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연극/영화
· ISBN : 9791165030124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9-12-31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서언(序言) / 13
1. 기존 논의와 문제제기 …13
2. 경제 성장과 모더니즘 양식 …26
Chapter 02 ‘시적 연극’과 부조리극 양식 / 45
1. 부조리라는 현대정신 …45
2. 근대 인식에 대한 거부 …59
3. 부조리극 양식의 활용 …76
Chapter 03 ‘서사적 연극’과 서사극 양식 / 95
1. 서사극 이론의 대두 …95
2. 근대 제도에 대한 비판 …106
3. 서사극 양식의 적용 …128
Chapter 04 ‘한국적 현대극’과 전통의 현대화 / 151
1. 민족예술의 재발견 …151
2. 대안적 가치의 모색 …165
3. 전통극 형식의 현대화 …180
Chapter 05 모더니즘 희곡의 성과 / 195
1. 리얼리즘 양식의 거부 …195
2. 연극 전문화와 다양화 …202
결어(結語) / 213
참고문헌 … 219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더니즘은 합리적 담론을 비판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결과이다. 모더니즘 작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합리성을 비판하고 새로운 담론을 주도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중략)… 앞서 살펴본 모더니즘 희곡의 세 가지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근대적 가치에 대한 입장의 차이가 있고 대안적 가치를 모색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통적으로 한국적 근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물론 한국적 근대를 인식하는 차이에 따라 각각의 작품군들이 활용하는 연극 양식은 다르다. 또한 이 때문에 작품들이 보여주는 부정의 측면과 입장은 나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리얼리즘 양식에 대한 거부는 다양한 제도들이 공고하게 결합된 기존의 체제에 대한 부정이나 비판이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모더니즘에 대한 이러한 입장을 리얼리즘의 경우와 비교해서 보면, 당대 모더니즘 희곡의 성격은 더욱 명확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모더니즘이 내세운 형식의 문제가 그 자체로 대상에 대한 부정과 비판을 담고 있다고 할 때, “예술을 위한 예술은 속물적인 모더니티에 맞선 미적 모더니티의 반란이 낳은 최초의 산물이”라는 인식은 1960-70년대 모더니즘 희곡을 이해하는 중요한 하나의 관점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