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63635215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1-08-05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1부 멸종과 멸종 위기종이란?
1장 늑대가 있어야 하는 이유
2장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3장 도도와 스텔러바다소
4장 호랑이와 뜸부기
5장 지질시대를 구분하는 5대 멸종
6장 멸종을 부르는 지구의 기후변화
7장 인류의 멸종 역사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2부 우리나라의 멸종 위기 야생생물 현황
1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 법적 지정 역사
2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 - 동물 Ⅰ급
3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 - 동물 Ⅱ급
4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 - 식물 Ⅰ급
5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 - 식물 Ⅱ급
6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 - 해조류와 균류 Ⅱ급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3부 세계의 멸종 위기 야생생물 현황
1장 멸종된 선사시대 동물들
2장 멸종 위기 현황을 나타내는 말들
3장 달콤한 유혹, 밀렵
4장 개발과 환경 보존의 양면
5장 세계 멸종 위기 야생동물
6장 적색목록에 등재된 우리나라의 야생식물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4부 생물은 왜 멸종할까?
1장 공룡 멸종에 관한 최고의 시나리오, 운석 충돌설
2장 외래종의 도래가 토종 생물에 미치는 영향
3장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외래 동물들
4장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외래 식물들
5장 인간들의 영향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5부 멸종을 막으려면?
1장 멸종에서 살아남는 생물들
2장 멸종을 피하려는 눈물겨운 노력들
3장 멸종 위기 야생생물의 보호와 관리
4장 멸종 위기를 막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
5장 인간과 생물이 지구에 함께 살기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6세기 대항해 시대인 1507년에 포르투갈 사람들이 마다가스카르제도를 발견했으며 1598년 네덜란드의 항해사들이 처음으로 도도에 대해 묘사했다. 이후 도도는 인간과 인간이 데리고 온 가축에 의해 사냥당하기 시작했다. 도도는 처음 보는 인간과 가축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었다. 유럽 사람들에게 알려진 지 180년 만에 도도는 멸종되었고, 지금은 박제조차 남아 있지 않다. 도도는 스페인어로 ‘어리석다’라는 뜻이다. 날아서 도망치지 못하는 도도를 조롱하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겠지만 정작 어리석은 것은 인간일 것이다.
-도도와 스텔러바다소
0.6℃가 올라가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겨울이 예전보다 덜 추워졌고 여름이 더 길고 더워졌지만 살아가는데 큰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로 보았을 때 지구 온난화로 고통을 받고 있는 곳이 생기게 되었다. 남태평양 투발루라는 나라는 평균 해발 고도가 1~2m 정도여서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점점 바다에 잠기고 있어 1만 정도 되는 인구는 삶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처해 있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와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면 투발루뿐만 아니라 미국의 뉴욕이나 일본의 도쿄처럼 바다와 닿아 있는 지역의 일부가 바다에 잠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 세계 해안가에서 사는 인구가 전체의 30% 정도라고 하니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은 인류의 삶과 수많은 동식물의 멸종과도 직결되어 있는 문제다.
- 멸종을 부르는 지구의 기후 변화
인류의 진화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호모 하빌리스-호모 에렉투스-호모 사피엔스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고, 지금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만 남아 있고 다른 인류는 모두 멸종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 인류에게는 아종이 없는 것이다. 인류의 아종으로 분류되는 호모 사피엔스 이달투는 16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 크로마뇽은 4만~1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로 알려져 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450만 년 전에 출현하여 250만 년 전까지 살았지만 이들보다 정교한 도구를 만들어 쓸 수 있었던 호모 하빌리스와의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서서히 멸종되고 말았다. 호모 하빌리스는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기는 했지만 빙하기를 견디지 못하고 150만 년 전에 멸종되었다.
-인류의 멸종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