 학습조직 운영 _ 249
D. 팀워크(Teamwork) _ 252
E. 문제 제기(수용성 포함) 및 의문을 갖는 태도 _ 254
F. 긍정적 강화와 코칭 _ 261
G. 공정한 평가와 인정 _ 263
H. 의사결정 능력 _ 265
I. 변화 및 위험관리 능력 _ 269
J. 원자력 안전 문화 증진 _ 273
K. 원자력 전문기술지식 _ 274
04 원자력발전소 경영 리더의 리더십 역량향상은 어떻게? _ 277
A. 경영 리더의 날개 없는 추락은 왜 발생하는가? _ 277
B. 나의 체험적 리더십 역량개발 방법 _ 278
C. 코칭을 통한 리더십 역량개발 _ 281
05 원자력발전소 경영 리더의 과중한 심적 스트레스 관리 _ 283
Chapter_VII
코칭과 코칭 리더십
01 코칭이란? _ 288
02 코칭의 이론적 배경 _ 292
03 기업 내 코칭 주제 빈도 분석 _ 297
04 코칭 리더십이란? _ 301
05 커뮤니케이션이 왜 잘 안되는가? _ 306
06 자기중심적 대화법을 고치려면 _ 310
07 의사소통이 잘 되는가? _ 314
08 말귀를 잘 알아듣는 것 _ 318
09 리더로서 경청의 어려움 _ 320
10 어떤 배려를 하고 있는가? _ 324
11 코칭을 받는 것 / 코치가 되는 것 _ 327
12 문제보다는 사람 중심으로 _ 329
13 작심삼일을 고치려면 _ 331
14 코칭 공부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_ 337
15 코칭을 조직문화로 _ 343
Chapter_VIII
해외 근무 체험기
01 미국원자력발전협회(INPO) 근무 체험기 _ 350
A. INPO 직원들 일하는 방식(무엇이 공정인가?) _ 350
B. 엑셀론사와의 인연 _ 353
C. 플로리다의 악어와 모닝빵 _ 355
D. 미국의 착한 사마리아인 부부 _ 356
E. 애틀랜타 한인들의 삶과 애환 _ 358
02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근무 체험기 _ 361
A. 계약자 마인드셋 갖기 _ 361
B. 아부다비에서 친구 같은 후배와 모닝커피를 _ 362
C. UAE 아부다비 근무를 마치고 세컨드 라이프를 꿈꾸며 _ 368
맺는말 _ 371 참고 자료 _ 376
책속에서
머리말
“한국 원자력의 재도약을 위해 도전하기를 염원해 보면서”
2018년 필자가 한국전력 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에 겸임교수로 근무 시 회사(한수원)의 배려로 현직의 동료와 함께 중국 심천에서 개최된 세계원자력사업자협회(WANO) 파리센터가 주관한 원자력 리더십 개발 1주 과정에 참석하면서 앞으로 중국의 원전 운영관리 능력이 한국을 넘어설 정도의 괄목상대로 발전하게 되리라는 깊은 인상을 받았다. 원자력 리더십 개발 과정에 참석하는 중국 원전에 종사하는 경영진과 고위 간부들의 참여도와 열정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대단하였기 때문이다. 한국도 원전 초기 도입 시와 원전 기술 자립을 위해 매진할 당시에 이러한 고조된 분위기가 있었다. 이제 다시 우리도 이러한 열정으로 한국 원자력의 재도약을 위해 도전하기를 염원해 보면서 이 책을 연다.
