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91165031558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Part Ⅰ 이론과 위기관리체계
Chapter One 시작하면서
▸현실주의 국제정치와 한반도 30
▸미래의 위기 양상과 도전 36
▸미국 위기관리체계의 진화 41
▸한국의 통합방위체계 47
▸위기와 민간부문private sector 51
▸모든 공동체whole community 56
▸한국 위기관리체계에서 복원중심resilience-focused의
민-관 협력private-public collaboration은? 59
▸혁신을 요구하는 위기 요인들 65
▸왜 위기관리에 협력이 필요한가? 66
▸위기에 강한 사회는 무엇이 다른가? 69
▸‘기회의 창’이 열렸을 때 72
Chapter Two 이론적 배경
▸위기 연구의 역사와 관점 73
▸위기란 무엇인가? 79
▸위기관리란 무엇인가? 126
Chapter Three 한국통합방위체제와 미국국가사고관리시스템NIMS
▸개 요 151
▸한국과 미국의 위기관리체계 154
▸한국 통합방위체제 168
▸미국 국가사고관리시스템NIMS 184
▸사고지휘시스템ICS 192
▸통합방위체제와 NIMS 비교 213
▸소결론 216
Part Ⅱ 위기의 실제
Chapter Four 주요 위기 사례 분석
▸위기 사례의 선정 기준 220
▸연구 방법 224
▸위기 사례 분석 233
▸소결론 302
Chapter Five 위기에 강한 사회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개 요 310
▸신속한 의사결정체계 구축 방안 314
▸공무원과 위기 대응 조직의 훈련 강화 방안 317
▸지휘통제통신체계의 의사결정 수단으로서 활용 방안 319
▸민간부문의 위기 대응 참여 방안 323
▸지방정부 책임자의 리더십 강화 방안 329
Chapter Six 다음 위기가 오기 전에 무엇을 할 것인가?
▸첫 번째: 과거의 위기로 부터 교훈을 학습해야 한다 335
▸두 번째: 위기에 강한 사회를 위한 권고 346
참고문헌 371
찾아보기 396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요한 것은 위기에 강한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를 사례를 통해서 교훈을 얻는데 있다. 위기를 학습하는 것은 곧 닥치거나 또는 미래에 있을 위기에 더 나은 조치들이 취해 질 것을 보장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에릭 스턴Eric Stern은 리더에게는 2가지의 책임이 있는데 첫 번째는 이전의 경험으로부터 학습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두 번째는 그들이 이끌고 있는 조직들이 미래 도전에 대해 준비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