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엄마가 휘둘리지 않는 2020 대학입시

엄마가 휘둘리지 않는 2020 대학입시

송승룡, 정영주, 비티진로진학연구소 (지은이)
비티타임즈
2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850원 -10% 0원
1,320원
22,5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엄마가 휘둘리지 않는 2020 대학입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엄마가 휘둘리지 않는 2020 대학입시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진로/진학
· ISBN : 9791163450825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9-03-22

책 소개

입시 상담을 하면서 많은 고민들을 듣고 실제 현장에서 궁금해하는 부분들을 담았다. 미리미리 초등학교 때부터 입시를 찬찬히 준비해보고자 하는 학부모, 학생, 선생님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I. 대학 입시 Q&A 10
1. 수시에 대하여 10
(1) 학생부 교과전형은 무엇인가요? 10
(2) 2020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13
(3)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내신은 대학에서 어떻게 반영되나요?
14
(4) 학생부교과를 준비하는데 수능 공부를 꼭 해야 하나요?
16
(5) 수능 최저. 대학별로 다르던데, 어디까지 맞춰야하나요?
18
(6) 학생부 교과전형에도 비교과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나요?
21
(7) 학생부 교과전형에서 면접을 보는 대학도 있나요? 22
(8) 수능최저까지 맞추기 부담스러운데, 혹시 수능최저가 없는 학 생부 교과 전형도 있나요? 23
(9) 내신 3등급대 학생입니다. 학생부교과 외에도 학생부종합 을 비롯한 다른 전형들도 고려하고 있는데 학교를 어떤 식으로 기 준을 잡아야할까요? 24
(10) 현재 일반고에서 내신 1.5등급의 성적을 유지하고 있습 니다. 1등급대 학생들은 학생부교과로는 어떤 대학을 지원할 수 있 을까요?
24
(11) 현재 내신 1.5등급대 성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수능 최저를 충족시킬 자신이 없어서 최저가 없는 학교를 지원하려하는데, 어떤 대학을 지원할 수 있을까요? 26
(12) 현재 일반고에서 내신 4등급대 성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는 전문대를 쓰는 것을 권하는데, 저는 4년제 대학을 희망합니다. 혹시 이 성적으로 쓸 수 있는 수도권 4년제 대학이 있을까요?
27
(13) 이과 학생입니다.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수능 최저 또한 고려하고 있는데 수학 “가” 성적이 미흡하여 수학 “나”로 전환하려합니다. 괜찮을까요? 29
(14) 재수생입니다. 재수생도 수시를 쓸 수 있는 것으로 아는데, 학생부교과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31
(15) 2020학년도에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수능최저가 새로 신설되거나 없어지는 대학이 있나요? 32
(16) 학생부종합전형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학생부교과와 어떻게 다른가요? 32
(17) 2020학생부 종합전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34
(18) 학생부 종합전형은 어떠한 단계로 전형이 이루어지나요? 35
(19) 대학마다 서류전형이라고 하면서, 어떤 경우에는 서류가 아닌 학생부라고도 하는데, 차이가 뭔가요? 36
(20)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고사를 진행한다고 했는데, 보통 면접에서는 어떤 것을 물어볼까요? 37
(21) 학생부종합 전형을 준비하고자하는데, 대학은 학생의 어떤 면을 평가하려하나요? 학교별로 다르지 않나요? 39
(22)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학생부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고등학교 생활기록부에는 어떤 내용들이 담겨져 있나요? 45
(23)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필요한 것은 교과 성적 외에도 비교과 활동이 중요해진 셈인데, 그렇다면 어느 활동까지 학생부에 인정되나요? 55
(24) 학생부종합전형과 관련해서 주요대학들은 올해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56
(25) 학생부종합을 준비하려하는데, 학년별로 어떤 준비과정이 필 요할까요? 58
(26) 비교과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어떤 식으로 하는 거죠? 예를 들어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59
(27) 2020학년도 소프트웨어특기자 전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60
(28) 기회균등전형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2020학년도 기회균등 전 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61
(29)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해 쓰는 자기소개서는 어떤 방향으로 써 야할까요? 63
(30) 봉사활동! 얼마나 해야할까요? 67
(31) 논술전형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0학년도 수도권 대학 의 논술 전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69
(32)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입니다. 인문 논술과 자연 논술은 서로 어떻게 출제하나요? 72
(33) 논술위주 전형은 무엇인가요? 74
(34) 농어촌특별전형은 무엇인가요? 75
(35) 농어촌특별전형의 조건은 무엇인가요? 75
(36) 소프트웨어(SW) 특기자 전형은 무엇인가요? 80
(37) 최저학력기준이란 무엇인가요? 85
(38) 지도교사추천서란 무엇인가요? 85
(39) 수시전형에 예치금 미납부시 정시 지원 가능한가요? 86
(40) 기회균등전형이란 무엇인가요? 87
(41) 수시전형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내신 성적 반영 방법에 대해 궁 금합니다. 93
(42)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수시 접수 가능한가요? 94
(43) 수시합격 후 입학을 포기 할 수 있나요? 94
(44) 수시 1차,2차 무엇이 다른가요? 95
(45) 지난 해 수시에 사용했던 자소서를 재사용해도 되나요? 95
(46) 수시 등록과 등록포기 각각 서로 다른 대학에 여러 군대 번 갈아 가면서 해도 되는 건가요? 96
(47) 대학 재학 중 수시지원이 가능한가요? 97
(48) 정원 외 전형 수시 추가발표에 대해 궁금합니다. 97
(49) 수도권 대학 논술전형 비율이 궁금합니다. 98
(50) 수도권 대학 중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는 논술전형 대학이 궁 금합니다. 98