지금으로부터 약 11년 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중대사고 이전에는 국내 원전 운영이 세계 최고라는 생각이 한수원 경영진과 간부들 사이에 공공연하게 회자되었고 또한 외부에도 자랑스럽게 홍보하곤 했다. 원전 정지 건수와 원전 이용률 등 외부에 나타난 실적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그 후로 고리원자력1호기 소내외 전원 상실사건(SBO)의 은폐, 원전 부품 관련 비리와 품질 서류 위조된 기자재 사용 등으로 원전 운영자의 명예와 운영실적이 동반 추락하기 시작하였다.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의 소용돌이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더 엄격한 안전 규제 속에서도 원전 운영자는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국내 원전 운영실적은 미국 원전의 연평균 이용률 대비 약 20% 이상 떨어진 상태로서 이제는 우리 국내 원전 운영 능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더 이상 말할 수 없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원전 운영실적이 형편없이 떨어진 원인을 지나치게 비합리적이며 반친화적 규제환경 등 외부 원인으로만 돌리고 원전 운영관리 능력을 최고 수준으로 업그레이드시키려는 강한 의지와 각성의 절실함을 깨닫지 못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이 최초로 수출한 UAE 바라카 원전은 한국 사람과 국내 기술로 건설되었으나 발전소 준공 후, 운영은 한국인과 한국의 운영관리 시스템이 영어구사 능력과 리더십이 우수한 인력으로 교체되고 선진 원전 운영시스템으로 완전히 바뀐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이 있을 수 있으나 한 가지 분명한 원인 중의 하나는 국내 원전 운영시스템과 프로세스 등 운영 소프트웨어가 더 이상 매력적이지 않고 최고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더 상세한 원인 분석은 책을 읽어 보면 알 수 있지만, 2005년부터 선진 엔지니어링 제도를 국내 원전에 도입하기 시작했지만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완전히 우리의 것으로 소화하여 뿌리를 내리지 못했기 때문에 외국 전문가의 눈에는 우리의 원전 운영시스템이 완성도가 낮은, 보통 수준으로 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현재 국내 원전 운영 능력 수준이 세계적으로 볼 때 어느 정도의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냉정하고 분명히 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원전 운영 능력은 원전 종사자의 전문기술 능력뿐만 아니라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과 프로세스 효용성에 달려 있다. 바라카 원전 본부에서 국내 원전 운영 능력이 이 두 분야에서 모두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에 대해서 객관적 시각으로 돌아보아야 하며 재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필자가 이 책을 쓰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한국이 24기 원전이 가동되고 있는, 원전 설비용량 기준 세계 6위의 원자력발전 강국이지만 실제 원전 운영 현장에서 발전소장 등 경험이 있는 원자력 리더십 전문 강사가 거의 없다는 데 있다. 믿기 어렵겠지만 이는 사실이다. 필자가 국내 원자력 리더십 전문 강사 자칭 1호이며 <원자력발전소 경영과 코칭 리더십>이라는 이 책자가 원자력 리더십을 중점적으로 언급하는 최초의 도서이기 때문이다. 국내 원전 종사자의 리더십 교육은 타 분야 리더십 교육과 매일반이다. 이는 원자력 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여 일반 리더십 교육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때때로 미국원자력발전협회(INPO), 세계원자력사업자협회(WANO) 또는 캐나다 중수로사업자그룹(COG)에서 운영하는 원자력 리더십 개발교육에 소수의 참여 대상자를 보내 교육을 받거나 몇 년에 한 번 정도 해외 원자력 리더십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교육하는 정도로서 많은 교육대상자에 비하면 그야말로 메마른 논바닥에 물 한 바가지 붓는 격으로서, 운 좋게 기회를 얻은 참석자들에게는 큰 교육효과가 있지만, 이러한 원자력 국제기구에 의한 간헐적인 리더십 교육은 회사 전체적인 측면에서 그 영향이 미미할 수밖에 없다. 또한 나라마다 원전 사업의 환경과 조직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원자력 리더십의 핵심 본질과 요소는 동일하지만 중요도에 따라 구체적 적용에 있어서는 효과적인 방법이 다를 수 있다.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는 원자력 리더십 개발 및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한국이 수출한 UAE 바라카 원전 초기운영단계에서 중요 상위 보직에 있던 국내 경험 인력이 급속히 밀려 나가는 것도 체계적이며 전문화된 국내의 원자력 리더십 교육부재와 큰 관련이 있다고 본다.
