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6484038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10-24
책 소개
목차
Chapter 1 거래의 준비
100%의 기업을 만나는 일
M&A는 절반 이상 실패한다
M&A의 동기
경영권이란 무엇인가
M&A 모멘텀
M&A의 성패는 타깃 선정에서 결정된다
타깃 선정의 구체적 기준
인수 대상에 대한 탐색
Chapter 2 거래의 시작
M&A 절차의 설계
타깃 기업 접촉
거래방식의 선택
거래구조의 수립
M&A 일정 계획
M&A 제안 내용 구성하기
자금조달 준비
거래대금 지급 시기와 방법
한계기업 M&A
Chapter 3 가치평가와 실사
M&A 가치평가 방법
가치평가 정보의 활용
시너지 평가
경영권 프리미엄
기업가치 vs 주주가치
가치평가에서 주의할 사항
‘승자의 저주’에 빠지지 않으려면
실사의 목적과 의미
실사의 관리
실사 시 유의사항
실사와 가치평가의 연계
PMI는 실사에서부터 시작한다
Chapter 4 협상과 거래
M&A 거래의 문서
M&A 본계약
거래 리스크에 대한 고려 방법
협상의 전략
협상에서 고려해야 할 것들
M&A 커뮤니케이션
M&A에 대한 규제
인수 후 통합전략
PMI의 실행
Chapter 5 매도인의 고려사항
기업 매각의 이유
사고 싶은 기업, 팔 수 있는 기업
옥션 딜 vs 프라이빗 딜
매각의 준비
딜 브레이커
M&A 절차의 설계
매각 협상 시 고려 사항
주주 간 계약
M&A 거래비용
기업 매각, 그 이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Chapter 1. 거래의 준비
M&A의 성패는 타깃 선정에서 결정된다
자산운용에 있어서 수익률이 자산배분(Asset Allocation) 전략과 그에 맞는 개별 종목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M&A의 성패는 기업 목표와 전략의 적절성과 대상기업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적절한 타깃 선정은 M&A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모든 거래 절차를 완벽하게 실행하더라도 대상기업을 잘못 선정한다면, 그 거래는 시작부터 이미 실패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Chapter 2. 거래의 시작
지분거래 vs 영업양수도 거래
기업에 세금, 소송 등 우발채무 리스크가 존재하는 경우 투자자 입장에서 이러한 리스크의 단절을 위해 지분거래가 아닌 영업양수도 거래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주식매매 계약에서 손실보전 또는 손해배상 조항을 통하여 우발채무 리스크를 헤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해당 리스크가 계약상 장치로 제한하기에 큰 규모이거나 매도인의 신용도가 낮을 때에는 계약상 조항을 통해 헤지하는 방법이 적합하지 않다.
지분거래의 경우 기업의 모든 권리와 의무가 자동으로 승계되지만 영업양수도 거래의 경우에는 거래에서 제외되는 대상을 구분하여 거래대상이 되는 자산, 부채, 권리 및 의무만을 승계할 수 있으므로 리스크를 제한할 수 있다.
Chapter 3. 가치평가와 실사
언젠가 다시 매도할 것이라고 생각하라
투자자 입장에서는 M&A 거래 또한 어디까지나 투자 의사결정 중 하나이며, 투자를 통하여 투자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투자 의사결정의 기본 원칙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를 위해 투자자는 M&A를 검토할 때 대상기업을 인수한 이후 특정 시점에 매각하여 투자수익을 내야 한다는 가정하에 거래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M&A를 시도하는 투자자는 사모펀드의 거래 의사결정 관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투자자가 M&A로 경영권을 획득하여 대상기업을 지배한다는 측면이 아니라 거래를 통해 재무적 이득을 창출한다는 관점에서 거래를 검토하고 평가한다면 좀 더 냉정하고 객관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