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사회의학 > 의료 윤리학
· ISBN : 9791165031671
· 쪽수 : 543쪽
· 출판일 : 2022-09-15
책 소개
목차
새로운 판을 내면서 ... 4
서 평 ... 7
추천사 ... 16
감사의 글 ... 18
매(梅)-서(序)
제1장 들어가는 말 ... 27
제2장 돌미나리가 ‘나’인가? ... 44
제3장 동양학문의 완결 ‘퇴계’ ... 73
난(蘭)- 퇴계 사상의 의학적 해석(1): 성(性), 심(心), 정(情)
I. 퇴계의 성, 심, 정 이론 개요
제4장 마음과 행동의 씨앗 ‘성’ ... 91
제5장 거울과 같은 ‘심’ ... 106
제6장 마음의 모양을 나타내는 ‘정’ ... 116
II. 성, 심, 정 이론의 의학적 해석
제7장 인간 본질에 대한 동서양의 시각과 영의정 강아지 ... 126
제8장 인간관과 ‘나’ ... 136
제9장 행동의 동기 ... 148
제10장 환자의 인간관을 고려하는 임상진료 ... 162
제11장 사단의 핵심 측은 ‘공감’ ... 174
제12장 타인을 배려하는 착한 ‘전두엽’ ... 190
제13장 진정한 헤어짐은 없다 ‘만물일체’ ... 198
제14장 의학적인 관점에서 ‘사단칠정론’ ... 208
제15장 뇌의 행동조절체계와 ‘도심, 인심’ ... 227
국(菊)- 퇴계 사상의 의학적 해석(2): 경(敬), 지(知), 행(行)
I. 퇴계의 경, 지, 행 이론 개요
제16장 일상의 노력 ‘경’ ... 237
제17장 고요한 마음으로 한 가지에 집중 ‘거경’ ... 251
제18장 이게 뭐지? ‘궁리’ ... 266
제19장 마음과 행동을 되돌아보는 ‘성찰’ ... 282
제20장 경의 행동기법 ‘평소의 몸가짐’ ... 297
제21장 누가 먼저일까? ‘지’와 ‘행’ ... 304
II. 경, 지, 행 이론의 의학적 해석
제22장 ‘경’의 작용 ... 317
제23장 창조적인 공부의 원동력 ‘궁리’ ... 326
제24장 의사소통의 새로운 기능 ‘정’, ‘경’ ... 354
제25장 행을 통한 깨달음 ‘PAK theory’ ... 367
제26장 진료실에도 소중한 ‘PAK theory’ ... 379
죽(竹)-결(結)
제27장 어떻게 살아야 하나? ... 389
제28장 도심의 사람 ... 399
제29장 ‘물욕’ ... 430
제30장 도심에 의한 직업인의 행동 ... 451
제31장 진리는 한 곳으로 ... 470
저자 후기 ... 493
선서, 헌장, 장전 ... 509
참고문헌 ... 523
찾아보기(Index) ... 533
저자소개
책속에서
[ 저자서문 ]
매번 인쇄되어 나온 새 책을 마주하면 마치 시집간 딸이 예쁜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친정에라도 온 듯 반갑다. 그러나 어쩌다 잘못된 부분들이 눈에 띄면 얼굴이 화끈거려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다. 부끄럽지만 어쩌랴? 공부가 부족했으니……. 교정해 나가고, 다듬고, 또 다듬으며 힘이 닿는 데까지 계속 절차탁마(切磋琢磨)할 뿐이다.
모쪼록 현대의 선비들에게 퇴계사상이 가감 없이 전달되어 각자의 일상에서 또 다른 인문학적 열매들을 창조할 수 있으면 좋겠다.
기질지성(氣質之性)?
모든 사람의 마음에 동일하게 갖춰진 선한 특성이 본연지성(本然之性)이라면, 형이하(形而下)의 인간의 형상(기,氣)을 취하면서 각 개인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기질적(氣質的)또는 형이하(形而下)적 특성을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기질지성(氣質之性) 역시 선천적이다. 모든 인간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보편성’을 가진 본연지성(本然之性)과 달리, 기질지성(氣質之性)은 ‘개체 특이적’이다. 그러니까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인간 개인마다 다 다르다.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이(理)가 마음에서 우세하지 못한 조건일 때 작동하는 요소로 선과 학이 정해져 있지 않다.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사람이나 상황에 따라 선할 수도 있고 악할 수 도 있는 요소이다. 인간 개체별로 기질지성(氣質之性)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이기적인 또는 충동적인 수준이 다르게 나타난다.