2. 정시에 대하여 99
(1) 정시 전형이란 무엇인가요? 99
(2) 정시도 내신 성적이 들어가나요? 100
(3) 정시에서 가/나/다 군은 무엇인가요? 100
(4) 정시100% 수학 제외, 미반영가능 대학은 어디가 있을까요? 102
(5) 정시로 경찰대를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03
(6) 정시전형도 동아리 활동이 반영되나요? 103
(7) 간호학과 정시전형에서 대졸자전형으로 지원하려고 하는데 지 원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104
(8) 정시전형에서 수능 외에 학생부반영 비율에 대해 궁금합니다.
105
(9) 정시전형에서 수학 나형, 과탐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에 대해 궁금합니다. 105
(10) 대학을 자퇴하지 않고 다른 학교로 정시지원이 가능한가요?
107
(11) 2020대입에 정시전형이 증가한 대학에 대해 궁금합니다.
108
(12) 수능을 문과로 쳐서 자연계열 학과로 지원할 수 있는 대학에 대해 궁금합니다. 109
(13) 전문대 정시 지원 제한에 대해 궁금합니다. 110
(14) 2022 대입정책에서 수능체제가 어떻게 개편되었나요? 110

3. 기타 문의 114
(1) 선취업후진학제도란 무엇인가요? 114
(2) 재직자 전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115
(3) 취업자 전형은 무엇인가요? 115
(4)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에 지원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 가요? 115
(5) 다자녀대학전형이 있는 대학이 궁금합니다. 117
(6) 첫째도 다자녀대학전형을 지원할 수 있나요(다자녀의 경우)?
118
(7) 한 부모 가족 대입 전형은 무엇인가요? 118
(8) 백분위란 무엇인가요? 119
(9) 표준점수란 무엇인가요? 119
(10) 대학 전형별 지원 횟수가 궁금합니다. 119
(11) 추가합격이란 무엇인가요? 120
(12) 추가모집이란 무엇인가요? 120
(13) 복수지원이란 무엇인가요? 121
(14) 교차지원이란 무엇인가요? 121
(15) 이중등록 금지란 무엇인가요? 122
(16) 지역인재특별전형은 무엇인가요? 122
(17) 경영학과와 경제학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123
(18) 체육학과를 가고 싶은데 어떤 과들이 있나요? 130
(19) 2022 입시제도 개편안에 관련하여 130
(20) 경찰대를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32
(21) 재외국민 특별전형조건이 궁금합니다. 134
(22) 재외국민 지원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135
(23) 약대로 편입하고 싶은데 PEET시험이란 무엇인가요? 135
(24) 학점은행제란 무엇인가요? 140
(25) 학점은행제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140
(26) 학점은행제 인정 및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141
(27) 학점은행제의 학점 취득은 어떻게 되나요? 141
(28) 학점은행제의 대학 학위 취득은 어떻게 되나요? 142
(29) 어학 특기자 전형이란 무엇인가요? 143
(30) SW특기자전형에 어떤 자격증이 필요할까요? 143
(31) 어학특기자 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교는 어느 곳이 있나요?
144
(32) 재직자특별전형과 정시로 동시에 지원가능한가요? 145
(33) 교대도 수시 6회 제한 안에 들어가나요? 145
(34) 수학에 자신이 있는데 체대 진학에 수학이 필수로 들어가는 학교는 어디가 있을까요? 146
(35) 전문학교에 최종합격하면 수시 지원을 할 수 없나요? 146
(36) 수능최저 없는 논술전형의 경우 수능에 응시하지 않아도 되는 지 궁금합니다. 147
(37) 가천대학교 학생부종합과 적성 중복으로 지원 가능한가요?
147
(38) 교육대학교들은 왜 다 나군인가요? 148