원전 운영자인 한수원에서는 계층별 리더십 교육에 원전 운영 종사자들도 사무, 건설 등과 함께 일반적인 리더십 교육을 필수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리더십 교육도 필요하겠지만 원전 운영 종사자에게는 원자력 안전이 핵심이 되며 이를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리더십 교육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에 언급한 원자력 국제기구 역시 이를 강조하며 원자력 선진국에서는 원전 운영 종사자에 대한 원자력 리더십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리더십 개발 전문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발하거나 원자력 국제기구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책자의 제목으로 사용된 “원자력발전소 경영과 코칭 리더십”의 “경영”이라는 단어가 원전 현장 관리자들에게 친숙하게 느끼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원전 현장 관리자들은 자신을 경영 리더로 보지 않고 운영관리자로 간주한다. 경영 리더는 사장이나 임원들로만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맡겨진 발전소 설비관리를 담당하는 운영관리자로서의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 리더로서의 비전, 그리고 시야와 업무 능력이 필요하다. MZ세대의 직원들이 증가함에 따라 원자력 전문기술 능력뿐만 아니라 인정과 경청의 소통과 코칭 능력, 개인의 능력개발과 팀워크를 향상하여 발전소 성능 목표를 지속적으로 달성시키는 발전소 경영 리더로서 능력을 갖추는 리더십 개발교육이 더욱 필요로 하고 있다. 두 개 호기 기준 원자력발전소에는 약 750명의 원전 운영자와 협력업체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고 원전 설비를 안전하고 신뢰성 높게 운영하기 위해 매년 수백억 원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원전 운영보다는 “경영”이 맞으며 운영관리자보다는 원전 “경영 리더”로 호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한국의 원자력, 특히 원자력발전소 경영에 있어 앞으로 닥칠 위험과 기회가 우리 앞에 함께 놓여 있음을 본다. 앞으로 당면할 위험은 그 전과는 다른 성격의 새로운 위험으로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2010년 후반부터 시작된 숙련된 경험 인력의 대거 퇴직으로 현재 원전 현장의 경험 인력이 쓰나미처럼 빠져나가고 있고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으로 앞으로 신규 원전 건설이 본격화될 때까지 영세한 원전 기자재 중소업체의 아사 상태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한 기자재 적기 조달 및 품질 저하 문제 발생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기회로는 올해 5월에 출범한 새로운 정부는 탈원전을 폐기하고 신한울원자력 3, 4호기 건설과 설계수명에 근접한 기존 원전의 수명연장과 원전의 해외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려고 한다. 원전 건설과 발전 분야에서 약 40년간 일해온 사람으로서 이보다 다행스러운 일은 없으나, 우리 앞에 놓인 기회들은 운영 중인 원전의 안전 운영이 지속적으로 뒷받침될 때만 가능하다는 평범한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지금 국내 원전 운영 능력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냉정히 돌아보고 앞으로 다가올 위험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분석하여 취약점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는 원전 운영 관련 전문 인력의 양성과 능력개발, 원전 소(실)장과 팀장 등 경영리더의 코칭을 가미한 원자력 코칭 리더십 개발 그리고 병행하여 원전 운영시스템과 프로세스의 고도화 추진이 더욱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끝으로 본 도서 발간 목적과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머리말을 마치고자 한다. 책의 전반부는 원자력발전소 현장 근무 경험이 없거나 적은 분들을 위해 원전의 3대 구성요소인 발전설비, 설비를 운영하는 사람들과 안전 운영을 위한 시스템과 프로세스 등을 설명하고, 원자력발전소 운영조직의 업무 기능을 부서 고유기능과 발전소 공통기능에 대해 무슨 일을 하며 업무수행 기본원칙과 주요 프로세스 등을 간략히 소개하고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선진 외국 원전운영과 비교하여 각각의 기능에 대해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책의 후반부는 원자력발전소 경영 리더 양성을 위해 원자력 국제기구를 포함 국내외 원자력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소개하고 국내의 원자력발전 사업환경을 고려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원자력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긴급한 필요성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사업환경이 더욱 어려워 짐에 따라 원전 경영 리더의 다양한 고충을 소개하며 원전 소(실)장 리더십 교육 경험을 토대로 각각의 리더십 항목에 대한 리더십 실패 사례와 이런 문제를 예방 또는 해결할 방법을 리더십 클리닉으로 제시하였다.
원자력 리더십 클리닉은 온전히 필자의 원전 소(실)장 현장 근무 경험과 수년간의 원전 소(실)장 리더십 교육을 통해 나온 것으로, 필자의 주관적이며 체험적인 성격이 짙으므로 독자에 따라서는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도서가 원자력 산업계에 종사자들에게 원전 경영과 원자력 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끝으로 지식과 경험이 많은 베이비붐 세대가 원전 산업현장에서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그 공간을 MZ세대가 빠르게 채워가고 있는 요즈음 원전 경영 리더의 리더십도 시대가 요구하는 코칭 리더십을 갖추도록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코칭과 코칭 리더십 항목에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본 도서가 원자력 산업계에 근무하고 싶은 대학생과 원자력을 제대로 이해하고 싶은 일반인에게 원전 설비의 하드웨어가 아닌 그 안에 근무하는 사람들과 운영시스템 등 바깥에서는 잘 보이지 않은 주요 소프트웨어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원자력 경영 리더가 되기를 바라는 원자력 산업계 종사자들의 리더십 개발과 함양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저자 이병식 손태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