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9116363743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11-15
책 소개
목차
작가의 글
연표
01 단군 신화를 낳은 마늘과 쑥
02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4, 5천 년 전에 벼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03 우리 민족은 식물 염료를 가장 많이 썼다?
04 수로왕의 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시집올 때 차나무의 씨를 가져왔다?
05 유화 부인이 비둘기 목에 보리 종자를 걸어 아들 주몽에게 보냈다?
06 칠각형의 돌 위 소나무 아래에 감춘 것을 찾아라!
07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옷감과 쌀을 화폐로 사용했다?
08 작은 나뭇조각인 목간에 문자를 기록하다
09 미추왕과 귀에 댓잎 꽂은 병사들
10 고구려 고분 벽화에는 왜 연꽃이 많이 그려져 있을까?
11 나무 모양의 장식이 붙어 있는 신라 금관
12 옛날 사람들은 왜 향나무를 땅속에 묻어 두었을까?
13 백제 무령왕릉 목관은 일본에서 자란 금송으로 만들어졌다?
14 당나라 황제가 벌이나 나비가 없는 모란꽃 그림을 신라에 보낸 이유
15 분 화장에는 쌀·보릿가루, 세수에는 녹두·콩·팥가루
16 나무로 세워진 우리 민족 최고의 탑, 황룡사 9층탑
17 마를 캐어 판 서동, 선화 공주와 결혼하다
18 만 명을 먹일 수 있는 백제의 식량 저장 창고 터에서 불에 탄 쌀·보리·콩이 발견되다
19 대나무로 만든 신비한 피리, 만파식적
20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대나무 숲에서 들려오다
21 신라의 서라벌에는 부자들이 살아서 초가집이 한 채도 없다?
22 소나무를 많이 심으면 삼한을 통일할 왕이 태어난다?
23 홍수 피해를 막으려고 숲을 만든 최치원
24 천년 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25 용문사에 은행나무를 심고 삼베옷을 입은 마의 태자
26 닥나무로 만들어진 한지, 중국인들을 놀라게 하다
27 세계 최고의 나무 문화재, 팔만대장경
28 호두나무는 반역자 류청신이 원나라에서 들여왔다?
29 충선왕과 봉선화 물들이기
30 목화씨를 들여온 문익점, 온 백성을 따뜻하게 입히다
31 명나라에 사신으로 간 박의중, 뇌물 대신 모시옷을 벗어 주다
32 이성계를 찾아간 정도전, 병영 앞 소나무에 자신의 속마음이 담긴 시를 쓰다
33 “내 무덤에 풀 한 포기 나지 않을 것이다.” 말했던 최영 장군
리뷰
책속에서
곰과 호랑이는 환웅이 시키는 대로 어두컴컴한 굴속에 들어가 기도를 시작했어. 그런데 호랑이는 며칠을 참지 못하고 굴 밖으로 뛰쳐나가지. 하지만 곰은 마늘과 쑥을 먹으며 삼칠일 동안 참고 견딘 끝에 소원대로 사람이 된단다. 곰의 가죽을 벗고 어여쁜 여자의 몸으로 변해 ‘웅녀’라는 이름을 얻지. 웅녀는 혼인할 사람이 없어 신단수 아래에서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기도한 뒤 환웅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바로 단군왕검이야.
-01 단군 신화를 낳은 마늘과 쑥
대장군은 대군을 이끌고 나가 이서국 병사들과 맞서 싸웠단다. 하지만 이서국 병사들이 어찌나 강한지 도저히 물리칠 수가 없었다는구나. 시간이 흐를수록 전세는 신라군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지. 그런데 그때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 어디선가 갑자기 한 무리의 병사들이 나타나 신라군을 도운 거야. 정체 모를 병사들은 용맹무쌍했어. 이서국 병사들은 그들의 적수가 되지 못했지. 이서국 병사들은 얼마 버티지 못하고 달아나기 시작했어. 신라군 병사들은 귀에 대나무 잎을 꽂은 병사들과 힘을 합쳐 이서국 병사들을 모조리 물리쳤단다.
-09 미추왕과 귀에 댓잎 꽂은 병사들
“아바마마, 당나라 황제가 왜 벌이나 나비가 없는 모란꽃 그림을 보냈는지 아십니까? 예부터 여자는 꽃으로, 남자는 벌이나 나비로 나타내 왔지요. 제가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니 그것을 비웃은 겁니다.”
왕은 말없이 고개를 숙였어. 모란꽃 그림이 공주를 조롱하는 물건인 줄 모르고 좋은 선물 받았다고 기뻐한 자신이 부끄러웠어.
-14 당나라 황제가 벌이나 나비가 없는 모란꽃 그림을 신라에 보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