(39)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해 궁금합니다. 148
(40) 예술대학교 수시 합격 후 다른 예대로 정시 지원 가능한가요?
149
(41)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150
(42) PD가 되려면 4년제 대학을 나와야 하나요? 151
(43) 편입신청과 동시에 지원 할 수 있나요? 153
(44) 최저등급이 폐지되면 검정고시생은 대입에 불리해지나요? 153
(45) 검정고시로 4년제 대입에 대해 궁금합니다. 154
(46) 검정고시로 대입에 대해 궁금합니다. 155
(47) 재외국인특별전형에 대해 궁금합니다. 157
(48) 국군간호사관학교의 전형에 대해 궁금합니다. 157
(49) 수시전형에 합격해도 정시전형에 지원 가능한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대학이 궁금합니다. 158
(50) 수시 합격한 대학에 예치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정시지원이 가 능한가요? (같은 학교) 159
(51) 수학 나 형으로 교차지원 가능한 대학, 학과가 궁금합니다.
160
(52) 수시나 정시전형에서 제2외국어를 탐구 1과목으로 대체 가능 한 대학이 궁금합니다. 162
(53) 해외유학을 고려하고 있는데 어떤 나라가 좋을까요? 162

II. 고등학교 입시 Q&A 167
1. 외국어고등학교 입시는 어떠한 구조인가요? 168
2. 과학 고등학교란 무엇인가요? 171
3. 과학 고등학교 입시는 어떤 구조인가요? 172
4. 특목고란 무엇인가요? 175
5. 특성화고등학교란 무엇인가요? 176
6. 마이스터고등학교란 무엇인가요? 177
7. 사립 고등학교란 무엇인가요? 179
8. 개방형 자율학교란 무엇인가요? 180
9. 고교 평준화란 무엇인가요? 180
10. 특성화고 특별전형이란 무엇인가요? 182
11. 외국어고등학교의 진학반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나요? 183
12. 외고가 없는 광역시, 도 학생들은 어떻게 지원을 해야 하나요?
183
13. 외국어고등학교의 영어성적 안정권은 어느 정도인가요? 184
14. 현재 수도권에서 살고 있지 않은데 수도권에 있는 외국어고등 학교를 갈 수 있나요? 184
15. 일반고와 특성화고중 어디를 진학해야 할까요? 185
16. 일반고에서 특성화고로 전학가고 싶어요. 185
17. 특성화고 에서 일반고로 전학가고 싶어요. 186
18. 외국어고등학교 입시에 생활기록부 비중은 어떻게 되나요? 187
19. 외고에서 의대를 갈 수 없나요? 188
20. 고등학교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89
21. 자기주도학습전형이란 무엇인가요? 190
22. 성취평가제란 무엇인가요? 192
23.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요? 196
24.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요? 199
25.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202
26. 대입과 연결하여 고입은 어떻게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요? 205

III. 참고사이트 210

저자소개

송승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수료 비티타임즈 신문사 대표 비피 국제회의 기획 이사 한국 대학(원)생 국제의회연맹(IPU)연구회 대표 비티 청소년 리더십연구소 소장 비티 진로진학 연구소 소장
펼치기
비티진로진학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와 진학 컨설팅을 하는 연구소로 주요 저술로는 2020 미래유망 신직업 대학입시 정시전략 자료집 대학입시 수시전략 자료집 2023 개정판등이 있다
펼치기
정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목동메타교육 입시연구소 현. 조셉입시전략연구소 전. 목동 미래탐구 특목자사 입시연구소 부소장 전. 목동 하이스트 서류면접 강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